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인관계 공격성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1초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대인관계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 오복숙;원유순;함승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06-11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이 느끼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긍정적 양육태도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양육태도는 대인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공격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공격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공격성요인은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넷째, 공격성은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는 및 대인관계 간에 있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충동성, 공격성과 게임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의 매개모형검증: 중고등학교급별 비교 (The Mediation Model Verification of Interpersonal Skills on Impulsivity, Aggression and Game Addiction: Comparative analysis on School levels)

  • 권재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87-98
    • /
    • 2010
  • 본 연구는 충동성, 공격성과 게임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중고등학교급별로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연구모형에 제시된 5개의 경로[(충동성$\rightarrow$대인관계기술), (충동성$\rightarrow$게임중독), (공격성$\rightarrow$대인관계기술), (공격성$\rightarrow$게임중독), (대인관계기술$\rightarrow$게임중독)]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행변인인 충동성과 공격성은 청소년의 게임중독 경향성을 증가시키는 유발요인 역할을 하며, 대인관계기술은 청소년의 게임중독 경향성을 감소시키는 억제요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충동성, 공격성과 게임중독 간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이 매개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급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중학생들은 대인관계기술의 높고 낮음이 게임중독에 인과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따라서 매개효과도 입증되지 않은 반면, 고등학생들은 대인관계기술이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며 대인관계 기술의 매개효과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게임중독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하여 대인관계기술을 증진해주는 개입방안은 고등학생들에게 특히 효과적일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문제 개선을 위한 상담전략과 실제 :용서상담교육의 적용 (A Counseling Strategy and Practice for solving Interpersonal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rgiveness Counseling Education Application)

  • 김광수
    • 초등상담연구
    • /
    • 제9권1호
    • /
    • pp.111-132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직면하는 문제이자 해결해야할 부담스러운 과제가 되고 있는 초등학생의 대인관계문제 개선을 위한 상담교육 방안을 탐색, 제시하고자 하였다. 초등학생 대인관계 문제의 개선과 해결을 위한 기존 접근 방식의 특성과 제한점을 지적하고 일회적, 표면적, 문제대처 지향적인 기존 접근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더 근원적이고 체계적인 관점에서 초등학생의 인간관계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상담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초등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인간관계 특히 또래관계에서의 갈등, 상처, 피해로 인해 나타나는 부정적 반응을 극복하고 건강한 반응으로 나아가게 촉진하는 용서상담교육에 대해서 논의하고 용서상담교육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용서상담교육이 대인관계 공격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인성교육방안으로 실천, 적용되기 위해서 해결되어야 할 과제를 논의하였다.

  • PDF

일개 도시 대학생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생활스트레스 중심으로-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Aggression of College Students in a City -Focusing on Life Stresses-)

  • 하태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319-326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D시에 재학중인 대학생 262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9월 5일부터 7일까지 3일간이었다. 연구도구는 대학생활스트레스 도구와 공격성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생활스트레스는 학업관련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격성은 성별(t=4.43, p<.001), 전공(F=13.66,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대학생의 공격성은 대인관계 문제(r=.49, p<.001), 학업 문제(r=.34, p<.001), 경제 문제(r=.34, p<.001), 장래 문제(r=.35, p<.001), 가치관 문제(r=.31, p<.001)와 각각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학생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대인관계 문제, 자연계열 전공, 학업 문제로 이들 요인은 공격성을 30%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의 정도 및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대학생의 공격성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구성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초등학생의 사회적 성취목표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또래지위 및 공격성과의 관련성 탐색 (Classifying the Latent Grou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Social Achievement Goals Types and the Exploration of Peer Status and Aggression)

  • 최은영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2호
    • /
    • pp.223-24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성취목표의 세 가지 유형을 기반으로 초등학생의 사회적 성취목표를 잠재집단으로 분류하고, 각 집단이 또래지위와 공격성에서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사회적 성취목표와 사이버 공격성은 자기보고 방식으로, 또래지위와 외현적 공격성과 대인관계 공격성은 또래지명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사회적 성취목표는 사회적 숙달목표와 사회적 수행접근목표, 사회적 수행회피목표로 나누었으며, 또래지위는 지각된 인기와 사회적 선호로, 공격성은 외현적 공격성, 대인관계 공격성, 사이버 공격성으로 구분하였다. 전체 연구 대상은 클래스넷 4차년도 자료 중 학년 비율을 고려해 무작위 추출한 초등학생 1,239명(남 633명, 여 606명)이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이용해 사회적 성취목표 유형을 분류한 결과 세 집단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성취목표의 세 집단은 각각 '숙달지향 성취목표형(184명, 14.9%)', '평균 성취목표형(852명, 68.8%)', '고사회적 성취목표형(203명, 16.4%)'으로 명명되었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해 또래지위 및 공격성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1차 시기 사회적 선호가 높을수록 고사회적 성취목표형 집단에 속할 확률이 낮았고, 사이버 공격성이 높을수록 숙달지향 성취목표형 집단에 속할 확률이 낮았다. 또한 2차 시기 대인관계 공격성이 높을수록 평균 성취목표형 집단보다 고사회적 성취목표형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 competence of Allied Health College Students

  • Kwag, Youn-K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149-156
    • /
    • 2021
  • 본 연구는 보건계열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대인관계성향 및 정서지능의 영향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2019년 11월 29일부터 12월 16일까지 B시의 일 대학교 간호학과 및 물리치료학과 재학생들에게 질문지조사를 시행하였다. 총 275명의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보건계열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은 평균 4.10, 8개 대인관계유형 중 사려성-비사려성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정서지능 평균은 2.73이었다. 보건계열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유의한 영향을 끼친 대인관계성향은 주도성-동조성, 공격성-비공격성이었고, 설명력은 29.4%였으며, 가장 영향력이 큰 대인관계성향은 주도성-동조성이었다. 또한 대인관계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정서지능은 자기감정표현, 타인조절, 동기화였고, 이들의 설명력은 24.0% 이었으며, 가장 영향력이 큰 정서지능은 동기화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건계열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에 있어 그들의 대인관계성향과 정서지능 요인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지역사회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과 빈곤아동 발달 (Community Orchestra Educational Activities and Development of Poor Children)

  • 안은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1호
    • /
    • pp.225-248
    • /
    • 2016
  • 본 연구는 서울시립교향악단의 "우리동네 오케스트라 학습영향평가"를 위해 수집된 종단 자료를 사용하여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운영하는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이 빈곤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와 그 효과를 촉진하는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요소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빈곤 아동의 발달부분인 우울, 공격성, 공동체성, 대인관계와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효과를 촉진시키는 활동요소인 평가, 만족, 외부의 관심과 참여를 주요 변수로 구성하여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과 빈곤아동발달에 관한 잠재성장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효과로 빈곤아동의 우울, 공격성, 대인관계에 의미 있는 긍정적 발달을 보였다. 또한 아동발달궤적의 조건모형에서 음악평가는 공동체성의 변화율에, 태도평가는 우울과 공격성, 공동체성의 초기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만족은 공동체성과 대인관계의 초기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관심과 참여는 공격성 초기치에 부정적 영향을, 지역사회 관심과 참여는 우울과 공격성 초기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에 참여하는 빈곤아동의 발달에 관한 이해를 돕고 사회복지사의 직접적인 개입의 실천적 근거를 제공하고, 사회복지계, 문화예술계, 교육계 등의 빈곤층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여 빈곤아동 발달의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일부 대학생의 감각처리능력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sensory processing ability and interpersonal problem of some university students)

  • 이지현;남택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780-2787
    • /
    • 2013
  • 이 연구는 성인 대학생의 감각처리 능력과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였으며 연구 대상자 177명이 작성한 청소년/성인 감각 프로파일 점수와 대인관계문제 검사 점수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낮은 감각 등록'영역은 KIIP 모든 척도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찾기' 영역은 통제지배(r=0.150, p<0.05), 자기희생(r=0.175, p<0.05), 과관여(r=0.218, p<0.01), 대인적과민성(r=0.196, p<0.01), 사회적인정욕구(r=0.149, p<0.05)가 상관관계를 보였다. '감각민감성'영역은 KIIP 모든 척도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회피' 영역은 KIIP 척도 중 통제지배(r=0.403, p<0.01), 자기중심성(r=0.420, p<0.01), 대인적비수용성(r=0.452, p<0.01), 공격성(r=0.417, p<0.01)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감각처리 능력과 대인관계 문제와는 전반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낮은 감각등록과 감각민감성 영역이 대인관계 문제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좌절된 소속감의 개념분석 (Thwarted belongingness: Concept Analysis)

  • 김수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59-367
    • /
    • 2021
  • 본 연구는 좌절된 소속감에 대한 개념분석 연구로 개념의 속성을 확인하고 명확히 정의하기 위해 Walker & Avant의 개념분석 방법을 근거로 하였다. 좌절된 소속감의 속성은 왜곡된 신념, 소속욕구 불충족, 소외감, 상호교류와 애정욕구의 불충족으로 도출되었다. 선행요인은 사회적 고립, 대인관계에서 배제 또는 갈등 경험, 완벽주의적 성향, 거부민감성이며, 결과는 자살생각, 행복 및 삶의 만족 감소와 거부에 대한 불안, 우울, 수치심, 외로움, 스트레스 또는 분노, 공격성, 적대감 같은 부정적 정서 및 자기비난, 절망감, 자포자기, 정서표현 억제, 무기력, 관계에서 스스로 배제, 정체성 혼란이다. 본 연구는 대인관계와 관련된 개인의 정신적 건강 및 자살생각과 관련된 예방 가능한 간호중재의 범위를 파악할 수 있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고, 향후 좌절된 소속감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개발 및 현장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속성을 검증해 볼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사회적 배제가 전위된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및 사회적지지의 조건부 직접효과 (Effects of Social Exclusion on Displaced Aggression: the Mediatingon Effect of Stress and Conditional Direct Effect of Social Support)

  • 노윤재;윤상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9권4호
    • /
    • pp.455-476
    • /
    • 2023
  • 본 연구는 묻지마 범죄가 주로 대인관계 문제에서 비롯되었고 제3의 무고한 대상에 대한 보복행위라는 특징에 착안하여, 사회적 배제 경험과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를 확인하고 두 변인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등 관련 요인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 49세 이하의 성인 남성 353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배제 경험이 전위된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조절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사회적 배제는 전위된 공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트레스는 사회적 배제와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사회적지지가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은 검증되지 않았으나, 매개모형에서 사회적지지의 조건부 직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사회적지지는 스트레스를 매개한 간접효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사회적 배제와 전위된 공격성 간의 직접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배제가 전위된 공격성을 예측하는 것은 사회적 지지 평균집단(mean)과 고집단(M+1SD)에서만 유의했으며 고집단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에서 오히려 전위된 공격성을 스트레스 조절 전략으로 사용한다는 의미로, 사회적 지지가 공격성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는 선행 연구들과는 상이한 결과다. 사회적지지 수준이 낮은 사람들은 사회적 배제 경험에도 불구하고 전위된 공격성의 사용빈도가 낮다는 의외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결과의 사회적 의미를 해석하였으며, 사회적 배제와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를 구체화할 추가적인 연구 아이디어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