• Title/Summary/Keyword: 대중

Search Result 4,070,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Study on Multi-modal Transit Network Assignment with Dial Algorithm (다이알 알고리즘을 이용한 다수단 대중교통 노선배정기법에 관한 연구)

  • 이재섭;김익기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2
    • /
    • pp.53-60
    • /
    • 2001
  • 본 논문의 목적은 대중교통 노선배정 시에 여러 수단간의 환승을 고려함으로써 다수단 대중교통망 내에서 수단선택과 노선선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확률적인 통행배분(traffic assignment) 모형의 하나인 다이알 알고리즘을 응용할 것을 제시하고 그 알고리즘의 속성을 정확하게 규명하는데 있다 승용차의 확률적 통행배분모형으로 잘 알려져 있는 Dial 알고리즘은 로짓모형에 기초한 것이므로 다수단간의 대중교통 수단선택과 노선선택과 같은 선택 행태를 동시에 설명할 수 있는 모형적 특성을 기본적으로 내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대중교통 노선선택에 적용될 수 있도록 수정된 다이알 알고리즘은 기존의 결정적 대중교 통 노선배정 모형들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즉 결정적 대중교통 노선배정모형은 기종점간 최단경로에 교통량을 전랑배분(All-or-Nothing)하여 통행자들의 행태적 속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수단 대중교통망 내에서 환승을 포함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선택을 효용극대화 이론에 기초하지 않고 최소비용노선에 전량배분하는 모형의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결정적 대중교통 노선배정모형의 단점을 수정된 다이알 알고리즘은 개선할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고리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모의실험으로 Sioux Falls 형태의 대중교통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기존의 알고리즘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의 탄력성을 갖고 있는 수정된 대중교통 다이알 알고리즘이 현실적 대중교통 통행패턴을 기존 모형보다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특히 다수단 대중교통망이 형성된 대도시의 대중교통 정책분석에 적합한 기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 PDF

Mathematics Education Using Popular Culture (대중문화를 활용한 수학교육)

  • Oh, Youngyoul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20 no.1
    • /
    • pp.149-162
    • /
    • 2016
  • The focus of the present study is to seek the ways of using popular culture for teaching mathematics. Thus, this study theoretically investigated concepts of popular culture and the meanings of using popular culture for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current study analyzed both the influence of popular culture of mathematics learning and how mathematics is represented through popular culture.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eaching models using popular culture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about popular culture.

A Transit Assignment Model and Transit Passenger OD Estimation from Passenger Counts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 개발 및 통행량 기반 대중교통 기종점 통행량 추정)

  • 이신해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2002.02a
    • /
    • pp.45-77
    • /
    • 2002
  • 교통혼잡 문제가 점점 심각해짐에 따라 대중교통의 중요성은 날로 부각되며, 대중교통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들이 속속 입안되고 있어 대중교통을 심도 있게 분석할 수 있는 틀의 개발은 필연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 개발과 대중교통 기종점통행량(OD) 추정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의 개발부분에서는 기존의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이 개별차량과 다른 대중교통의 특성을 정확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최적경로 탐색에는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통행량 배정에는 로짓모형을 기반으로 한 확률적 통행량 배정모형(Stochastic Network Loading Model)을 이용하여 TATSN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대중교통 기종점통행량의 추정은 전통적인 기종점통행량 추정 방법인 기종점조사 방법이 시간과 비용이 과대하게 소요된다는 단점을 인식하여 관측통행량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A Comparison of Public Transportation Competitiveness in World Major Cities (세계주요도시의 대중교통 경쟁력 비교)

  • Kim, Dong-Jun;Kim, Hye-Ja;Jang, Won-Jae;Seong, Hyeon-G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4 no.4 s.90
    • /
    • pp.81-91
    • /
    • 2006
  • As public transportation is significant mode to make sustainable urban transportation system, the importance of Public transportation has grown gradually. Nowaday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make various policies which help to raise modal sp)it of public transportation. To understand previous public transportation Policies and make more efficient policies, it is important to know the current level of public transportation exactly.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assess the competitiveness of public transportation in world major cities We select assessment indexes and have grouping use factor analysis. Then we have 8 clusters of cities by cluster analysis, Also,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transportation characteristics and modal split.

An Analysis on the Equity of Public Transit Service using Smart Card Data in Seoul, Korea - Focused on the Mobility of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Groups - (스마트카드 자료를 활용한 서울시 대중교통 서비스 형평성 분석 - 취약계층 유형별 이동성을 중심으로 -)

  • Lee, Hojun;Ha, Jaehyun;Lee, Sugie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3 no.3
    • /
    • pp.101-113
    • /
    • 2017
  • This study examines the mobility of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groups in terms of public transportation using the 2014 smart card data in Seoul, Korea. Particularly, we focus on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such as senior group, junior group, and low-income population group. Bas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public transportation mobility levels and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groups, we identify specific areas where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should be improved for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As a result, we identify 15 administrative-dongs where the ratio of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is high while the mobility index of public transit is low. The main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use the smart card data which contains the information of actual trip made by individuals and develop the evaluation process of urban mobility for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groups. Second, we identify the specific areas where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should be improved for the different group of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Lastly, we discuss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the urban mobility of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북한 대중국 교역 의존도의 국제 비교

  • Jeong, Su-Jin;Choe, Yeong-Yun
    • KDI북한경제리뷰
    • /
    • v.22 no.4
    • /
    • pp.41-58
    • /
    • 2020
  • 1998~2017년 북한의 교역을 관측한 결과, 북한의 대중 교역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여 2017년에는 그 비중이 94.8%까지 높아진 것으로 관찰됐다. 즉, 동기간의 북한의 대중국 교역 의존도가 급증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북한의 대중국 교역 의존도가 북한만의 특이한 교역 구조인지 확인하기 위해 본고는 ① 전세계, ② 아시아, ③ 중국 접경 국가를 비교군으로 설정하여 시계열 및 횡단면 비교를 각각 실시하였다. 먼저 시계열로 비교한 결과 1998~2017년 전 기간 동안 북한은 전세계, 아시아, 중국 접경 국가 보다 대중국 교역의존도가 현저히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북한은 대중국 교역의존도 증가 추세 역시 가장 가파른 국가로 확인됐다. 예를 들어, 1998년 북한의 대중국 교역 의존도는 24.8%, 아시아 지역의 대중국 교역 의존도는 6.5%로 북한이 아시아 지역에 비해 약 3.8배 높았으나, 2017년의 경우 북한 94.8%, 아시아 19.4%로 약 4.9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난 20년 동안 북한의 대중국 교역 의존도가 다른 전세계 국가들에 비해 가파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중국 접경 국가군에 소속된 개별 국가와 비교한 결과, 북한 다음으로 대중국 교역 의존도가 높고, 가파르게 증가한 국가는 몽골과 미얀마인 것으로 관찰된다. 그러나 몽골, 미얀마는 북한에 비해서 대중국 교역 의존도 증가 추세는 상대적으로 완만하다. 다음으로, 본고에서 설정한 최종 관측연도인 2017년 한해에 대해 횡단면 비교를 실시하였다. 횡단면 비교에서는 대중국 교역 의존도를 수출입 의존도로 세분화하여 비교하고, 대중국 GDP 의존도를 추가하여 비교했다. 그 결과 2017년 북한의 대중국 수출입 의존도 모두 전세계, 아시아, 중국 접경 국가들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특이한 점은 북한의 대중국 교역의존도는 수출보다 수입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북한 다음으로 대중국 교역 의존도가 높은 몽골과 미얀마의 경우 수입보다 수출의 대중국 의존도가 높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대중국 GDP 의존도의 경우 북한은 중국 접경 국가들 중 몽골과 베트남 다음으로 의존도가 높은 국가로 확인된다. 추가적으로 2017년의 북한, 몽골 및 미얀마의 교역 특징을 알아보았다. 먼저 북한, 몽골, 미얀마의 대중 교역 품목을 비교한 결과 이들 3개국 모두 공통적으로 주로 석탄, 천연가스 등의 천연자원을 중국에 수출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수입의 경우 북한은 대두유와 같은 식량류와 합성 직물, 무선 전화기 등을 주로 수입하는 반면, 몽골과 미얀마는 산업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 및 부속품을 주로 수입한다는 차이점이 있었다. 다음으로, 2017년 북한과 몽골, 미얀마가 가장 많이 교역한 중국의 성(省)을 비교해본 결과, 북한은 요녕성, 몽골은 내몽고자치구, 미얀마는 운남성과의 교역이 가장 많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대중 교역 의존도가 높은 3개 국가들이 중국과 국경을 접한 성(省)과 가장 교역을 많이 한다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Survey on the Necessity Developing of Popular Pansori Contents (대중적인 판소리 콘텐츠 개발 필요성에 관한 인식조사)

  • Kim, Ye-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7
    • /
    • pp.600-609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ansori non-Specialist After reviewing the need for content development and conducting interviews with Pansori Specialist, the contents of popular Pansori contents It is aimed to derive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ment.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popular Pansori contents, 100 Pansori non-specialists surveyed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same popular Pansori Contents revealed that the contents of popular Pansori showed a new aspect of Pansori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popular Pansori contents. it is necessary to secure popularity, fun and interest, Convergence with other genres, intrinsic troubles about Pansori, Expansion in to traditional arts, materials suitable for trends, development of lirics, language, music, and professional producers should be considered.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interviews 31 Pansori Specialist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popular Pansori contents, its essential to develop popular Pansori contents. and analysis of the public, endless challenges and attempts, material development collaboration with professional worker and expansion.

대중역사서 어떻게 자리매김할까

  • Kim, Yeon-Su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45
    • /
    • pp.19-19
    • /
    • 1998
  • 대중역사서를 둘러싸고 학계와 출판계에서 '소설이다', '학계가 못한 일을 했다'는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최근 대중역사서 시장에 조금씩 변화가 일면서 '학계에서 소외된 필자, 이야기체의 통사'라는 대중역사서의 특징도 '전공자.특정 분야'로 바뀌어간다. 학계가 자신의 연구성과를 대중적으로 풀어내는 일이 과제로 남는다.

  • PDF

A Transit Assignment Model using Genetic Algorithm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 개발)

  • 이신해;최인준;이승재;임강원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1 no.1
    • /
    • pp.65-75
    • /
    • 2003
  • In these days, public transportation has become important because of serious traffic congestion. But. there are few researches in public transportation compared with researches in auto. Accordingly, the purpose of paper is development of transit assignment model, which considers features of public transportation, time table, transfer capacity of vehicle, common line, etc. The transit assignment model developed in this paper is composed of two parts. One part is search for optimum path, the other part is network loading. A Genetic algorithm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search for alternative shortest path set. After the shortest paths have been obtained in the genetic algorithm, Logit-base stochastic loading model has been used to obtain the assigned volu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