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사경로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9초

Penicillium islandicum에 의한 Skyrin의 생합성 (Biosynthesis of Skyrin in Penicillium islandicum)

  • 조성환;죤 에이 앤더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3호
    • /
    • pp.151-157
    • /
    • 1984
  • Penicillium islandicum은 Czapek-Dox 배지를 이용하여 어두운 곳에서 배양되었을때 황적색 색소인 skyrin을 생합성 하였다. $[^{14}C]$-acetate 배지에 이 균주를 접종 배양하여 얻어진 대사산물로부터 radioactive skyrin을 순수 정제 분리할 수 있었고 이를 sodium dithionite 처리하여 Emodin이 합성되는 것을 동정할 수 있었다. 한편, Penicillium islandicum의 배양액에서 추출 정제된 효소를 이용한 균체의 효소실험에서 $[^3H]$-emodin과 $[^3H]$-emodin은 skyrin생합성의 유력한 전구체물질임이 밝혀졌으며, 효소반응결과 $[^3H]$ emodinanthrone(4.8%)이 $[^3H]$-emodin보다 radioactive skyrin으로 주입되는 비율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균체외 효소실험결과, skyrin이 생합성되는 경로는 $emodinanthrone{\rightarrow}emodin{\rightarrow}skyrin$으로 진행되었다.

  • PDF

장기제어방출 투여 시스템의 개발(1) : Ethylene-vinyl acetate 막을 이용한 ethinyl estradiol의 경피흡수

  • 신상철;오인준;이용복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03-103
    • /
    • 1993
  • 목적: Estroge 결핍으로 나타나는 폐경기의 주요 증상을 경감 치료하기 위해, estrogen경구 투여시 위장장애, 위장에서의 대사, 간 초회효과, 자주 투여로 인한 환자의 불편 등의 단점이 있나,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한 투여경로의 하나로 피부를 통해 일정약물을 장기간 일정속도로 송달시키는 경피 흡수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EE)의 장기제어방출을 위해 ethylene vinyl acetate (EVA)를 사용하여 장기 제어방출 및 경피 흡수의 최적화 조건을 설정하여 경피흡수 시스템을 위한 막의 개방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VA 함량이 18-40%까지의 EVA를 사용하여 EE를 함유한 matrix를 casting 방법으로 제조하고 변형된 Keshary-Chien cell을 이용하여 방출실험을 실행하였다. 이때 방출에 미치는 여러 가지 인자로서 EVA 주의 VA함량, 막의 두께, receptor 중 PEG 400의 용량비율, 방출 매개체의 온도, loading 된 약물의 량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리고 점개한 mouse skin에 대한 투과 실험을 행하고 이에 미치는 PEG 400과 자질층의 역할을 검토하였다. 결과: EE의 용해도는 saline so PEG 400의 용량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VA 함량이 증가될수록, PEG 400의 용량비율, 방출 매개체의 온도, loading 된 약물의 양이 증가될수록 PEG 400의 용량비율, 방출 매개체의 온도, loading 된 약물의 양이 증가될수록 EE의 방출속도와 부과속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투과속도는 막두께의 역수와 직선상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EVA matrix로부터 EE가 방출되는 양상은 diffusion-controlled model을 따랐으며 이때 단위면적당 방출된 총량은 T에 비례되었다. 절개한 mouse skin을 통한 EE의 permeation은 PEG 400의 첨가에 의해 상승되었다. 이와 같이 EVA 막이 EE의 부과 및 방출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아 경피 흡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합성 Pyrethroid 계 살충제인 Bifenthrin의 토양환경중 동태 제2보. Bifenthrin의 토양중 분해산물의 동정 및 용탈 (Behavior of Synthetic Pyrethroid Insecticide Bifenthrin in Soil Environment II) Identification of Degradation Product and Leaching of Bifenthrin in soil)

  • 김장억;최태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5-132
    • /
    • 1992
  • 토양 및 수용액조건에서와 자외선조사시의 bifenthrin의 주 분해대사산물을 확인하고 토양중 에서의 용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양 및 수용액조건에서와 자외선조사시 bifenthrin의 일차분해산물은 2-methylbiphenyl-3-ylmethanol로 HPLC, UV, Mass 및 NMR로 확인되었으며 bifenthrin의 주 분해경로는 ester결합의 가수분해 작용으로 나타났다. 자외선 조사시 bifenthrin은 첨가농도 10,100ppm에서 24시간만에 거의 분해 소실되었으며 1,000ppm일 때는 약 80%정도 분해되었다. Soil TLC 및 column상에서 bifenthrin은 거의 용탈되지 않고 표토에 존재하였다.

  • PDF

고영양수액제의 안정성에 대한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측쇄 길이의 영향 (Effect of Triglyceride Chain Length on the Stability of Total Nutrient Admixtures)

  • 고영탁;문홍섭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4-19
    • /
    • 2013
  • Background :긴 측쇄의 트리글리세라이드(long chain triglyceride, LCT)는 대두 또는 홍화씨로부터 제조된 지방유제의 주요 성분이다. 중 측쇄 트리글리세라이드(medium chain triglyceride, MCT)는 LCT와 다른 물리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MCT의 지방산은 LCT의 지방산 보다 작은 분자량을 가지기 때문에 물에 더 잘 녹으며 다른 경로를 통하여 더 빨리 대사된다. Objectives & Methods :본 연구에서는 지방산의 길이에 따른 고영양수액제(total nutrient admixture, TNA)의 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LCT와 MCT 조성을 가지는 4 가지 TNA 처방의 안정성을 실온 및 냉장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Results :그 결과 MCT와 LCT의 혼합 조성의 TNA는 LCT 단독 조성의 TNA 와 유사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MCT와 LCT 혼합 TNA는 LCT 단독 TNA에 비하여 작은 입자크기를 보였지만 외관, 산도, 과산화수소가, 삼투농도, 아연 농도, 니코틴아미드 및 리보플라빈 농도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onclusion : 따라서 MCT와 LCT의 혼합 TNA는 LCT 단독 조성 TNA에 상응하는 안정성을 가지고 LCT단독 TNA을 대체제로 사용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TNA의 2가지 타입 모두 3일 동안 실온과 냉장에서 안정하고, MCT와 LCT의 혼합 TNA는 LCT 단독 조성 TNA보다 생리화학적으로 더 안정하므로 환자들에게 좀 더 효과적인 에너지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흰쥐 태아 뇌간의 일차 세포배양에서 Serotonin의 합성 및 대사에 대한 연구 (Serotonin Synthesis and Metabolism in Dissociated Cultures of Fetal Rat Brainstem)

  • 김영희;송동근;위명복;송준호;최연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6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흰쥐 태아 뇌간의 일차 세포배양을 이용하여 중추 serotonin(5-HT) 신경세포의 연구에 적합한 in vitro 모델을 확립하고, 여기에서 5-HT 대사의 전반적인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배양세포의 5-HT 및 5-hydroxyindoleacetic acid (5-HIAA)함량을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chemical detection (HPLC-EC)방법 으로 측정함으로써 흰쥐태아(태령 14-15일)뇌간으로 부터 얻은 5-HT 신경세포가 배양상에서 2주까지 발달함을 추적할 수 있었고 아울러 이들 세포에서 5-HT의 합성, 저장, 대사의 각 과정을 몇가지 약물들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배양 14일에 5-HT의 함량이 13ng/mg protein으로서 성숙한 흰쥐 뇌속에 존재하는 5-HT의 값과 유사하였다. 5-HT 합성의 속도조절효소인 tryptophan hydroxylase(TPH)의 상경적 억제제인 p-chlorophenylalanine (PCPA)처리시 aromatic L-amino acid decarboxylase (AADC)억제제인 3-hydroxybenzylhydrazine NSD 1015보다 5-HT 및 5-HIAA 함량을 더 많이 감소시켰다. TPH의 기질인 tryptophan은 5-HT의 합성을 현저히 (200%) 증가시켰으며 이 증가는 PCPA로 상당히 둔화되었다. 5-HIAA의 변화도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5-hydroxytryptophan처리시 5-HT 및 5-HIAA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이 증가는 NSD 1015로 거의 차단되었다. 5-HT 대사 경로인 monoamine oxidase (MAO)의 비특이적 억제제인 pargyline과 MAO A의 특이적 억제제인 LY-51641을 처리한 결과 5-HT 함량은 각각 대조군의 295% 및 140%로 증가하여 pargyline이 LY-51641보다 현저한 작용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5-HIAA의 함량은 반대로 현저히 감소하여 pargyline 및 LY-51641에 의해서 각각 대조군의 50% 및 40%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5-HT 신경세포는 일차 세포배양상에서 활발한 5-HT대사가 이루어짐을 HPLC-EC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본 in vitro system은 중추 5-HT 신경세포에 대한 전반적인 약리 및 독성 연구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미세 플라스틱의 종합적 고찰: 근원, 경로 및 시사점 (A comprehensive review of microplastics: Sources, pathways, and implications)

  • ;;;전민수;김영철;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3-160
    • /
    • 2020
  • 미세플라스틱 관련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미세플라스틱(MP)을 5mm 미만의 플라스틱 입자로 정의하고 있다. 미세플라스틱은 자연계에 광범위하게 분포함으로써 인간과 환경에 잠재적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는 물질이다. 특히 미세플라스틱은 인간을 포함하여 살아있는 생명체에게 물리적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신진대사와 호르몬 등과 같은 생태적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에서 미세플라스틱의 근원, 경로 및 영향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수행되었다. 미세플라스틱은 본질적으로 1 차 및 2 차 미세플라스틱으로 분류되며,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에 따라 분류되기도 한다. 미세플라스틱의 주요 경로는 강우유출수와 폐수를 통한 배출이며, 하천과 하구역을 거쳐 해양과 같은 대규모 수역으로 이동한다. 미세플라스틱은 폐수 처리 과정에서 크게 제거되기 때문에 폐수처리장 유출수의 미세플라스틱 농도는 강우유출수 내 농도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다. 그러나 폴리머의 분포 측면에서는 폐수가 강우유출수보다 다양한 폴리머 종류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수와 강우유출수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폴리머 유형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스티렌(PS), 폴리에틸렌(PE)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으로 나타났다.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배출이 증가하고 있는 미세플라스틱의 수는 인간과 다른 생명체에게 미래 위험을 줄 수 있다. 그 동안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연구 결과물의 수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구체적 규제 및 관리 전략을 수립하기에는 많은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폐광지역에서 분리한 quinoline 분해 세균인 Pseudomonas sp. NFQ-1의 특성연구 (Characterization of the Quinoline-Degrading Bacterium Pseudomonas sp. NFQ-1 Isolated from Dead Coal Pit Areas)

  • 윤경하;황선영;권오성;오계헌
    • KSBB Journal
    • /
    • 제18권3호
    • /
    • pp.174-179
    • /
    • 2003
  • 폐광지역으로부터 quinoline (2,3-benzopyridine)을 유일한 탄소원, 질소원, 그리고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세균 NFQ-1을 농화 배양기법을 통하여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균은 그람음성의 간균으로서 BIOLOG 시험을 통하여 Pseudomonas nitroreducens로 동정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Pseudomonas sp. NFQ-1으로 명명하였다. Quinoline의 분해는 호기적 조건하의 B-배지에서 Pseudomonas sp. NFQ-1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균주 NFQ-1 세균은 2.5 mM quinoline을 9시간 이내 완전히 분해하였다. 배양기간 동안 quinoline 분해의 중간대사산물인 2-hydroxyquinoline이 일시적으로 생성되었다가 배양기간 후반부에 사라졌다. 배양의 초기 pH 8.0은 6.8로 감소하다가 배양이 진행됨에 따라 7.0이 되었다. 대상 기질로서 quinolin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장곡선에서 유도기가 길어졌으며, 고농도의 quinoline (>15 mM)은 주어진 조건에서 균주의 생장과 quinoline의 분해를 억제하였다. 부가 질소원으로 7.6 mM $(\textrm{NH}_{4})_{2}\textrm{SO}_{4}$의 첨가조건하에서 Pseudomonas sp. NFQ-1은 2-hydroxyquinoline, p-coumaric acid, benzoic acid, p-cresol, p-hydroxybenzoate, protocatechuic acid, catechol 등의 다양한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었으나 일부 화합물들 (예, 6-hydroxyquinoline, 8-hydroxyquinoline, coumarin, indoline, pyridine, lepidine, quinaldine, 4-bydroxycournarin, benzene, salicylic acid, phenol, phthalate)은 탄소원으로 이용되지 못하였다. euinoline의 분해경로를 규명하기 위하여 catechol dioxygenases의 specific activity를 결정하였다. 그 값은 catechol 1,2-dioxygenase에서 약 184.7 U/mg, 그리고 catechol 1,2-dioxygenase에서 약 33.19 U/mg이었다. 그 결과 균주 NFQ-1은 quinoline를 분해하기 위하여 주로 ortho-분해경로를, 그리고 부분적으로 meta-분해경로를 이용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카드뮴과 납의 다경로 노출량 추정 및 통합 위해성 평가 (Estimation of Multi-Route Exposure and Aggregated Risk Assessment for Cadmium and Lead)

  • 유창우;권훈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87-601
    • /
    • 2020
  • 국내외적으로 유해물질의 통합 노출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다양한 경로를 통해 노출될 수 있는 중금속에 대한 통합 노출 연구가 필요하다. 카드뮴과 납은 각각 신장 독성과 인지 장애 등 다양한 독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발암 물질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카드뮴과 납의 노출량 추정 및 통합 위해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2016, 2017년의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0,733명의 식품, 물, 흡연과 간접흡연, 호흡, 화장품, 여성용 위생용품을 통한 중금속 노출 추정량을 계산하였다. 결과적으로 카드뮴과 납 모두 식품을 통한 노출이 제일 높게 나타났다. 이외에도 흡연은 카드뮴의 주요한 노출원이었으며, 납은 화장품을 통해 높은 농도로 노출되었다. 통합 위해평가에서도 식품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지역적 특성의 차이는 노출 추정량의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으나, 연령 별, 성별 간 노출 추정량은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월경 중인 성인 여성의 경우 카드뮴, 월경 중이지 않은 여성은 납의 노출 추정량이 더 높으며 신체 대사를 고려하였을 때, 그 위험성이 더 클 수 있음을 암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노출량 추정 및 통합 위해평가 모두 식품이 주요 노출원이었다. 다만, 잠재적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경로에 대한 노출량 추정 및 위해평가가 요구된다.

2,7-Phloroglucinol-6,6-Bieckol의 3T3-L1 지방세포에서 GLUT4 활성화를 통한 포도당 흡수 증진 효과 (2,7-Phloroglucinol-6,6-Bieckol Increases Glucose Uptake by Promoting GLUT4 Translocation to Plasma Membrane in 3T3-L1 Adipocytes)

  • 이현아;한지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729-735
    • /
    • 2021
  • 제 2 형 당뇨병은 조직의 포도당 흡수 능력에 이상이 있을 때 발생하며, 인슐린에 의한 포도당 섭취와 신진대사는 혈당을 유지하는 기본 활동이며 포도당 섭취는 인슐린이 세포 표면의 수용체에 결합하여 시작되는 다양한 신호 단계를 거친다. 본 연구는 Ecklonia cava에서 분리된 활성 화합물 인 2,7-phloroglucinol-6,6-bieckol이 3T3-L1 지방 세포에서 인슐린 신호전달체계에 따른 포도당 흡수 증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이다. 2,7-phloroglucinol-6,6-bieckol 은 3T3-L1 지방 세포에서 농도의존적으로 GLUT4의 발현을 증가시켜 원형질막에서의 glucose uptake 를 증가시켰다. 이는 인슐린 신호 전달 경로에서 2,7-phloroglucinol-6,6-bieckol 에 의한 IRS-1, AKT의 인산화 및 PI3K 활성화에 의한 것이다. PHB는 또한 AMPK 인산화와 활성화를 자극했다. 2,7-phloroglucinol-6,6-bieckol에 의한 PI3K/AKT 및 AMPK 경로의 인산화 및 활성화는 wortmannin (PI3K 억제제) 및 화합물 C (AMPK 억제제)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2,7-phloroglucinol-6,6-bieckol 이 3T3-L1 지방 세포에서 PI3K 및 AMPK 경로를 통해 원형질막으로의 GLUT4 전위를 촉진함으로써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2,7-phloroglucinol-6,6-bieckol 가 인슐린 감수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햄프씨드 오일이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mp seed oil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cholesterol diet)

  • 이진아;노성수 ;이우락;신미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4호
    • /
    • pp.361-37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햄프씨드 오일이 고콜레스테롤혈증을 개선시키는 지 확인하기 위하여 Sprague-Dawley rat에 1.25% 콜레스테롤식이를 8주 동안 급여하였으며, 햄프씨드 오일을 두 농도 (저농도, 고농도)로 경구 투여한 후 혈액, 조직 분석을 통하여 지질개선 및 염증 완화 효과를 발휘하는지 분석하였다. 햄프씨드 오일 식이는AMPK/SREBP-2 경로를 경유하여 혈중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PI3IK/Akt/NF-κB의 경로를 유의하게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를 발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신호전달의 경로는 간 조직에서 지질축적의 감소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햄프씨드 오일은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잠재적 후보소재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