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역저지 필터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8초

비이상적인 전압 인버터 스위치 동작에 대한분석및 이를 이용한 스위치드-캐패시터 필터 설계 방법 (Analysis of Non - Ideal Voltage Inverter Switch and its Applications to Switched - Capacitor Filter Design)

  • 이방원;박송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1-51
    • /
    • 1982
  • 본 논문에서는 V[S(voltage inverter switch)를 사용한 SCF(switched capacitor filler)에 있어서 VIS의 비이상적인 동작이 여파기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여파기를 구성하는 각 소자들의 변화로써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 위의 결과를 VIS가 없는 SCF의 경우에 응용함으로써 대부분의 SC(switched cavacito.) 회로를 쌍일차(bilinear) 변환된 영역에서 그 등가각로를 쉽게 구할 수 있어 SCF의 분석이 용이하고, 높은동작 주파수를 갖는 SCF를 적은 수의 능동 소자로 구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리고 저역 통과 여파기와 대역 저지 여파기를 실험하여 그 결과가 이론치와 잘 일치함을 보였다.

  • PDF

H-모양 공진 개구를 이용한 평면 기판의 유전율 특성 분석 (Permittivity Characteristic Analysis of Planar Substrates Using H-shaped Resonant Aperture)

  • 여준호;이종익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5-56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H-모양 공진 개구를 이용한 평면 기판의 유전율 특성 분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의 접지면에 H-모양 공진 개구를 추가하여 대역 저지 필터를 생성하였다.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의 접지면 뒤에 2 mm 두께의 평면 기판을 놓고 기판의 유전율 변화에 따른 공진주파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기존의 상보 분할 링 공진기 구조를 사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기준 공진주파수에 대한 주파수의 변화 비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FMCW 레이다에서 작은 간섭 신호의 효과적인 탐지 및 억제 (Effective Detection and Suppression of Low-Amplitude Interference in FMCW Radars)

  • 조병래;이정수;이종민;선선구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3권7호
    • /
    • pp.848-851
    • /
    • 2012
  • 많은 레이다 시스템들이 주파수 밴드를 공유하여 동시에 운용될 때, 레이다 시스템 간 간섭은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간섭이 레이다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간섭의 억제는 레이다 시스템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 STFT와 적응형 대역 저지 필터를 이용하여 간섭을 탐지하고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제 FMCW 레이다를 이용하여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근전의수용 소형 표면 근전위 센서의 개발 (Development of Surface Myoelectric Sensor for Myoelectric Hand Prosthesis)

  • 최기원;성소영;문인혁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2권6호
    • /
    • pp.67-7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근전의수용 소형 근전위 센서를 제안한다. 근전의수용 근전위 센서를 의수 소켓에 내장시키기 위해서는 소형이어야 한다. 제안된 근전위 센서는 피부와 접촉하는 전극과 신호처리를 위한 회로부가 일체화된 형태로 소형화 하였다. 기준 전극은 두 입력전극의 가운데에 나란히 배치되고, 입력전극은 막대형, 기준전극은 막대형과 원형의 두 가지 형상으로 설계하였다. 두 입력전극 사이의 간격은 근섬유의 근전위 신호의 전도속도와 중심주파수를 고려하여 18mm, 20mm, 22mm 의 세 개의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진 전극을 제작하였다. 사용된 전극의 재료는 땀이나 습기에 강한 SUS440 금속을 사용하였다. 신호처리 회로부는 대역통과 필터를 갖는 차동 증폭기, 전원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대역저지 필터, 교류결합증폭기, 절대평균값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에서는 정상인의 전완에서 근전위 신호를 취득하여 주파수 분석하고, 입력전극 사이의 간격과 기준전극의 형상에 따른 출력특성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의 결과로부터 두 입력전극간의 거리가 18mm 이면서, 입력전극의 형상과 기준전극의 형상이 모두 막대형인 표면 근전위 센서가 근전의수에 최적임을 보인다.

발진기의 2채배 고조파 주파수 천이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센서 (Vital Sign Sensor Based on Second Harmonic Frequency Drift of Oscillator)

  • 구기영;홍윤석;이희조;윤기호;육종관;김강욱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299-30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공진기와 인체와의 거리에 따른 근접 전자기장 변화에 의한 공진기 임피던스의 변화를 토대로 사람의 호흡 및 심박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제안한다. 제안된 생체신호 측정센서는 패치형 공진기가 결합된 발진기, 발진주파수의 2채배 주파수만 통과시키기 위한 다이플렉서, 증폭기, SAW 필터 및 RF 검출기로 구성되어 있다. 호흡과 심박신호와 같은 인체의 주기적인 움직임은 근접 전자기장 영역 안에서 공진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야기하며, 발진기의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발진주파수의 2채배 주파수 천이를 SAW 필터의 저지대역에 위치시킴으로써, 제안된 센서의 검출 거리를 2배로 확장시킬 수 있다. 제안된 센서의 측정결과, 최대 40 mm까지 호흡 및 심박신호가 안정적으로 측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조파 억제 필터를 이용한 무선전력전송 고이득 고효율 DC-AC 변환회로 (Wireless Power Transmission High-gain High-Efficiency DC-AC Converter Using Harmonic Suppression Filter)

  • 황현욱;최재원;서철헌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9권2호
    • /
    • pp.72-7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고효율 DC-AC 변환 회로를 구현하였다. DC-AC 변환 회로는 발진기와 전력증폭기를 결합시켜 구현하였다. 전력증폭기의 전력 효율은 무선전력전송 송신 시스템의 효율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Class-E 증폭구조를 이용하여 고효율 전력증폭기를 구현하였다. 또한, 전력증폭기의 입력 단에 연결되는 발진기의 출력 전력이 작기 때문에 높은 출력의 DC-AC 변환 회로를 구현하기 위하여 구동 증폭기를 이용한 고이득 이단 전력증폭기를 구현하였다. 고이득 고효율 이단 Class-E 전력증폭기의 입력 단에 발진기를 연결하여 고효율 DC-AC 변환 회로를 구현하였다. 13.56MHz의 2차, 3차 고조파 성분을 억제하기 위해 이중대역 저지 필터를 설계하여 결합하였다. DC-AC 변환 회로의 출력 전력과 변환 효율은 13.56 MHz에서 40 dBm과 80.2 %이다.

주파수 체배 기법을 이용한 K-대역 국부발진기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brication of K-band Local Oscillator Used Frequency Doubler Techniques)

  • 김장구;박창현;최병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1권10호
    • /
    • pp.109-11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VCDRO, GaAs MESFET, 반사기 등을 이용하여 주파수 체배기 형테로 구성한 K-대역 국부발진기를 설계하고 제작하여 특성을 실험하였다. VCDRO은 위상잡음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저잡음 특성을 가지며 플리커 잡음이 적은 MESFET를 선택하였으며 Q값이 큰 유전체 공진기를 사용하여 선택도를 높였다. 특히, 제안된 주파수 체배기는 반사기와 대역저지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인 체배기에 비해 회로의 크기를 줄이고, 고조파 억압특성을 개선했을 뿐만 아니라 더 좋은 변환이득을 얻었다. 제작된 VCDRO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 중심 주파수 12.05 Uh에서 5.8 dRm의 출력 전력과 -37.98 dBc의 고조파 억압, 100 Khz offest 주파수에서 -114 dBc의 위상잡음 특성을 얻을 수 있었으며, 주파수 체배기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 5.8 dBm의 입력신호에 대해 출력 주파수인 24.10 GHz에서 출력 전력은 1.755 dBm이고, 변환이득은 1.482 dB, 고조파 억압은 -33.09 dBc, 100 kHz offset 주파수에서 -98.23dBc의 위상잡음 특성을 얻었다. 주파수 체배 기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발진기는 K-대역에서 국부발진기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