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Search Result 296,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Studies on the Methodology of a Hybrid Model for Emission Dispersion Analysis (대기오염 확산분석을 위한 복합모형 방법론 연구)

  • Yang, Choong Heon;Koo, Youn Seo;Kim, In Su;Sung, Jung-G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1 no.2
    • /
    • pp.69-79
    • /
    • 2013
  • This study suggests a specific methodology to analyze how emission impacts on regional emission concentr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weather conditions, and the need of its application. The suggested methodology was applied to a transportation network of Pochun area in Gyenggido as an example. The methodology contains two types of analytical models; 1) dispersion analysis based on emission from traffic, and 2) dispersion analysis based on the combination between emission from traffic and existing emission in the air. By doing so, it is expected that the comprehensive influence of emission on traffic network and its surrounding areas can be identified. In addition, it might be useful for us to apply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based on the effect of emission on the people.

Valuation of Air Pollution related to Road Traffic in Seoul (대기오염의 경제적 가치 추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를 사례로))

  • 김강수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4
    • /
    • pp.39-48
    • /
    • 2002
  • 본 논문의 목적은 교통계획 및 투자 사업의 평가에 있어 대기오염 요소를 고려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초자료인 대기오염에 의한 경제적 가치를 추정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가상적인 주택선호자료를 바탕으로 대기오염 개선에 대한 가구의 지불용의액을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기오염 피해의 화폐적 가치를 추정한다 특히, 국내에서는 적용된 바 없지만 마아케팅 및 교통수요 분석 부문에 있어 시간가치, 교통수단의 안락감 등 비계량적 요소의 경제적 가치 측정에 많이 사용되는 SP(Stated Preference)기법을 사용해서 대기오염 피해에 대한 화폐가치를 추정한다. 연구결과 가구의 점유형태에 따라 대기오염에 대한 경제적 가치가 유의적인 차이가 존재하며 도로교통에 의한 대기오염 1%의 경제적 가치는 240만원/가구.년으로 분석되었다. 대기오염물질별 경제적 가치를 살펴보면 $O_3$ 0.01ppm의 경제적 가치는 55.40만원/가구.년, N$O_2$ 0.01ppm 18.33만원/가구.년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통투자사업의 평가에 있어 환경적 요소를 고려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였으며, 교통분야 뿐만 아니라 환경관련 정책의 수립 분석에 중요한 기초 결과가 제시되었다. 본 결과가 교통분야에 더욱 유용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교통투자사업 또는 교통관리에 따른 교통량의 변화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이 연구가 이루어지면 본 연구가 제시한 결과치는 교통투자사업의 편익/비용 분석에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한계로서는 조사지역이 전국에서 환경오염이 심한 서울지역에서 조사가 한정되었다는 점이며 이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가 필요하다.

A Study on the Variation of Air Pollutant Emission by Economic Crisis in KOREA, 1998 (1998년 한국 경제위기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Jang, Young-Gi;Choi, Sang-Jin;Kim, Gwan;Song, Gi-Bong;Kim, Ho-Jung;Cho, Gyu-Tak;Hong, Ji-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59-61
    • /
    • 2002
  •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하여 1995년에는 1인당 국민총생산(GNP)이 $10,000를 넘어서게 되었다. 그러나 1997년 말 IMF 경제위기의 영향으로 1998년에는 1990년대 초반의 GNP도 못 미치는 $6,744로 하락하게 되었으며, 전년대비 -35% 라는 최악의 GNP 하락을 초래하였다. (그림 1, 2. 참조) 이에 IMF 경제위기가 우리나라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에는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중략)

  • PDF

Environmental Pollution in Korea and Its Control (우리나라의 환경오염 현황과 그 대책)

  • 윤명조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72.03a
    • /
    • pp.5-6
    • /
    • 1972
  • Noise and air pollution, which accompany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the increase of population, contribute to the deterioration of urban environment. The air pollution level of Seoul has gradually increased and the city residents are suffering from a high pollution of noise. If no measures were taken against pollution, the amount of emission of pollutant into air would be 36.7 thousand tons per year per square kilometer in 1975, three times more than that of 1970, and it would be the same level as that of United States in 1968. The main sources of air pollution in Seoul are the exhaust has from vehicles and the combustion of bunker-C oil for heating purpose. Thus, it is urgent that an exhaust gas cleaner should be instaled to every car and the fuel substituted by less sulfur-contained-oil to prevent the pollution. Transportation noise (vehicular noise and train noise) is the main component of urban noise problem. The average noise level in downtown area is about 75㏈ with maximum of 85㏈ and the vehicular homing was checked 100㏈ up and down. Therefore,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bus-stop the strict regulation of homing in downtown area and a better maintenance of car should be an effective measures against noise pollution in urban areas. Within the distance of 200 metres from railroad, the train noise exceeds the limit specified by the pollution control law in Korea. Especially, the level of noise and steam-whistle of train as measured by the ISO evaluation can adversely affect the community activities of residents. To prevent environmental destruction, many developed countries have taken more positive action against worsening pollution and such an action is now urgently required in this country.

  • PDF

QA/QC for PAMS Station and VOC Concentration Trends (광화학평가측정망 정도관리 현황과 VOC 농도 특성)

  • 한진석;홍유덕;김상균;김철희;김웅선;이창호;이석조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25-125
    • /
    • 2003
  • 우리나라 대기질은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와 산업활동이 활달해짐에 따라 VOC, NOx 의 배출량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따라 광화학 오존등 2차오염물질에 대한 대기오염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오존에 의한 대기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환경부에서는 2002년부터 서울의 정동, 불광동 둥 수도권 8개 지점에서 광화학평가측정망을 운영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들 광화학평가측정망의 정도관리현황을 검토하고 측정지점별 오존전구물질(VOCs) 농도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Evalution of Motorcycle Exhaust Emission (이륜자동차 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 김종춘;이종태;엄명도;박용희;곽순철;유영숙;임윤성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7-168
    • /
    • 2003
  • 우리나라는 1987년 7월부터 휘발유 및 LPG 연료 사용 자동차에 배출가스 저감장치인 삼원촉매(3way catalytic converter)를 부착하였고 배출가스 측정방법도 중량규제(g/km)로 하였다. 그러나 이륜자동차는 2001년부터 2행정기관에 대해서 산화촉매를 부착토록 하였으며, 오염물질 측정방법도 2000년에 이르러 정지가동시 측정하는 농도규제(%)에서 트랜지언트(transient)방법에 의한 중량규제(g/km)로 강화하였다. (중략)

  • PDF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 concentration of asbestos in buildings (건물의 실내공기 중 석면 분포 특성)

  • 김윤신;이철민;박원석;문정숙;엽무종;이태형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427-428
    • /
    • 2003
  • 현대인의 경우 대부분이 하루 중 80% 이상의 시간을 어떤 형태의 가정, 사무실, 공공건물, 학교, 병원, 지하시설물, 상가, 음식점, 자동차, 지하철 등의 실내공간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특히 어린이와 노약자, 병약자들의 경우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고 있는 실정에 있어 실내공기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실내환경에는 대기환경과는 달리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으로 매우 다양한 오염물질들은 복합적인 배출원에서 기인되며 그 배출량은 물질에 따라 상당히 편차가 있을 뿐 아니라 오염물질 농도분포 역시 시간적, 공간적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실내공기의 상태는 일차적으로 외부공기의 영향을 받게 되고 이차적으로는 담배연기, 스토브, 오븐, 시멘트, 건축자재, 페인트 및 벽면의 입자상 물질 등과 같은 실내오염원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오염상태가 심해진다. (중략)

  • PDF

An Analysis of Changes in Air Pollutant Emissions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Special Act on the Improvement of Air Quality in Port Areas -Focusing on Incheon Port (항만지역등 대기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 도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변화 분석 -인천항을 중심으로 )

  • Lee, Min-Woo;Lee, Hyang-Sook;Lee, Jung-Wook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9 no.3
    • /
    • pp.107-122
    • /
    • 2023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reducing air pollutant emissions of the ship fuel oil sulfur content regulation policy, which has been gradually introduced for three years. In addition, the emission reduction effect of VSR and AMP was also analyz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NOx, CO, VOC, SOx, TSP, PM10, and PM2.5, which are provided by EEA, and the spatial scope of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Incheon Port, which i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of Korea and has a large ripple effect on air pollution. Three scenarios were constructed for analysis. Scenario 1: If there is no policy, Scenario 2: If only fuel oil sulfur content regulation was implemented, Scenario 3: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reflecting fuel oil sulfur content regulation, VSR, and AM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case of scenario 1, 4,801 tons, 4,932 tons, and 5,144 tons of air pollutants were emitted during the three-year period. In Scenario 2, 4,219 tons, 4,152 tons, and 3,989 tons were discharged, and in Scenario 3, 4,198 tons, 4,138 tons, and 3,973 tons were discharg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nticipated to be applied as fundamental research in port air environment management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air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