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응드론

Search Result 12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Implications on US DoD Counter-Small Aircraft Systems Strategy (미 국방부 소형드론 대응전략과 시사점)

  • Kang-Il Seo;Sang-Keun Cho;Ki-Won Kim;In-keun Son;Sang-Hyuk Par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4
    • /
    • pp.239-243
    • /
    • 2023
  • Due to recent small unmanned aircraft threats by North Korea and unsuccessful reponses, severe concerns about future national security have been being increasingly surged. Especially it is notable and unaccpetable to see that North Korea's small drones flying over capical areas over 7 hours were not efficiently detected and identified even though South Korea already recognized the threats since early 2010s. Meanwhile a US military troop operating THAAD system on Seung-Joo, South Korea successfully shot down unidentified small drone on Jan 2023. The threats caused by small unmanned aircraft is worrisome not only to South Korea, but also to international nations. This paper surveyed US DoD Strategy for countering small aircraft systems and suggest how to improve our current anti-dron systems so that small unmanned aircraft threats will be dynamically diminished or neutralized as fast as we can.

Search and Rescue and Disaster Response Using 5G-Based Liquid Hydrogen Drone (5G 기반 액화 수소 드론(UAV)을 이용한 수색 구조 및 재난 대응)

  • Oh, Se-Jin;Min, Jae-Hong;Hong, Sung-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69-370
    • /
    • 2022
  •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함에 따라서 군사용으로 개발된 드론이 광범위하게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어 가고 있다. 드론의 활용으로 이전에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웠던 지역이나 현장을 원격탐사 및 데이터 취득이 가능하게 되면서, 도시문제 해결과 재난에 대응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드론의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리튬폴리머(Li-Po)는 짧은 비행시간 때문에, 재난 현장의 드론 투입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기존 드론 대비 4배 이상 향상된 비행시간을 통해 장기체공이 가능한 액화 수소 드론의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늘어난 비행시간과 비가시 장거리 비행 능력을 통해 높은 효율을 낼 수 있는 액화 수소 드론의 활용으로 효과적인 재난 대응 활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Threat of North Korean Small Drones (북한 소형 드론 위협 사례에 대한 연구)

  • Kwang-Jae Le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4
    • /
    • pp.397-403
    • /
    • 2024
  • North Korea's rapidly advancing drone development and operational capabilities have become a significant threat to South Korea's security. The drone incursions by North Korea in 2014, 2017, and 2022 demonstrate the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provocative potential of North Korean drones. This study aims to closely analyze the military threats posed by North Korean drones and seek effective countermeasures. The research examines the development level of North Korean drone technology, its military applications,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recent drone incursions, the adequacy and limitations of South Korea's current response systems, and future countermeasures. For this purpo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literature and media reports were reviewed, and specific North Korean drone incursion ca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 that North Korea's small drones possess technological features such as small size, low altitude, low-speed flight, long-duration flight, and reconnaissance equipment. These drones pose threats that can be utilized for reconnaissance, surveillance, surprise attacks, and terrorism. Additionally, South Korea's current response systems reveal limitations such as inadequat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capabilities, low interception success rates, lack of an integrated response system, and insufficient specialized personnel and equip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various technical, policy, and international cooperative countermeasures,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dron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technologies, the utilization of diverse drone neutralization technologies, the establishment of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s, the construction of a cooperative framework among relevant agencies, and the strengthening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 study particular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aising awareness of the North Korean drone threat across South Korean society and unifying national efforts to respond to these threats.

Vulnerability Analysis and Demonstration of FTP and Telnet Access in Drone Environment: Based on Product A (드론 환경에서의 FTP 및 텔넷 접속 취약점 분석 및 실증: A 드론을 대상으로)

  • Gyeongseok Oh;Jaehyuk Lee;Kyungroul Lee;Wonbin 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197-198
    • /
    • 2023
  • 드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최근에는 재난 구조 및 교통 관측, 과학 연구와 같은 분야에서 드론이 활용됨으로써, 사회적 및 산업적 발전에 일조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드론의 사용률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다양한 취약점을 내포한 드론으로 인하여, 심각한 보안위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드론에서 발생하는 보안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되며, 본 논문은 대응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드론에서 발생 가능한 신규 취약점을 분석하고 실증한다. 본 논문에서 발굴한 신규 취약점은 A 드론을 대상으로, 기존의 다중 접속 취약점을 악용한 FTP 및 TELNET 접속 취약점이며, FTP 접속으로 암호화된 파일에 접근이 가능하고 TELNET 접속으로 루트 권한의 셸을 실행하는 신규 취약점을 발굴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esponse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North Korea's Drones Terrorism at Critical National Facilities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북한의 드론테러 위협 분석을 통한 대응방안 연구)

  • Ha, Choo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319-320
    • /
    • 2023
  • 본 논문은 이러한 국가중요시설에서의 드론테러 위협과 대응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안티드론시스템을 실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법·제도적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으로 두었다.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방법으로서 기존 선행연구논문, 정책자료 등에서 다루지 못한 다양한 문제점들을 전문가 심층면담을 통해 분석하였다. 심층면담을 위한 연구참여자는 국내 안티드론 및 테러분야 전문가 16명을 선정하여 반구조화 인터뷰 12개 문항을 토대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우리나라 국가중요시설 드론테러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4 가지 문제점에 대한 개선사항이 식별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nti-Drone Concept and Effective Response System (안티드론 개념 정립 및 효과적인 대응체계 수립에 관한 연구)

  • Lee, Donghyuk;Kang, Wook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60
    • /
    • pp.9-31
    • /
    • 2019
  •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popularization of drone, the so-called "dirty drone" that exploits drones for crimes and terrorism has become a social problem, and it is time to seriously consider the "revenge of drones." Indeed, the cases of threats posed by drones are expanding not only to threats to ground facilities, but also to aviation safety threats, more recently to large-scale events, demonstrations and crimes targeting specific personnel, and terrorism. This research clearly defined the concept of anti-drone when it emerged as a new type of social safety threat as it was abused in crime and terrorism, while response to it was not enough yet. Through this process, it was intended to present an effective anti-drones system. We analyzed the major controversial elements of anti-drone, and defined them as "comprehensive response activities at the legal, institutional and technical levels performed by law enforcement agencies, related technology and industrial entities in a way that prevents, detects, and blocks acts that violate public well-being and order, such as crimes and terrorism caused by the drones." To effectively respond to dirty drones, the authority of law enforcement agencies and the enactment of relevant laws were proposed. In the future,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follow-up study of the anti system should be conducted.

Security Treats and Countermeasures in Drone Operation (드론 운용의 보안 위협과 대응 방안)

  • Ryu, Hae-Won;Choi, Sung-Han;Ha, Il-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170-173
    • /
    • 2018
  • 최근 무인항공기는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드론은 독립적으로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임무를 수행하거나, 군집을 이루어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특정한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지금까지의 드론에 관한 연구는 신속하고 정확한 임무의 수행에만 초점을 두어왔고, 드론 자체 또는 드론 군집에서 주고받는 데이터의 보안과 안전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드론 운용에 있어서 구성요소별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고 취약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응방안을 설명한다. 특히 드론의 가장 중요한 임무 중 하나인 지상의 목표물 탐색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위협 요소와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무인이동체 드론의 취약점분석 및 대응기술 연구 동향

  • Kim, Myoungsu;You, Ilsun;Yim, Kangbin
    • Review of KIISC
    • /
    • v.30 no.2
    • /
    • pp.49-57
    • /
    • 2020
  • 군사 등의 특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던 무인비행체 드론이 최근 상용 수준의 간결한 구조와 저가화가 가능해지면서 여러 제조업체를 통하여 민간분야의 다양한 응용에 활용 가능함을 증명하고 있다. 그러나 제조업체들 간의 시장 우위 선점을 위한 과열 경쟁으로 인하여 보안 안전성 검증 단계를 거치지 않은 드론과 이에 수반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시장에 바로 출시되면서 이들이 우리 사회를 향한 공격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새로운 잠재적 위협이 우려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드론과 애플리케이션과의 연결 및 데이터 통신 과정에서 완성도가 낮은 접근제어 기술이나 암호화되지 않은 통신방식을 비롯하여 드론 내부 소프트웨어의 코딩 상의 문제점 등에 의하여 다양한 취약점이 노출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취약점들로 인하여 드론의 인증 해제 및 하이재킹을 통한 불법 영상촬영이나 개인정보의 유출 등을 비롯하여 특정 목표물을 향한 드론의 고의적 추락 등이 발생할 경우 재산 피해뿐만 아니라 인명 피해까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현재의 드론 응용은 초기단계여서 향후 다양한 응용과 유관 기술들이 폭넓게 전개되어야 하는 시점에서 이러한 사고 가능성은 매우 심각하게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더구나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드론은 비상시를 위한 다이나믹 모바일 게이트웨이 역할까지도 수행하여야 하는 환경에서 악의적인 행위는 전체 사회로 확산될 우려도 있으므로 미래 사회의 드론을 위한 안전문제는 매우 시급하고 중대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현재까지 발표된 드론에 대한 다양한 보안위협을 조사하고 이러한 보안 위협을 요소별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본 기고가 간단하게나마 정리한 내용을 통하여 다양한 보안위협에 대한 대응기술을 준비하기 위한 시발점이 되었으면 한다.

Designing a Drone Delivery Network for Disaster Response Considering Regional Disaster Vulnerability Index (재난 취약도 지수를 고려한 재난 대응 드론 거점 입지 선정)

  • OkKyung Lim;SangHwa Song
    • The Journal of Bigdata
    • /
    • v.9 no.1
    • /
    • pp.115-126
    • /
    • 2024
  • The scale and cost of disasters are increasing globall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logistics activities in disaster response. A disaster response logistics system must place logistics hub centers in regions relatively safe from disasters and ensure the stable supply of relief goods and emergency medicines to the affected area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locating drone delivery centers that minimize disaster vulnerability when designing a disaster response delivery network. To facilitate the transport of relief supplies via drones, the maximum delivery range of drones is considered and we employed a natural disaster vulnerability index to develop optimization models for selecting drone delivery center locations that minimize disaster vulnerability. The analysis indicates that while the optimization models to minimize disaster vulnerability increase the number of hub investments, these approaches mitigate disaster vulnerability and allows the safe and effective operation of a disaster response logistics system utilizing drone deliveri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Remote Control Drone for Disaster Response (재난대응용 원격조종 드론 개발을 위한 연구)

  • Park, Namhee;Ahn, Yongcheol;Hwang, Yeonj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5 no.4
    • /
    • pp.578-589
    • /
    • 2019
  • The drones, developed for military use, have recently expanded a wide range of areas of use, including agriculture, industry, broadcasting utility, police, fire fighting and leisure. Drone, combined with IT technology, is further expanding its utilization and emerging as a key part of the fourth industry. Purpose: This study designs and implements drones that can be utilized in disaster prevention areas such as disaster prevention, preparedness and response.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by examining hardware drone specifications and developing a program suitable for the purpose of research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Result: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drone that can be controlled remotely, investigated program plans for drone remote control, and developed a program that enables remote control broadcasting from drones. Conclusion: The drone could be used in the disaster area based on functions such as remote control and remote broadcas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