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전력

Search Result 505,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Program and Technical Trends for Standby Power in Smart Electronic Appliances (스마트 가전의 대기전력 프로그램 및 기술 동향)

  • Kim, T.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8 no.2
    • /
    • pp.86-96
    • /
    • 2013
  • 본고에서는, 국내외 대기전력 감소 프로그램 소개를 통해서 스마트 가전 시장의 대기전력 요구사항을 살펴보고, 해당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기술 동향을 분석하고, 장기적인 스마트 가전 소모전력 감소를 위한 기술 방향을 제시하였다. 대기전력 감소 프로그램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전력반도체를 통한 수동대기 상태의 소모전력 감소 기술과 능동대기 상태의 소모전력 감소 기술개발이 동시에 추진되어야 한다. 더불어, 대학 및 연구소를 통한 장기적 지속적인 원천기술 확보와 기업들의 실험적 접근을 제공하는 인프라 구축의 동반 전략과, 더욱 강력한 대기전력 감소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기술개발의 필요성을 폭넓게 증대시키는 전략적 접근이 바람직하다.

  • PDF

Standby Power Saving Mechanism of a Set-Top Box having Standby Mode that Supports Network Interworking (네트워크 연동을 지원하는 대기모드를 가진 셋톱박스의 대기전력 저감 방법)

  • Park, Hyunho;Byon, Sungwon;Jung, Eui Suk;Park, Young-Su;Lee, Yong-Tae;Ryu,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98-101
    • /
    • 2015
  • 최근, 텔레비전을 시청하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의 셋톱박스의 대기 전력이 여타 가전기기의 대기 전력보다 10 배 이상을 상회하고 있어, 셋톱박스의 대기전력 저감은 국가적으로도 관심을 받고 있다. 셋톱박스의 대기전력 저감을 위해 대기상태의 셋톱박스의 최소전력 동작 모드인 수동대기모드가 제안되었지만, 셋톱박스가 수동대기모드에서는 셋톱박스의 업데이트 및 제어가 어려우므로, 셋톱박스의 수동대기모드 활용은 어려울 것이다. 본 논문은 수동대기모드에 가까운 대기전력을 소모하면서도 대기상태에서도 셋톱박스의 업데이트를 제공할 수 있는 망연동수동대기 모드를 정의하고, 망연동수동대기모드를 이용한 셋톱박스의 업데이트를 위한 셋톱박스 제어기법을 제안하고, 이 제어 기법을 위한 셋톱박스와 네트워크의 구조, 기능, 시그널링에 대해 설명한다. 본 논문의 망연동수동대기모드와 제어 방안은 셋톱박스 사업자 측면에서 활용성이 높으므로, 낮은 대기전력을 소모하는 셋톱박스 시장을 활성화하여 국가 및 세계적인 전력 감소에 큰 기여를 할 것이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utomatic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Occupant's Location (재실자의 위치에 따른 자동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Im, Kyoung-Mi;Lim,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b
    • /
    • pp.690-692
    • /
    • 2011
  • 본 논문은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의 대부분은 사용자의 임의에 의해 On/Off 제어를 수행하거나 일정시간 해당 가전기기의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상태를 자동감지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들은 사용자의 개입에 의해 수동으로 재가동해야 하므로 기기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전체의 재실을 감지하여 모든 구역의 대기전력을 차단 혹은 해제하는 시스템의 경우는 모든 구역의 대기전력을 사용자 부재시까지 모두 해제하게 되므로 이로 인한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은 재실자의 구역에 따라 미사용 가전기기들의 대기전력을 자동으로 On/Off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위치에 기반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Policies of the Developed Countries for Reducing Standby Power in Electronic Appliances (전기전자 기기의 대기전력 절감을 위한 주요국들의 정책)

  • 김은동;서길수;김남균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3.05a
    • /
    • pp.457-460
    • /
    • 2003
  • 대부분의 전기전자기기는 주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단지 전기 플러그만 연결된 상태에서도 수 와트 정도의 전력을 소모하는데 이를 대기전력이라고 한다. 대기전력은 전기전자기기의 급속한 보급확대와 사무자동화 및 홈 오토메이션의 가속화로 점점 국가적 차원의 주요 에너지 문제로 대두하게 되었다. 본 발표에서는 대기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선진국들의 제도와 정책을 조사하고 대기전력 절감을 위한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노트북 컴퓨터 AC/DC 어댑터의 대기전력 저감기법

  • Choe, Seong-Uk;Yu, Byeong-U;Lee, Jong-Dal;O, Dong-Seo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07a
    • /
    • pp.273-274
    • /
    • 2010
  • 60W급 노트북 컴퓨터 AC/DC 어댑터의 대기전력을 저감하기 위한 기존 기법들을 살펴보고 0.1W미만의 입력 대기 전력을 만족하기 위한 새로운 초저전력 대기모드 동작기법을 제안하고 간략한 실험을 결과를 제시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Standby Power Controller according to User-Dependent Appliance Usage Pattern (사용자별 기기 사용패턴에 따른 대기전력 컨트롤러의 설계)

  • Im, Kyoung-Mi;Lim,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b
    • /
    • pp.693-69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최근 발생되는 기상이변의 원인인 에너지의 과도한 사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동안 낭비되고 있는 대기전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의 경우 일정 전력 이하의 전력량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차단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나 재가동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수동 제어에 의존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에 본 논문은 사용하지 않는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전력을 재공급하는 대기전력 컨트롤러를 구현한다. 기기의 전력 재공급은 각 사용자별 기기 사용패턴을 고려하여 구현하였으며, 이때 사용자의 구분은 2개의 Ultrasonic 센서로부터 산출된 사용자의 키와 무게 감지 센서로부터 산출된 사용자의 몸무게를 활용하였다.

  • PDF

Technical Trend of Standby Power Reduction (대기전력 절감기술의 기술적 동향)

  • Seo K.S.;Kim E.D.;Kim S.C.;Kim N.K.;Kim K.H.;Kim H.W.;Bahng W.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summer
    • /
    • pp.1534-1536
    • /
    • 2004
  • 오늘날 대부분의 기기들은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단지 플러그만 꼽혀 있어도 전력을 소모하는데 이를 대기전력(standby power)라고 한다. 오디오와 비디오 제품의 경우 리모콘이나 시간예약 기능이 추가되어 전력을 소모하지만 대기전력절감을 위한 EPA, GEEA, AGO, IEA 및 국내의 KEMCO의 노력으로 off-line기기의 대기전력은 기술적으로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지능형 home networking 또는 smart home이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추진되는 등 정보가전기기의 Network화에 의한 대기전력은 점차 증가할 전망이다. 본 논문에서는 Networked기기의 대기전력절감의 최근 동향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 PDF

A Study on reduction methode of standby power lose for induction-heating cooker (유도가열 조리기의 대기전력 저감 방법에 관한 연구)

  • Kim, Min-Jo;Ahn, Kang-Soon;Oh, Young-Se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934-935
    • /
    • 2008
  • 본 논문은 유도가열 조리기 회로에서 대기시 사용되는 전력 절감방법을 제안한다. 고안된 제어 방식은 주 전원 라인에 Relay를 추가하여 대기시 주 인버터 회로 전력 소비를 차단하고, 보조전원으로 사용하는 SMPS의 다출력중 대기시 사용되지 않는 출력들을 Relay를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차단하는 방법이다. 제안된 방법으로 대기시 소비되는 전력을 1W 미만으로 절감하고, 이를 회로에 적용하여 대기전력을 측정하였다.

  • PDF

Standby power reducing method of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requiring standby mode (대기모드가 있는 무선 급전 시스템의 대기 전력 저감 기법)

  • Kim, Moon-young;Kang, Jeong-il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07a
    • /
    • pp.136-138
    • /
    • 2019
  • 무선급전 시스템에서 대기 모드 시에도 전력을 소모하는 비중이 큰 수신부 통신 모듈을 OFF 시켜서 대기전력을 낮출 수 있다. 이때 대기모드 시 PFC 동작을 OFF 시키게 되면 추가로 대기전력을 더 낮출 수 있지만 PFC가 OFF된 상태에서는 AC 입력전압 크기에 따라 인버터 입력 전압 범위가 크게 변동하게 된다. 하지만 수신 통신 모듈 OFF시에는 무선통신을 통한 출력전압제어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정적인 전력전달이 힘들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기모드 시 출력전압을 일정 수준으로 제어하기 위해, 입력전압 크기에 따른 Feed-forward 구조를 통하여 동작 주파수를 가변 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 PDF

SMPS for Low Standby Power Consumption (대기전력저감을 위한 SMPS)

  • Chung, Bong-Geun;Jang, Sang-Ho;Kim, Eun-Soo;Choi, Moon-Gi;Lee, Jae-Sam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8.10a
    • /
    • pp.146-149
    • /
    • 2008
  • 최근 대기전력저감기능을 갖는 PWM IC를 적용한 플라이백 컨버터는 대기전력 모드 시 Burst 스위칭 동작에 의해 소모 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지만 경 부하 및 대기전력모드 시 변압기를 통해 흐르는 큰 여자전류에 의해 여전히 낮은 효율특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경 부하 및 대기전력모드 동작 시 변압기에 흐르는 여자전류를 최소화함으로 효율을 개선한 회로를 제안하였으며 50인치 PDP TV PSU (Power Supply Unit)에 있어서 대기전력 및 보조전원으로 사용된 74W 플라이백 컨버터에 적용하여 비교 검토하여 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