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42초

장거리이동 예측 모델링을 위한 우리나라의 $SO_2$ 및 NOx 배출량 산정 (Estimation of $SO_2$ and NOx Emissions for the Long-range transport Modeling in Korea)

  • 김정수;김록호;유철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7-169
    • /
    • 2000
  • 최근의 대기확산 모델링은 도시규모 뿐만 아니라 동북아지역의 대기오염물질 장거리이동 현상을 다루는 빈도가 매우 높아졌다. 모델링을 위해서는 기상자료와 배출량자료를 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도로 수행중인 '동북아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공동 조사사업(LTP project)'과 관련하여 모델링분야의 공동 수행과제인 SO$_2$ 및 NOx 배출량 산정에 관한 것을 소개하였다. UNDP가 제안한 배출원 목록 수립방법을 이용하여 1998년에 대한 1$^{\circ}$$\times$ 1$^{\circ}$ 간격의 격자형 자료가 산정되었으며, 향후 LTP project의 모델링분야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중략)

  • PDF

천연가스버스 대체 시나리오에 따른 위해도 편익 평가 (Risk based benefit estimation according to replacement scenarios of CNG bus)

  • 김예신;임영욱;이용진;신동천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5-406
    • /
    • 2002
  • 서울시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 중 맡은 부분이 자동차 배출물질에 의한 것임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이 중 디이젤 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 배출량의 기여도가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환경부에서는 디이젤의 대체 연료인 천연 가스를 시내 버스에 적용하여 점차적인 보급을 계획 중에 있다. 청정연료로 알려진 천연가스는 특히 입자상 물질이나 오존 등의 감소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천연가스 자동차 기술 및 보급 여건 분석 (The Analysis of Technology and Penetration Environment of Natural Gas Vehicle In Korea)

  • 김기동;신동현;한정옥;강광규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5-146
    • /
    • 2001
  • 1999년도 전국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371만톤으로 이 중 자동차 배출가스가 약42%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서울등의 대도시의 경우 자동차공해 비중이 약80%를 넘어서기도 하여, 시민 건강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자동차 배출 오염물질은 휘발유, 가스연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 및 미량의 황산화물이 주로 발생되며, 경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PM이 배출된다. (중략)

  • PDF

면/이동오염원 배출량의 격자 할당방식 대한 연구 (A Study on Grid Assignment Method of Emission from Area and Mobile Sources)

  • 박일규;김현구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4-394
    • /
    • 2001
  • 배출량 산정방법 정의서(환경부, 2000)에서는 점오염원을 제외한 면오염원과 이동오염원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공간할당은 개별 오염원의 배출량을 격자에 배분하여 합산하는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TM-좌표상에서 1km x 1km로 구성된 격자에 배출량을 할당하게 된다. 국가 전체로 보면 1km x 1km 격자계는 상세정보이지만 대부분의 대기영향평가의 대상범위는 국지규모이므로, 이 경우 1km x 1km 격자 할당방식으로 구성한 배출정보를 사용할 경우 부정확한 예측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중략)

  • PDF

통과 교통량 자료를 이용한 자동차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Vehicle Emission Calculation by Using Traffic Volume)

  • 박성규;김신도;윤중섭;황의현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2-154
    • /
    • 2000
  • 서울지역의 자동차에 대한 정확한 대기오염 기여도의 확인 없이 대기오염의 약 85%를 자동차가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하여 광화학 스모그(고농도 오존농도) 유발 등이 자동차의 기여로 간주하고 있다. 따라서, 서울의 대기오염의 주원인으로 간주하고 있는 선오염원에 대한 자료 구축의 체계가 조속히 확립되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중략)

  • PDF

인천항 선박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및 친환경 정책 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alculation of Air Pollutant Emissions from ships at Incheon Port and the Effects of Eco-Friendly Policies)

  • 이정욱;이향숙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29-142
    • /
    • 2022
  • 과거에는 대기오염에 대한 관심이 온실가스에 집중되어 있었지만, 최근 몇 년 사이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언론 및 환경단체 등에서는 미세먼지에 의한 대기오염에 대해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미세먼지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국외 유입을 제외한 국내 요인으로써 항만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를 인지하고 항만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을 감소기키기 위해 국내에서도 항만지역등 대기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여 항만에서 기인하는 대기오염을 억제시키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이 법에서는 선박뿐만 아니라 차량, 하역기계 등 항만 전체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을 규제하며, 선박과 관련한 정책으로는 ECA, VSR, AMP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항을 대상으로 이러한 친환경 정책의 효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선적으로 정책이 없을 경우를 가정하여 선박에서 발생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산정한 후, 각각의 정책에 대한 분석과 최종적으로 모든 정책이 반영된 실제 배출량을 산정하여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럽환경청과 미국환경보호국에서 제시하는 방법론을 이용하였으며, 분석대상 오염물질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제공하는 황산화물(SOX),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총부유물질(TSP), 미세먼지·초미세먼지(PM10, PM2.5), 암모니아(NH3)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정책이 반영된 실제 배출량은 약 4,097톤/년으로 정책 미 반영시의 약 4,857톤/년에 비해 약 760톤/년의 배출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 정책의 효과를 개별적으로 분석하였을때는 ECA 4,111톤/년, VSR 4,854톤/년, AMP 4,843톤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천항 대기환경과 관련된 정책수립의 기초자료 및 근거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사업장 대기배출가스중의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 농도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VOCs Distribution of Air Pollutants from a Business Facility)

  • 손진석;김태화;김병록;정연훈;김진길;김태열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7-338
    • /
    • 2003
  • 산업구조가 고도화함에 따라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원이 다양해지고 배출물질의 종류 또한 예전과 비교 할 수 없을 정도로 증가하였다.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latile Organic Compounds : 이하 VOCs라 한다)은 질소산화물과 공존시 태양광선의 영향으로 광화학스모그를 유발시키는 주요원인이며, 자동차와 석유화학제품 관련시설의 급격한 증가로 배출량도 증가추세에 있다. (중략)

  • PDF

선박에 기인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연구 -광양항과 울산항을 중심으로 (A Study on Estimating Ship Emission - Focusing on Gwangyang Port and Ulsan Port)

  • 조정정;윤경준;이향숙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93-108
    • /
    • 2019
  • 최근 항만에서 기인한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심각성이 고조되고 있다. 한국은 무역의존도가 매우 높고 수 출입 교역량의 99.7%가 해상을 통해 운송되고 있어, 항만 대기오염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대비하기 위한 친환경 정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많은 물동량을 취급함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가 적었던 광양항과 울산항을 대상으로 선박 접안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기준으로 선박의 활동 및 제원자료를 수집하고, 해외 환경기관인 EEA와 EPA 방법론 및 계수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광양항은 CO 253.09톤, NOx 1986.61톤, SOx 684.01톤, $PM_{10}$ 47.88톤, $PM_{2.5}$는 44.69톤, VOC 61.56톤, NH3 0.24톤의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였다. 울산항의 경우 CO 212.28톤, NOx 1712.54톤, SOx 573.72톤, $PM_{10}$ 40.16톤, $PM_{2.5}$는 37.48톤, VOC 51.63톤, $NH_3$ 0.20톤을 배출하였다. 이어서 선박 접안시 적용 가능한 친환경 정책인 AMP의 단계적 도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광양항과 울산항을 대상으로 대기오염 정도를 파악한 것으로, 이를 통해 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GIS를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배출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VOCs Using GIS)

  • 정장표;이승훈;이승묵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2-64
    • /
    • 2000
  • 최근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국민복지의 향상과 생활공간의 확대 등으로 인한 인간활동에서 발생된 인위적 화학물질은 여러 형태로 대기로 배출되고, 또한 여러 가지 화학반응을 일으켜 환경오염의 유발 및 악화를 초래한다. 그 중에서도 자동차 보급의 급증으로 인한 유류 및 유기용제의 사용 확대로 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대기오염피해가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VOCs는 오존전구물질 뿐만 아니라, 인체 위해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