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사경로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18초

Malo-Alcohol 발효(醱酵)에 있어서 사과산의 대사경로(代謝経路) (Metabolic Pathway of L-Malate in Malo-Alcoholic Fermentation)

  • 정기택;유대식;송형익;김재근;김찬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0-94
    • /
    • 1984
  • Malo-alcohol 발효효모(醱酵酵母) Schizosaccharomyces japonicus var. japonius St-3에 의한 사과산의 대사경로(代謝經路)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Schiz, japonicus var. japonicus St-3의 조효소(粗酵素)의 활성(活性)을 측정(測定)한 바, malic enzyme(EC1. 1. 1. 40)의 효소활성(活性)이 malate dehydrogenase(EC1. 1. 1. 37)보다 약 4배 높았으며 양효소(兩酵素)의 기질(基質)인 L-malate에 대한 Km치(値)는 malic enzymed l 3. 125mM, malated dehydrogenase는 4. 761mM로써 기질에 대한 친화성(親和性)에 있어서 malic enzyme 쪽이 훨씬 컸다. malo-alcohol발효(醱酵)과정중 사과산이 소시(消矢)되어 pyruvate가 생성(生成)됨을 확인(確認)할 수있었으며 $Mn^{2+}$에 의해 malic enzyme의 활성(活性)이 촉진(促進)되었다. 이상의 결과(結果)로 미루어 본(本) 공시균(供試菌)에 의한 사과산 대사(代謝)의 주경로(主經路)는 $malate{\rightarrow}pyruvate{\rightarrow}acetaldehyde{\rightarrow}ethanol$의 경로(經路)를 거치는 것으로 추정(推定)할 수 있었다.

  • PDF

전사체와 대사물질 구조분석을 통한 Novosphingobium pentaromativorans US6-1의 dibenzofuran 분해 경로 해석 (Investigation of biodegradation pathway of dibenzofuran by Novosphingobium pentaromativorans US6-1 via transcriptomic and mass-spectrometric analysis)

  • 나혜윤;권개경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46-52
    • /
    • 2018
  •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 우수 분해균주인 Novosphingobium pentaromativorans US6-1의 dibenzofuran (DBF) 분해경로를 밝히기 위하여 중간대사물질 분석과 전사체 분석을 진행하였다. GC/MS로 중간대사물질을 분석한 결과, 3(2H)-벤조퓨라논이 검출되었는데 이 화합물은 측면 이산소화에 의해 생성된 중간대사산물들의 기본 골격이 되는 물질로써 균주 US6-1에 의한 DBF의 분해가 측면 이산소화로 진행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RNA-Seq 분석 결과, 균주 US6-1이 DBF에 노출되었을 때 발현되는 유전자들의 대부분이 lateral dioxygenation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N. pentaromativorans US6-1에 의해 일어나는 측면 이산소화를통한 DBF 분해경로와 관련 유전자들을 제시하였다.

무지개송어 (Oncorhvnchus mvkiss) 난소여 포의 협막층 (Theca layers)을 통한 스테로이드 대사 분석 (Analysis of steroid metabolism in the ovarian theca layers of rainbow trout, Oncorphynchus mykiss.)

  • 백혜자;이택열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7-83
    • /
    • 1993
  • 난모세포성숙기 (peripheral germinal vesicle stage)의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를 대상으로 방사성 표지 전구체(3H-pregnenolone, 3H-l7$\alpha$-hydroxyprogesterone 그리고 3H-androstenedione)를 이용하여 유 nitro에서 관찰한 협막세포층의 스테로이드 주 대사 경로는 다음과 같으며, pregnenolone -) 17a-hydroxypregnenolone$\longrightarrow$ 17u-hydroxyprogesterone $\longrightarrow$ androstenedione $\longrightarrow$ testosterone 이는 $\Delta$5-스테로이드 경로의 존재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

  • PDF

동물복지 사육환경이 두 육계 품종의 가슴육 및 다리육의 대사체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nimal-Welfare Environment on the Metabolomic Properties of Breast and Thigh Meat from Two Broiler Strains)

  • 이동헌;정종현;조철훈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39-253
    • /
    • 2021
  • 본 연구는 Cobb종 및 Ross 308종 육계가 동물복지 사육환경에 따라 나타내는 대사체학적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일반농장과 동물복지농장(사육면적, 사육밀도, 암모니아 농도, 볏짚 등 제공)에 1일령의 Cobb종 및 Ross종 육계를 35일간 사육하고, 도계 후 가슴육과 다리육을 채취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대사체 분석은 one-dimensional 1H 핵자기공명분광법을 이용하였고, 직교부분최소자승판별분석(OPLS-DA)과 대사경로 분석을 함께 수행하였다. OPLS-DA 결과 육계 가슴육은 Ross종에 한하여 사육농장간 뚜렷한 구분이 가능하였다. 동물복지농장 유래 Ross종 육계 가슴육은 acetate, anserine, creatine, inosine monophosphate 함량이 일반농장 닭가슴육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반면 육계 다리육은 OPLS-DA 결과 Cobb종 육계에서만 사육농장에 따른 구분이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glucose와 lactate를 포함한 5종의 대사체 함량은 동물복지농장에서 사육된 경우에 높았으나 7종의 유리아미노산을 포함한 9종의 대사체 함량은 낮았다(P<0.05). 대사경로 분석 결과 Ross종 육계 가슴육에서는 4종, Cobb종 육계 다리육에서는 glycolysis/gluconeogenesis를 포함한 20종의 대사경로에서 사육농장 간 유의적인 차이(P<0.05)가 나타났다. 동물복지농장에서 사육된 Ross종 육계 가슴육과 Cobb종 육계 다리육은 일반농장에서 사육된 경우와는 다른 대사체학적 특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풍미 물질에의 뚜렷한 차이를 보여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대사 조절 분석 기법을 이용한 L-Threonine 생산 재조합 대장균 개발 (Development of L-Threonine Producing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using Metabolic Control Analysis)

  • 최종일;박영훈;양영렬
    • KSBB Journal
    • /
    • 제22권1호
    • /
    • pp.62-65
    • /
    • 2007
  • 대사 공학을 이용한 생산 균주 개발의 핵심 기술은 원하는 대사산물을 과량으로 얻기 위하여 기존의 대사회로에서 제거, 증폭, 변경을 시켜야 할 유전자를 선정하는 것이다. 대사조절 분석 기법은 대사 흐름이 특정 효소의 활성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예측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장균의 threonine 생합성 효소 반응 kinetic model과 대사조절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threonine 생합성 flux를 가장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하여 활성 증가가 필요한 효소가 aspartate semialdehyde dehyogenase라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asd가 과발현된 vector와 threonine 생합성 경로의 다른 효소인 aspartate kinase를 coding하는 thrA를 과발현 시키는 vector를 제작하여 threonine 생산 균주인 TF5015에 형질전환하여 threonine 농도를 측정하였다. Flask 배양결과 대사조절 분석 기법으로 확인된 유전자 asd를 과발현시킬 경우가 생합성 경로의 다른 유전자를 과발현시킨 경우보다 더 높은 threonine 농도의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효소 반응 kinetic model과 대사조절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원하는 product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생산 균주를 제작할 수 있게 할 것이다.

Polyhydroxyalkanoate 생합성 연구의 최근 동향

  • 이용현;박진서
    • 미생물과산업
    • /
    • 제20권3호
    • /
    • pp.2-13
    • /
    • 1994
  • PHA 생합성에 관련된 기초 연구도 미생물학, 생화학, 그리고 분자생물학 각도에서 활발히 수행되어, 신규 PHA 생합성 미생물의 탐색, 대사경로 및 조절 mechanism의 규명, 그리고 물성이 개량된 각종 PHA 공중합체의 개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특히 최근에는 recombinant DNA 기술을 이용한 각종 미생물 유래의 PHA 생합성 관련 유전자의 분리와 그 기능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고, 1988년 A. eutrophus의 PHB 생합성 관련 세개의 효소를 coding하는 유전자가 독일의 Steinbchel등(5), 미국의 Dennis 등(6), 그리고 Sinskey등(7,8)에 의해 거의 동시에 cloning되었으며, 이를 이용한 대사 경로 및 조절 기작에 관한 연구가 본격화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재조합 균주를 이용한 PHA의 생산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최근의 연구 성과는 몇 편의 총설(9-12)에 잘 요약되어 있다.

  • PDF

미생물에 있어서 글리옥살라아제 I의 효소학적, 유전학적 고찰 (Enzymatic and Genetic Aspects of Glyoxalase I in Microorganisms)

  • 이해익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3-108
    • /
    • 1990
  • 효모나 세균을 이용한 메칠글리옥살 대사의 효소학적, 유전학적 연구로부터 생물체들은 메칠글리옥살의 해독을 위하여 보편적이고 다양한 경로를 가지고 있음을 알았다. 이들 대사경로 가운데 글리옥살라아제 I은 메칠글리옥살 해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경로이다. 글리옥살라아제 I의 분자구조는 효소의 기원에 따라 크게 다르게 나타났고, 아연 이온은 효소활성에 필수적이었다. Pseudomonas putida의 글리옥살라아제 I은 유전자는 메칠글리옥살리아의 제거제로 작용하였고, 또한 세균의 크기를 조절하는 역활을 가지고 있었다. 본 유전자의 염기배열과 정제효소의 아미노 말단을 비교해 본 결과 아미노 말단의 메치오닌 잔기는 번역 후 제거 됨을 알았다. 그밖에 글리옥살라아제 I의 생리학적 역활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PDF

조사료와 농후사료 급여비율에 따른 젖소 우분의 대사체 탐색 (Research fecal metabolite according to fed different ratios of roughage to concentrate on lactating cow using 1H-NMR analysis)

  • 김현상;이신자;엄준식;이성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32-439
    • /
    • 2020
  • 이 연구는 급여하는 조사료와 농후사료 비율을 달리하였을 때, 우분 내 대사체 비교를 핵자기공명장치로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착유중인 젖소 6마리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조사료와 농후사료 급여 비율(HR 그룹=8:2, HC 그룹=2:8)을 달리 하였다. 우분은 직장을 통해 마리별 1회 채취 하였으며 대사체 분석은 SPE-800 MHz NMR-MS system을 이용하였다. 대사체의 정성 및 정량은 Chenomx NMR suite 8.4을 이용하였으며, 확인된 대사체들을 Metaboanalyst 4.0을 이용하여 다변량 분석, 대사경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program을 이용하여 Dunnett's test로 그룹 간 대사체 평균값을 비교 하였다. 분석 결과, 다변량 분석에서는 그룹간의 분리가 확인 되었으며 확인된 대사체 중 통계분석에는 77개의 대사체가 이용되었다. HC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던 대사체는 succinate를 포함한 dimethylamine, histamine, homovanillate, thymol, acetate, propionate, butyrate, isovalerate, valerate, imidazole, N-Nitrosodimethylamine 그리고 O-Acetylcholine 이다. HC 그룹에서 분석된 대사체들의 평균 농도가 HR 그룹에 비해 높았으며, 분석된 대사경로 또한 HR 그룹에 비해 다양했다. 연구결과, 핵자기공명분광장치를 통해 분석한 우분 내 대사체는 장내 미생물 뿐 만 아니라 체내 대사 그리고 향후 축산 관련 다양한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