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마종자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Cosmetic Efficacy of Supercritical Cannabis sativa Seed Extracts and Enhancement of Skin Permeation (초임계 대마종자 추출물의 화장품 효능과 경피흡수증진 효과)

  • Lee, Kwang Won;Park, Shinsung;Park, Su In;Shin, Moon Sam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4
    • /
    • pp.683-691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yield and to evaluate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Cannabis sativa seed(Hemp seed) extracts extracted using a density fluctuatio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for each temperature condition-30℃(HSSE30), 45℃(HSSE45), 60℃(HSSE60), and to enable dissolution of the poorly water-soluble extracts by liposome formulation and to enhance the skin permeability. As a result of the yield measurement, HSSE60 showed the highest yield, and in the antioxidant activities, HSSE45 ha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showed the highest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t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the extracts. As a result of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a clear zone appeared only in the Propionibateium acnes strain. It was confirmed that particle size was reduced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zeta potential increased in the case of the formulation in which the extracts were in liposomes than in the formulation in which the extracts were dissolved in deionized water, and the skin permeability was improved. Based on these experimental results,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hemp see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s, a poorly water-soluble extract, can be applied as a functional natural material for cosmetics.

새싹대마(Cannabis sativa L.)의 식품공전 등재를 위한 기반 연구

  • 송영재;소주련;강사행;김동구;박재영;남민우;홍창희;박정향;고세웅;김동근;김태현;명제훈;진종식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123-123
    • /
    • 2022
  • 최근 전 세계적으로 대마를 활용한 산업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9년부터 의료목적에 한하여 대마 의약품이 허용되었으나, 현행법 상 관련 의약품의 국내 생산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현재, 대마와 관련하여 식의약소재로 산업화가 가능한 부분은 껍질(포엽과 외종피)이 완전히 제거된 종자 뿐이다. 결국, 대마의 사용이 합법화 되고 있는 미국, 캐나다에 비해 식의약산업에 있어서의 활용 범위가 좁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마 종자를 이용하여 일정 기간 싹을 틔워 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사전 연구를 통해 재배조건에 따른 성분의 변화, 세포독성 등이 검토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새싹대마의 대량생산연구 및 안전성·독성 검토, 생리활성 연구를 계획·수행하고 있다. 다양한 대마 소재를 발굴하고, 이를 산업화할 수 있는 첫걸음으로서 의의를 가진다.

  • PDF

LED광원별 새싹대마(Cannabis sativa L.) 생육 및 염증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확인

  • 송영재;소주련;강사행;김동구;박재영;남민우;홍창희;박정향;고세웅;김동근;김태현;명제훈;진종식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122-122
    • /
    • 2022
  • 현재,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해 규제되고 있는 대마는 “대마초와 그 수지 및 이를 원료로 제조된 제품 일체”에 대한 판매 및 유통이 엄격히 금지되어있다. 예외로, “대마초의 종자·뿌리 및 성숙한 대마초의 줄기와 그 제품”은 규정예외 되어있지만, 이를 식품 및 화장품 등의 산업재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대마의 새싹 및 근경부의 생산량과 안전성이 확보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동일 생육조건하에 LED광원에 따른 대마(Cannabis sativa L.)의 생육 및 생산량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LED광원 별 새싹대마의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식세포인 RAW 264.7에 추출물을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청색광 처리 새싹대마가 생체 중 12.8 g로 가장 높았다 (적색광 10.8 g, 차광 8.8 g). 광원 별 세포독성은 모든 광원별 새싹대마 추출물에서 0.1 ~ 1 mg/ml까지 농도에서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빛을 처리한 조건의 새싹대마가 차광된 조건의 새싹대마보다 생산량이 증대되었으며, 광원별 새싹대마에서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대마 새싹이 식품 및 산업적 소재로서의 경쟁성과 안전성을 가지고 인체에 유익한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 PDF

Variation of Cannabinoids Content in Hemp (Cannabis sativa L.) Produced with Mixed Seeds of Drug and Non-drug Type Varieties (마약형 및 저 마약형 품종 혼합파종에 의해 채종한 대마의 cannabinoids 함량 변이)

  • Moon Youn-Ho;Song Yeon-Sang;Jeong Byeong-Choon;Bang Jin-Ki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51 no.3
    • /
    • pp.187-190
    • /
    • 2006
  • In order to produce hemp with low cannabinoids and appropriate fiber yield, seeds of the IH3 (non drug type germplasm) and local variety (drug type cultivar) were mixed to 1:1, 2:1, 3:1 on base of seed weight ratio and cultivated for seed production. In the seed yield trial, the weight of 1000 grains were around 21 g, which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ratio of IH3 seeds but seed yield were 100 kg/10a, whic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seeds-mixing ratio. In fiber yield trials with seeds from seed yield trial, fiber yield ranged $193{\sim}198kg/10a$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seeds mixing ratio but the content of THC(${\Delta}$-9-tetrahydrocannabinol) was lowered in proportion to the ratio of IH3 seeds. Variation of THC and CBD (Cannabidiol) level in the 150 plant cultivated with various seed mixing ratio reflected that the percentage of drug and intermediate type were decreased but non drug type wer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ratio of IH3 seeds.

마자인 함유처방과 처방 투여 실험동물의 혈액에서 THC, CBD 성분 측정

  • 김동구;진종식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121-121
    • /
    • 2022
  • 마자인(麻子仁)은 뽕나무과에 속하는 대마(Cannabis sativa L.)의 종자로써, 治血虛津虧, 腸燥便秘하며, 中風汗出, 逐水, 利小便, 破積血, 復血脈, 乳婦産後餘疾, 長髮 등에 사용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마자인 종자의 외피에는 환각성분인 Tetrahydrocannabinol (THC) 및 뇌전증과 다발성경화증 등 희귀, 난치성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Cannabidiol (CBD)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외피를 제거한 마자인은 햄프씨드(Hemp Seed)로써 식품으로 이용되지만, 외피를 제거하지 않은 마자인은 의약품으로써 사용이 되고 있다. 마자인은 윤조탕, 자윤환, 마자인환 등 다양한 한의학 처방에 사용되지만, 외피에 함유되어있는 THC 및 CBD의 함유량 및 안전성에 대한 연구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마자인 함유처방의 안전성을 입증하는 실험방법을 설계하였다. 우선 의약품으로 유통되는 마자인의 외피에 THC 및 CBD 성분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마자인을 다양한 용매별 (물, 헥산 등)로 추출한 후 LC/MS를 이용해 성분 유무를 확인한다. 또한, 마자인 함유 처방 (마자인환, 자윤환, 윤조탕 등)을 복용하였을 경우 혈중에 THC 및 CBD 성분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실험동물에 마자인 함유 /처방을 투여한 후 혈액을 채취한다. 마찬가지로 성분 유무를 측정하는 방법은 LC/MS를 이용해 확인한다.

  • PDF

Densified Pellet Fuel Using Woody Core of Industrial Hemp (Cannabis sativa L.) as an Agricultural waste (농업부산물인 산업용 대마(Cannabis sativa L.) 목부를 이용한 고밀화 펠릿 연료)

  • Han, Gyu-Seong;Lee, Soo-Min;Shin, Soo-Jeon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2 no.4
    • /
    • pp.293-298
    • /
    • 2009
  • We prepared densified wood pellet by agricultural waste. The hemp woody core was used as replacing wood resource. Hemp was separated into the bast fiber and the woody core by hot steaming treatment. The hemp woody core had a similar lignin content(19.4%) and carbohydrate composition with hardwood(20-25% lignin in hardwood), respectively. Also, the hemp had a low ash content(0.5%), which resulted in a low ash formation in pellet burning. Heating value of the hemp pellet(18.40 MJ/kg) had a very similar to the pellet made by hardwoods. The hemp woody core could be replaced the hardwood for densified wood pellet.

Breeding of 'Daemani' Cultivar of Gomchwi with Big Leaf and Resistance of Powdery Mildew Disease (흰가루병 저항성이면서 잎이 큰 곰취 '대마니' 품종 육성)

  • Jong Taek Suh;Ki Deog Kim;Jong Nam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17-17
    • /
    • 2021
  • 곰취는 주로 쌈용, 장아찌, 나물용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주로 자생 곰취의 일종인 '곤달비' 라고 하는 종이 많이 재배되고 있다. 일반 곰취에 비해 곤달비는 향이 진하지 않고 씁쓸한 맛이 적어 인기가 많은 종이다. 또한 농가에서는 엽수가 많아 수량이 높기 때문에 재배를 선호하게 된 종이기도 하다. 그러나 곤달비는 수확후 여름을 지나면서 고온건조기에 흰가루병과 식물체가 위축되는 로젯현상으로 잎이 작고 진록색으로 되거나 고사하여 다음해의 수량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렇게 2~3년 재배를 하면 연작장애와 더불어 결주가 생기기 시작하고 수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흰가루병에 저항성이면서 세력이 우수한 한대리곰취와 일반곰취를 교배하여 흰가루병에 강하고 수량성이 뛰어난 계통을 선발하여 그 동안 '쌈마니', '다목이', '곰마니', '수마니', '그린베어' 등 5품종을 육성한 바 있다. 이번에는 용도 다양화를 위하여 잎이 매우 커서 김밥처럼 곰취 밥말 이용을 선발하여 품종을 만들고자 하였다. '대마니' 품종은 2007년 7월에서 9월까지 인공교배를 하여 종자를 얻었으며 2008년 3월에 파종하여 육묘후 포장에 정식하여 생육관리를 하였다. 2013년 생육 및 수량특성 조사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재배되는 '곤달비' 종보다 우수한 7033-1번 개체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7033-1번 개체는 2014년부터 2020년까지 노지포장에서 증식되면서 고농G-7호로 계통화 되었으며 2019년부터 2년간의 생육특성 검정을 통하여 최종 선발하였다. 그리고 2020년 농작물직무육성 품종선정위원회에서 신품종으로 선정되어 '대마니(Daemani)'로 명명되었다. '대마니' 품종의 특성은 엽병귀의 색이 연녹색을 띠고 엽병에 털이 있으며 잎 뒷면에 털은 없으나 광택이 없고. 엽맥밀도는 보통이다. 쌈용, 데침쌈용, 묵나물용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특히 엽장과 엽폭이 39cm와 49cm로 '잎이 커서 밥말이용으로 적당하다. 주당 엽수는 54개로 '쌈마니' 품종보다 매우 적다. 주당 수량은 4,961g 으로 '쌈마니' 1,362g 보다 3배 정도 많았다. 추대시는 8월 28일, 개화시는 9월 16일로 '쌈마니' 품종보다 약 6일 정도 늦었다. 흰가루병 저항성 정도는 '쌈마니' 품종의 중도 저항성에 비하여 전혀 병에 감염되지 않는 강한 저항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특성의 흰가루병 저항성 품종이고 잎이 큰 '대마니' 품종이 농가에 보급되어 출하된다면 밥말이용 등 용도다양화를 통한 새로운 소비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eed Production by Induction of Male Flowers on Female Plants of Hemp(Cannabis saliva L.) (대마 자주의 웅화 유도에 의한 자성종자 생산에 관한 연구)

  • Moon, Youn-Ho;Koo, Bon-Cheol;Choi, Yoyng-Hwan;Ahn, Seung-Hyun;Bark, Surn-Teh;Cha, Young-Lok;An, Gi-Hong;Kim, Jung-Kon;Suh, Sae-Jung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55 no.4
    • /
    • pp.327-332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vercome the deliciousness by sex reversal in hemp plants. When female plants grown under long day length condition were transferred to short day length condition in 3th and 6th leaf stage, a few male flowers were formed and the gap of flowering days between sex reversed male and normal female flowers were around 10 days and 3 days, respectively. Although the flowering amounts were small, this short gaps of flowering days were enough for artificial pollination. When female plants grown under long day length condition were transferred to short day length condition just after treatment of silver nitrate in the vegetative stage, a great amount of male flower was formed and the gap of flowering days between sex reversed male and normal female flowers were only 1 to 3 days. The increased sex reversed male flowers and induced short gap of flowering days were adequate for natural wind pollination. When female seeds were cultivated, seed yield was 141 kg/10a, while it was 96 kg/10a when normal seeds cultivated.

A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Hosta in Korea (한국산 비비추속(Hosta Tratt.)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 Jo, Hyun;Kim, Muyeol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7 no.1
    • /
    • pp.27-45
    • /
    • 2017
  • A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Hosta (Lilliaceae) in Korea was conducted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Hosta clausa varieties share several characteristics (rhizomes with underground stolons, smooth scapes, and purple anthers). Hosta clausa var. normalis has an open perianth, long pistils, and fertile fruit. H. clausa var. clausa can be distinguished from H. clausa var. normalis by its closed perianth and sterile fruit. H. clausa var. geumgangensis has sterile fruit, green petioles, short pistils, and short narrow perianth tubes. H. clausa var. ensata has very narrow, sword-shaped leaves. It can be included in H. clausa var. normalis, which has a large degree of variation in leaf and petiole shape. H. jonesii has smooth scapes, yellow anthers, and bell-shaped flowers.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related species H. tsushimensis found on the Tushima islands in Japan by its wide perianth tube. H. yingeri is distinguished by its funnel-shaped flowers, 3 long and 3 short stamens, and smooth scape; the related species H. laevigata has 6 equally-sized stamens, narrowly lanceolate leaves, and wavy leaf margins. Because H. laevigata is not found in its type locality Isl. Heugsando, its taxonomic position must be determined at a later time. H. minor shares several characteristics (scapes with ridges and yellow-colored anthers) with the related taxa H. venusta. However, H. venusta is changed to H. minor var. venusta because it has overlapping characteristics in plant size, number of flowers, leaf size, and leaf shape. Consequently, the genus Hosta in Korea is classified into 5 species, 3 varieties, and 6 fo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