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마

Search Result 29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Use Situation of Cannabis and Its Value as a Resource Plants (대마의 이용실태와 자원식물로서의 활용가치)

  • Kim, Suk-Kyu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6-6
    • /
    • 2019
  • 대마는 인류가 이용해 온 가장 오래된 약제 중 하나로 그 원산지는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이다. 식물분류학적으로 대마속 일년생 식물로서 Cannabis sativa, Cannabis indica, Cannabis ruderalis 3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종은 Cannabis sativa이다. 대마 재배의 역사는 인류의 시작과 그 궤를 같이하며, 동 서양을 막론하고 고대 문명에서 대마에 대한 기록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기록에 의하면 병의 치료나 심리적 치유 및 신에게 제사를 올릴 때 제사장이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마의 약효에 대하여는 B.C. 2737년 중국의 신농황제시대의 기록에 관절염과 통증등 의료목적으로 사용했던 최초의 기록이 있으며 본초강목과 동의보감에 저술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대마에 관한 문헌 기록은 삼국지 '위지동이전', 삼국사기 '동성왕편'과 삼국유사에 삼베를 사용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봤을 때 대마재배의 역사는 삼국시대 이전으로 볼 수 있다. 우리 민족은 생활 속에서 대마를 즐겨 사용하였으며 삼베로 의복과 멍석, 행주 그리고 칠공예품이나 신발등을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죽음에 이르러 삼베옷을 수의로 사용하였다. 대마의 용도는 뿌리, 줄기, 잎, 꽃대 그리고 씨앗까지 다양하게 이용된다. 전통적으로 줄기의 껍질을 이용한 섬유제품이 있으며 실, 의복 및 밧줄등이 있다. 대마 줄기의 속대는 종이, 건축자재, 연료로 사용된다. 씨앗의 경우 식품과 조류의 먹이, 생약으로 이용되고 씨앗의 기름은 연료, 화장품, 맛사지 오일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환각성분이 있어 마리화나 원료로 사용되는 꽃대와 잎은 의약품의 원료로 주목받고 있다. 대마에 관한 최초의 논문은 1843년에 Cannabis indica의 약효에 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1850년부터 1937년까지 미국의 약전은 대마를 100가지 이상의 질병에 효과가 있는 주요 의약품으로 기재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여러 가지 이유로 대마를 의료 응용과 연구 및 사용을 제한하여 대마에 관한 연구가 침체되었다. 대마의 의학연구는 대마의 약효성분인 칸나비노이드의 발견과 그 구조 및 약효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면서 1960년대부터 증가하였으며 2000년 이후에는 칸나비노이드 및 칸나비디올의 다양한 의학적 효과가 밝혀지면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대마에 포함된 성분의 의학적 효과가 입증되면서 대마 사용을 합법화한 국가가 증가하면서 대마 산업이 급부상하고 있으며, 의료용뿐만 아니라 기호용, 식품용, 그리고 주류 및 음료시장까지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9년 3월 질병 치료 목적 대마성분 의약품을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의료용 대마에 관한 연구와 산업화에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 PDF

LED광원별 새싹대마(Cannabis sativa L.) 생육 및 염증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확인

  • 송영재;소주련;강사행;김동구;박재영;남민우;홍창희;박정향;고세웅;김동근;김태현;명제훈;진종식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122-122
    • /
    • 2022
  • 현재,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해 규제되고 있는 대마는 “대마초와 그 수지 및 이를 원료로 제조된 제품 일체”에 대한 판매 및 유통이 엄격히 금지되어있다. 예외로, “대마초의 종자·뿌리 및 성숙한 대마초의 줄기와 그 제품”은 규정예외 되어있지만, 이를 식품 및 화장품 등의 산업재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대마의 새싹 및 근경부의 생산량과 안전성이 확보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동일 생육조건하에 LED광원에 따른 대마(Cannabis sativa L.)의 생육 및 생산량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LED광원 별 새싹대마의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식세포인 RAW 264.7에 추출물을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청색광 처리 새싹대마가 생체 중 12.8 g로 가장 높았다 (적색광 10.8 g, 차광 8.8 g). 광원 별 세포독성은 모든 광원별 새싹대마 추출물에서 0.1 ~ 1 mg/ml까지 농도에서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빛을 처리한 조건의 새싹대마가 차광된 조건의 새싹대마보다 생산량이 증대되었으며, 광원별 새싹대마에서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대마 새싹이 식품 및 산업적 소재로서의 경쟁성과 안전성을 가지고 인체에 유익한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 PDF

Utilization of LED Plant Factory for Medical Cannabis Cultivation (의료용 대마재배를 위한 LED 식물공장의 활용)

  • Hong, Chang-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7-7
    • /
    • 2019
  • 우리나라에서의 대마는 마약류로 분류되어 기호용과 의료용 모두 법적인 제재를 받아왔으나 최근에 의료용 대마가 법적으로 허용이 되어 환자들에게 처방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대마는 환각성분을 가진 마약류로 깊이 인식되어 왔으며 의료용 대마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노지재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범죄의 위험성, 자연교배에 의한 품질저하를 피할 수 있으며 재배조건(양액, 광조건, 광주기, 대기환경조성)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밀폐형 LED 식물공장은 의료용 대마 생산에 제일 적합한 모델이 될 수 있다. 식물체의 광합성은 가시광선 중 특정 파장 450nm 청색광과 660nm 적생광을 주로 이용하며 'LED (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는 식물체의 광합성에 적합한 파장으로 광원을 조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LED를 이용한 광합성은 식물체의 2차 대사물질 Anthocyanins, phenolic compounds 등의 향상과 생육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식물 뿐만 아니라 광합성을 하는 미세조류(micro algae)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며 해마토 코쿠스(Hematococcus)의 세포증식과 항산화물질 아스타잔틴(astaxathin)생산에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최근 미국과 다른 나라에서도 기호용, 의료용 대마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캐나다와 미국에서는 밀폐형 유리온실과 식물공장을 이용한 의료용 대마를 생산, 추출, 가공까지 하여 산업적인 영역을 넓히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실내재배에서는 광원이 필수적인 요소이며 식물생육에 선택적인 파장을 조사할 수 있는 LED와 재배조건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밀폐형 식물공장을 이용한 의료용 대마 생산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 PDF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for the Hemp Bioindustry (대마 생물산업의 현황과 전망)

  • Sohn, Ho-Yong;Kim, Mun-Nyeon;Kim, Young-Mi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1 no.7
    • /
    • pp.677-685
    • /
    • 2021
  • Cannabis sativa L. belongs to the Cannabaceae family and is an annual herbaceous flowing plant. The plants can be classified into narcotic marijuana and nonnarcotic hemp. Different parts of C. sativa L. have been used as food, medicine, cosmetics, fiber and textile. However, the use of leaf, flower, and seed of C. sativa L was forbidden in Korea in January 1977 as a result of the Cannabis Control Act due to the narcotic properties. The plant's mature stems have limited uses for the production of fiber and sheets. Recently, various cannabinoids, terpenes and essential fatty acids were identified from C. sativa L., and their safety and useful bio-activities, such as neuroprotective, anti-inflammation, antithrombosis, antiepileptic,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the relief of pain, have been highlighted. Furthermore, the process of reduction of tetrahydrocannabinol, a representative narcotic compound, and the isolation of cannabidiol, a nonnarcotic active compound in C. sativa L., have been determined. These findings resulted in the legalization of C. sativa L. in Korea for medical use in December 2018 and the exclusion of C. sativa L. from the narcotic list of the UN Commission on Narcotics Drugs (UNCND) in December 2020. Therefore, developments of various high-value added products have commenced worldwide. Additionally, in 2021, the Korean government deregulated special zones based on hemp.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and the prospect of the hemp industry, as well as essential techniques for developing new hemp products, are provided for the activation of the Korea Green-Rush.

새싹대마(Cannabis sativa L.)의 식품공전 등재를 위한 기반 연구

  • 송영재;소주련;강사행;김동구;박재영;남민우;홍창희;박정향;고세웅;김동근;김태현;명제훈;진종식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123-123
    • /
    • 2022
  • 최근 전 세계적으로 대마를 활용한 산업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9년부터 의료목적에 한하여 대마 의약품이 허용되었으나, 현행법 상 관련 의약품의 국내 생산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현재, 대마와 관련하여 식의약소재로 산업화가 가능한 부분은 껍질(포엽과 외종피)이 완전히 제거된 종자 뿐이다. 결국, 대마의 사용이 합법화 되고 있는 미국, 캐나다에 비해 식의약산업에 있어서의 활용 범위가 좁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마 종자를 이용하여 일정 기간 싹을 틔워 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사전 연구를 통해 재배조건에 따른 성분의 변화, 세포독성 등이 검토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새싹대마의 대량생산연구 및 안전성·독성 검토, 생리활성 연구를 계획·수행하고 있다. 다양한 대마 소재를 발굴하고, 이를 산업화할 수 있는 첫걸음으로서 의의를 가진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annabis Production History Management in Korea -focused on Gyeongbuk Hemp Regulation Free Zone- (국내 대마 생산이력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경북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 사업을 중심으로-)

  • Kim, Han-Sol;Shin, Min-Joon;Pan, Young-Hwa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3 no.5
    • /
    • pp.249-259
    • /
    • 2022
  • More than a year has already passed since the Gyeongbuk Hemp Regulation Free Zone Project was implemented, and it is time to supplement and review the deficiencies in production history management for the domestic hemp industry after the Free Regulatory Zone.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annabis history management in the Gyeongbuk Hemp Regulation Free Zone project were investigated, and problems with current history management were derived using service design tools such as pilot interviews, shadowing, and Customer journey map. The case of the cannabis production system and the CTS recommended for the legal cannabis market in Oregon, a leading country, was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direction was to secure safety through production cycle history management suitable for growth characteristics, efficient technology application for real-time management, and history information sharing.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improve the current hemp production history management system and properly settle the history management system of domestic hemp industrialization in the future.

A Convergence Study on the Direction of Consumption Process of Medical Marijuana in Korea (한국 의료용 대마 사용자의 소비 프로세스 방향성에 대한 융합적 연구)

  • Noh, Soo-Hyang;Pan, Young-Hwa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11
    • /
    • pp.463-470
    • /
    • 2019
  • Currently, the consumption process of Medical Marijuana is complicated, 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patient-centered services. This study defined the consumption process of Medical Marijuana as three steps and five procedures for the user-centered consumption process direction study, and created a consumption journey map through user interviews with experience of purchasing Medical Marijuana to find the pain point in the consumption process. Then, based on the case studies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three scenarios applicable to Korea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scope of implementation. It is meaningful that it is a user-centered study based on the experience of Medical Marijuana consumers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reference data in improving the consumption process in the future.

Evaluation of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of Cannabis sativa L. (대마 부위별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

  • Kang, Deok-Gyeong;Kim, Young-Min;Sohn, Ho-Yong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1 no.6
    • /
    • pp.581-586
    • /
    • 2021
  • The high fatality of COVID-19 (Corona Virus Disease 2019) is closely related to acute pneumonia and severe blood clot formation in brain, heart, kidney and lung. The use of low-molecular weight heparins has been shown to reduce the risk of thrombosis and reduce fatality rates among COVID-19 pati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thrombotic activity of different parts of C. sativa extracts to determine its potential in preventing blood clots in patients with thromboprophylaxis. The extracts of leaf, stem, root, immature flower and seed of C. sativa showed strong inhibitory activities on blood clot formation. In particular, the flower extract showed the strongest inhibitions against blood coagulation factors and thrombin. Strong hemolysis activities were observed in flower extract and seed extract, suggested that removal of the hemolysis active compounds in th extracts is necessary. This is a first report of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of C. sativa extracts, and our results suggest that C. sativa extract has potential has a valuable bioresource for high-value products.

A Numerical Model on the Inflow into the Japan Sea: the Formation and Transport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동해 해수유입에 대한 수치모델: 대마난류 형성 및 수송량)

  • NAM Soo-Yong;SEUNG Yong-Ho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5 no.1
    • /
    • pp.58-64
    • /
    • 1992
  • A barotropic model is run over the Northwest Pacific Ocean to examine the formation and transport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sushima Warm Current is a downstream extension of the Taiwan Warm Current. Local wind does not change the amount of transport of Tsushima Warm Current but it changes much the initial flow pattern of Tsushima Warm Current such that for southerly wind, the transport is through the Taiwan Strait but for northerly wind, it is through the eastern side of Taiwan.

  • PDF

Verific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ion of Ethanol Extracts from Hemp Seed (Cannabis sativa L.)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대마씨 발효 추출물의 생리 활성 및 미백 활성 검증)

  • Yoon, Yeo-Cho;Kim, Byung-Hyuk;Kim, Jung-Kyu;Lee, Jun-Hyeong;Park, Ye-Eun;Kwon, Gi-Seok;Hwang, Hak Soo;Lee, Jung-Bok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8 no.6
    • /
    • pp.688-696
    • /
    • 2018
  • Hemp seed (Cannabis sativa L.; HS), an annual herbaceous plant in the Cannabis genus, has been reported to play various biological functions in immunity increase, atherosclerosis, constipation, hyperlipidemia prevention,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In recently years, as superfood, the growing interest in the health care benefits of hemp seed has led to increased consump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n ethanol extract of HS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7, L. plantarum KCTC 3108, L. brevis BHN-LAB128, L. paracasei BHN-LAB129). An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 were 13.99 mm and 15.17 mm, respectively. The ethanol extracts of fermented hemp seed by lactic acid bacteria that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OD-like activity,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ere increased compared to non-fermented hemp seed. Also,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fermented hemp seed (FHS), known to melanin increasing substance was increased. I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at FHS have effects of anti-oxidant,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Hence, we proposed that FHS has possible to development as functional foods and cosme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