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Search Result 295,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Estimation of $SO_2$ and NOx Emissions for the Long-range transport Modeling in Korea (장거리이동 예측 모델링을 위한 우리나라의 $SO_2$ 및 NOx 배출량 산정)

  • Kim, Jung-Su;Kim, Rok-Ho;Yoo,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167-169
    • /
    • 2000
  • 최근의 대기확산 모델링은 도시규모 뿐만 아니라 동북아지역의 대기오염물질 장거리이동 현상을 다루는 빈도가 매우 높아졌다. 모델링을 위해서는 기상자료와 배출량자료를 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도로 수행중인 '동북아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공동 조사사업(LTP project)'과 관련하여 모델링분야의 공동 수행과제인 SO$_2$ 및 NOx 배출량 산정에 관한 것을 소개하였다. UNDP가 제안한 배출원 목록 수립방법을 이용하여 1998년에 대한 1$^{\circ}$$\times$ 1$^{\circ}$ 간격의 격자형 자료가 산정되었으며, 향후 LTP project의 모델링분야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중략)

  • PDF

Risk based benefit estimation according to replacement scenarios of CNG bus (천연가스버스 대체 시나리오에 따른 위해도 편익 평가)

  • 김예신;임영욱;이용진;신동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405-406
    • /
    • 2002
  • 서울시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 중 맡은 부분이 자동차 배출물질에 의한 것임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이 중 디이젤 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 배출량의 기여도가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환경부에서는 디이젤의 대체 연료인 천연 가스를 시내 버스에 적용하여 점차적인 보급을 계획 중에 있다. 청정연료로 알려진 천연가스는 특히 입자상 물질이나 오존 등의 감소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The Analysis of Technology and Penetration Environment of Natural Gas Vehicle In Korea (천연가스 자동차 기술 및 보급 여건 분석)

  • 김기동;신동현;한정옥;강광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145-146
    • /
    • 2001
  • 1999년도 전국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371만톤으로 이 중 자동차 배출가스가 약42%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서울등의 대도시의 경우 자동차공해 비중이 약80%를 넘어서기도 하여, 시민 건강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자동차 배출 오염물질은 휘발유, 가스연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 및 미량의 황산화물이 주로 발생되며, 경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PM이 배출된다. (중략)

  • PDF

A Study on Grid Assignment Method of Emission from Area and Mobile Sources (면/이동오염원 배출량의 격자 할당방식 대한 연구)

  • 박일규;김현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394-394
    • /
    • 2001
  • 배출량 산정방법 정의서(환경부, 2000)에서는 점오염원을 제외한 면오염원과 이동오염원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공간할당은 개별 오염원의 배출량을 격자에 배분하여 합산하는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TM-좌표상에서 1km x 1km로 구성된 격자에 배출량을 할당하게 된다. 국가 전체로 보면 1km x 1km 격자계는 상세정보이지만 대부분의 대기영향평가의 대상범위는 국지규모이므로, 이 경우 1km x 1km 격자 할당방식으로 구성한 배출정보를 사용할 경우 부정확한 예측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중략)

  • PDF

Vehicle Emission Calculation by Using Traffic Volume (통과 교통량 자료를 이용한 자동차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 박성규;김신도;윤중섭;황의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152-154
    • /
    • 2000
  • 서울지역의 자동차에 대한 정확한 대기오염 기여도의 확인 없이 대기오염의 약 85%를 자동차가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하여 광화학 스모그(고농도 오존농도) 유발 등이 자동차의 기여로 간주하고 있다. 따라서, 서울의 대기오염의 주원인으로 간주하고 있는 선오염원에 대한 자료 구축의 체계가 조속히 확립되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Calculation of Air Pollutant Emissions from ships at Incheon Port and the Effects of Eco-Friendly Policies (인천항 선박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및 친환경 정책 효과에 대한 연구)

  • Lee, Jungwook;Lee, Hyangsook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8 no.1
    • /
    • pp.129-142
    • /
    • 2022
  • In the past, interest in air pollution was concentrated on greenhouse gases, but in recent years, interest in fine dust has been increasing. The media and environmental organizations continue to emphasize air pollution caused by fine dust. The awareness of fine dust is increasing, and air pollution generated at ports is analyzed to be serious as a domestic factor excluding foreign inflows. Recognizing this, in order to reduce air pollution generated at ports, special laws on improving air quality, such as port areas, have been enacted in Korea, and attempts are being made to curb air pollution caused by ports. In this law, it is a policy that regulates air pollutants generated not only by ships but also throughout ports such as vehicles and unloading machines, and representative are ECA, VSR, and AMP.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se eco-friendly policies at Incheon Port. First of all, a study was conducted to calculate emissions assuming that there was no policy, analyze each policy, and finally calculate and compare actual emissions reflecting all policies. The methodology presented by the European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and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 used, and pollutants to be analyzed were analyzed for sulfur oxides (SOX), carbon monoxide (CO), nitrogen oxides (NOX), total floating substances (TSP),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PM10, PM2.5) and ammonia (NH3).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the actual emission reflecting all policies was about 4,097 tons/year, which had an emission reduction effect of about 760 tons/year compared to about 4,857 tons/year when the policy was not reflected. When the effects of each policy were analyzed individually, it was found that ECA 4,111 tons/year, VSR 4,854 tons/year, and AMP 4,843 tons of air pollutant emissions occur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and evidence for policy establishment related to the atmospheric environment at Incheon Port.

A Study on the VOCs Distribution of Air Pollutants from a Business Facility (사업장 대기배출가스중의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 농도에 관한 조사연구)

  • 손진석;김태화;김병록;정연훈;김진길;김태열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37-338
    • /
    • 2003
  • 산업구조가 고도화함에 따라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원이 다양해지고 배출물질의 종류 또한 예전과 비교 할 수 없을 정도로 증가하였다.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latile Organic Compounds : 이하 VOCs라 한다)은 질소산화물과 공존시 태양광선의 영향으로 광화학스모그를 유발시키는 주요원인이며, 자동차와 석유화학제품 관련시설의 급격한 증가로 배출량도 증가추세에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Estimating Ship Emission - Focusing on Gwangyang Port and Ulsan Port (선박에 기인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연구 -광양항과 울산항을 중심으로)

  • Zhao, Ting-Ting;Yun, Kyong-Jun;Lee, Hyang-Sook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5 no.2
    • /
    • pp.93-108
    • /
    • 2019
  • Recently, air pollution from the marine ports has become a serious issue all over the world. Because marine trade accounts for 99.7% of Korea's trade, efforts are required to recognize the level of port pollution and establish environmental policies. This study estimates air pollution emitted during the berthing process in the Gwangyang and Ulsan ports. Data on ship activity and characteristics are collected and reasonable methodologies and factors from EEA and EPA are adopted. The results show that 253.09 tons of CO, 1986.61 tons of NOx, 684.01 tons of SOx, 47.88 tons of $PM_{10}$, and 44.69 tons of $PM_{2.5}$ are emitted at the Gwangyang port. Further, the Ulsan port emitted 212.28 tons of CO, 1712.54 tons of NOx, 573.72 tons of SOx, 40.16 tons of $PM_{10}$, and 37.48 tons of $PM_{2.5}$. A stage-by-stage plan for installing AMP infrastructure is suggested as part of a green port policy. This research provides the current pollution status and contributes guidelines for the direction of future policy.

Emission Characteristics of VOCs Using GIS (GIS를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배출특성)

  • 정장표;이승훈;이승묵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62-64
    • /
    • 2000
  • 최근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국민복지의 향상과 생활공간의 확대 등으로 인한 인간활동에서 발생된 인위적 화학물질은 여러 형태로 대기로 배출되고, 또한 여러 가지 화학반응을 일으켜 환경오염의 유발 및 악화를 초래한다. 그 중에서도 자동차 보급의 급증으로 인한 유류 및 유기용제의 사용 확대로 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대기오염피해가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VOCs는 오존전구물질 뿐만 아니라, 인체 위해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