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환경 관리

Search Result 833, Processing Time 0.04 seconds

Uncertainty Evaluation of NOx Measurement in Ambient Air (환경대기 중 NOx 측정의 불확도 평가)

  • 임종명;이진홍;우진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141-142
    • /
    • 2002
  • 대기환경 기준물질(criteria pollutants)은 NOx를 비롯하여 $O_3$, CO, SOx, PM 10, Pb 인데, 이러한 물질은 환경부에서 법적으로 규정한 대기오염공정 시험법에 따라서 분석된다. 대기오염공정 시험법이 충분한 과학적 근거를 갖는 분석법이 되기 위해서는 분석방법, 분석기기, 분석자 등에 의해 발생되는 불확실성을 최소화시키는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고, 분석기술의 발달수준, 측정분석의 요구수준, 새로운 국제 규격 통에 맞게 지속적으로 보완되어야 한다. (중략)

  • PDF

Blue Sky Project and Impact Assessment - Examples of Urban Air Quality Management of Agenda 21 in Indonesia - (푸른하늘과 영향평가 - 인도네시아 아젠다21 도심 대기질 전략의 사례를 통하여 -)

  • Lee, Sang-D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2 no.5
    • /
    • pp.529-536
    • /
    • 2013
  • 인도네시아 정부의 아젠다21은 지속가능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지원하는 정부-기업-시민 3자 시스템이다. 국가의 경제개발과 환경적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국가의 의지이다. 인도네시아는 대기질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도시대기질관리전략은 1992년 대도시환경개성프로그램으로 채택되었다. 도시대기질프로그램(UAQP)는 '푸른하늘'을 목표로 하며 UAQP는 각 전략단계에 대기오염의 원인을 찾아내고 실행전략으로 유도한다. 아젠다21을 대기질 유지를 위해 수행하는 좋은 예이며 푸른하늘전략은 지속가능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프로그램이다.

An Overview on China's Recent Air Pollution Regulation and Management Policy (중국의 최근 대기오염 규제 및 관리 정책에 대한 고찰)

  • Choi, Min Uk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7 no.3
    • /
    • pp.569-611
    • /
    • 2018
  • Rapid economic growth,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China have tremendously degraded the overall quality of living environments, especially the air quality, not only negatively affecting Chinese people but also impacting citizens of neighboring countries, namely Korea. The Chinese government has invested much effort to regulate the air pollution due to burning coal through introducing strict environmental monitoring policies and aggressive implementation. This paper presents an overview of Chinese air pollution prevention policy due to burning coal, and the associated trends and specifics of institutional arrangements regarding air pollutant emission regulations. It turns out that the policies have become stricter than before; some polices are geared towards enforcing extra regulation at the regional level. It is expected that the regulation will become stricter in the future. However, the actual contribution and feasibility of such policies must be analyzed based on sound science. The policies seem to care little about influencing the air quality of Korea, and this has to be improved. In order to do so,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environment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and better yet to research on not only the air quality but also the associated fields, such as energy, industrial technology, and global environmental governance.

Study on Development of the Air Pollution Management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of Air Pollution (대기오염 재해방지를 위한 대기오염 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Lim, Ik-Hyun;Hwang, Eui Jin;Ryu, Ji Hyeob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cietal Security
    • /
    • v.2 no.1
    • /
    • pp.65-74
    • /
    • 2009
  • In this study, the air pollution management system based GIS has been developed to estimate the emission rate and air pollution modeling of air pollutants, effectively. This system is able to estimate emission rate of air pollutant and to analyze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with high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 air pollution modeling. The air pollution management system was applied to Gwangyang Bay including large industry complex with a large number of emission sources. The air pollution management system was constructed using the spatial database of emission sources in Gwangyang Bay. It was found that the estimated emission rates of air pollutants is similar to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in Gwangyang Bay. Als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ollutants was similar to the location of emission sources. The predicted results of air pollution model was showed a good correlation coefficient (0.75) for TSP. The air pollution management system is expected to be effective tool (database system (GIS)) for the management and the control of air pollution.

  • PDF

Sampling and Analytical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Ambient Air (환경 대기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포집과 분석방법)

  • 백성옥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12 no.1
    • /
    • pp.1-13
    • /
    • 1996
  • 최근들어 발암성 혹은 돌연변이원성에 관련된 환경인의 영향에 관한 직접 혹은 간접적인 증거가 늘어감에 따라 대기환경에서 검출되는 화학적 발암성 물질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수 많은 종류의 발암성 화학물질중 측히 독성 유기화합물은 주변환경에 널리 분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여 적절한 관리가 어렵고 또한 일반적으로 대기중에 극미량 수준으로 존재하므로 측정, 분석이 어려워 그 위해성을 정확히 평가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다른 물질보다 더 많은 연구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IARC, 1983; WHO, 1987; Calabrese & Kenyon, 1991; Field et al., 1992).

  • PDF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 종 산정기준 변경

  • 환경보전협회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v.26 no.1_2
    • /
    • pp.29-33
    • /
    • 2004
  • 지난해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의 개정에 따라 대기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의 종 산정기준이 변경되었다. 금년부터 적용 되는 변경된 종 산정기준 내용을 간략하게 파악해보고자 한다.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관리업무를 수행하는사업장에서 관련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는데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PDF

POLICY & ISSUES 기획특집_1 - 대기오염물질 관리강화 및 정책추진 방향

  • Jo, Byeong-Uk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06
    • /
    • pp.9-12
    • /
    • 2013
  • 우리나라는 인구대비 좁은 국토면적과 수출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로 단위면적당 대기오염물질 배출부하가 높을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게다가 바람이 주로 물어오는 방향인 서쪽에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이 위치하고 있어 대기질 관리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정부는 국민들이 편안히 숨 쉴 수 있는 깨끗한 공기를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 PDF

Monitoring of Trace Elements and Airborne Particulates in Taejon Areas using Neutron Activation Analysis and Gent Air Sampler (Gent Air Sampler와 중성자방사화분석을 이용한 대전지역의 대기분진중 미량금속 측정연구)

  • 정용삼;문종화;김선하;백성열;박광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330-332
    • /
    • 2000
  •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쾌적한 대기환경의 관리 유지는 우리 모두의 관심사중의 하나이다. 호흡기관을 통해 인체내로 흡입되는 $PM_{10}$ 대기분진은 자연적이고 인위적인 발생원에 의해 다양한 미량원소들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흔히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대기관측시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PM_{2.5}$ 분진의 질량농도(TSPM)나 원소의 농도가 높을 때 장.단기적으로 인체 보건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