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오염관리시스템

Search Result 6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Major trend of research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전기차용 배터리의 연구동향)

  • Kim, Cha-Nyeon;Lee, Heung-J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617-618
    • /
    • 2015
  • 최근 지구온난화, 배기가스 배출에 의한 대기오염, 화석에너지 고갈에 따라 대체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고, 이에 따라 세계 각 국가들이 해당 분야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그 핵심 과제의 하나는 전기자동차이며 최근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점점 고조되고 있고 전기차의 실 구매도 많아짐에 따라 전기차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배터리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전기차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높은 에너지 밀도, 높은 전력 밀도, 긴 수명과 친환경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안전성, 지속성, 획일성, 가격 등에 대하여 배터리의 사용에 한계가 있다. 여기에서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비롯한 배터리의 주요 연구 테마들에 관한 현재까지 연구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Correlation analysis of pollutants using IoT technology in LID facilities (LID 시설 내 IoT 기술을 활용한 오염물질 상관성 분석)

  • Jeon, Minsu;Choi, Hyeseon;kevin, Geronimo Franz;Reyes, N.J.DG.;Kim, Lee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53-453
    • /
    • 2021
  • 도시지역 비점오염원관리, 물순환 회복, 침투 및 증발산량 증가, 열섬현상 저감을 위한 주요한 방안으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과 그린인프라 기법의 적용되고 있다. LID 시설은 소규모 분산형 시설로써 넓은 지역에 많고 다양한 시설들이 적용되어 시설의 개수가 많으며, 수질 및 토양 내 기성제품에 대한 센서들의 가격은 고가로 형성되어 있어 기기의 경제성 및 유지관리 등 적용하는데 제한적이다. 따라서 과거 모니터링 자료를 기반으로 오염물질들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계측이 어려운 항목들을 계측가능한 항목들로부터 예측 가능하며, 선정된 항목들에 대한 비용효율적인 센서를 개발하여 실시간 LID 모니터링이 가능한 비용효율적 모니터링을 개발하였다. 공주대학교 천안캠퍼스의 LID 시설들은 2013년에 조성되어 현재까지 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며, 5년이상의 과거 강우시 모니터링 자료들을 이용하여 오염물질 상관성 분석을 수행가능 하기에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오염물질 상관성 분석은 2013년부터 2017년도에 침투도랑에서 수행된 강우시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하여 각 오염물질들의 상관성을 분석을 수행하였다. 침투도랑 내 유입되는 평균 유입수는 TSS 286.1±318.3 mg/L, BOD 22.6±39.5 mg/L, TN 8.96±5.85 mg/L, TP 1.01±1.11 mg/L로 나타났다. 겨울철에 비해 여름철에서의 오염물질의 유입농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여름철 고온건조로 인한 노면 내 차량의 주행으로 인한 중금속, 폐타이어 등과 장마철 강우 시 유출된 토사로 인하여 유입수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오염물질 부하량은 TSS와 COD 0.66으로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왔으며, COD와 TSS, TP, TN 등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rduino와 Raspberry PI를 활용하여 저비용 센서와 LTE 모뎀통신과 데이터 베이스 연결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해서 무선으로 LID 시설에 대한 모니터링을 침투화분2와 식생체류지에 조성하였다. 전력공급이 어려운 식생체류지의 경우 태양열(Solar system) 시스템과 보조 전력 배터리를 조성하여 장마철이나 장기적인 악천후로 인한 전력을 생산하지 못할 경우 보조전력배터리에서 전력을 제공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였다. 토양함수량, 토양온도와 Conductivity 등 3종류의 센서를 적용하였으며, 프로그램은 현재 2단계를 통한 2차수정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구축하였다. 오차, 오작동, 계측값에 대한 검·보정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대기자료의 구축을 통해 보다 토양과 LID 시설에 대한 영향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ssessment of the Locations for Carbon Monoxide Monitoring Stations in Daegu according to Emission Distribution (배출량 분포에 따른 대구시 일산화탄소 측정망 위치의 적절성 평가)

  • Kim, Hyo-Jeong;Jo, Wan-Kue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0 no.2
    • /
    • pp.25-34
    • /
    • 2012
  • Air quality in Daegu area is lower compared to many other cities, since Daegu is a basin surrounded by mountains.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location of carbon monoxide(CO) monitoring stations for systematic CO pollution management on the basis of the CO emission distribution in Daegu area.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location of CO monitoring stations, which can be used for the establishment of CO management, were assessed. Emission map in Daegu area was prepared using numerical map and 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CAPSS) data supplied by the M inistry of Environment. Average emissions were estimated by dividing emission sources into four subgroups(roadway, apartment, industry, and municipal incineration facility) according to legal division. The CO emission intensities were subdivided into 10, which a high number represents a high emission intensity, and the current monitoring stations were evaluate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ir steps in CO emission intensities. As a result, additional installation of monitoring stations were suggested for the high CO emission areas rather than the low CO emission areas. A systematic CO management strategy would be established by the supplying various principle CO data when the CO monitoring stations are additionally installed at Kukwudong and other six sites on the basis of analyses of data obtained from 1999 to 2007.

The implementation of liquefaction equipment monitoring system based on Android (안드로이드 기반의 유증기 액화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 Park, Man-Kyu;Tack, Han-Ho;Kim, Gwan-Hy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0 no.3
    • /
    • pp.583-589
    • /
    • 2016
  •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are regarded as a harmful cause substance not only causing air pollutions but also causing global warming phenomenon. For this reason, VOCs are managed politically to reduce emissions by each country. In particular, the vapor from the gas station contains VOCs which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such as carcinogens benzene and pollute the atmosphere, the Ministry of Environment defined every gas station must install vapor recovery equipment to recover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cently, there are many accidents caused by existing vapor treatment methods, the liquefaction recovery technology is getting the spotlight to cool the vapor at the field. However, because the liquefaction recovery technology have risks of fire or explosion in accordance with temperature, the real time monitoring is critical factor. In this paper, we implement an Android-based monitoring application for liquified vapor recovery device which attached sensor module for temperature and power to monitoring real time information.

Scheduling Algorithms and Queueing Response Time Analysis of the UNIX Operating System (UNIX 운영체제에서의 스케줄링 법칙과 큐잉응답 시간 분석)

  • Im, Jong-Seol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1 no.3
    • /
    • pp.367-379
    • /
    • 1994
  • This paper describes scheduling algorithms of the UNIX operating system and shows an analytical approach to approximate the average conditional response time for a process in the UNIX operating system. The average conditional response time is the average time between the submittal of a process requiring a certain amount of the CPU time and the completion of the process. The process scheduling algorithms in thr UNIX system are based on the priority service disciplines. That is, the behavior of a process is governed by the UNIX process schuduling algorithms that (ⅰ) the time-shared computer usage is obtained by allotting each request a quantum until it completes its required CPU time, (ⅱ) the nonpreemptive switching in system mode and the preemptive switching in user mode are applied to determine the quantum, (ⅲ) the first-come-first-serve discipline is applied within the same priority level, and (ⅳ) after completing an allotted quantum the process is placed at the end of either the runnable queue corresponding to its priority or the disk queue where it sleeps. These process scheduling algorithms create the round-robin effect in user mode. Using the round-robin effect and the preemptive switching, we approximate a process delay in user mode. Using the nonpreemptive switching, we approximate a process delay in system mode. We also consider a process delay due to the disk input and output operations. The average conditional response time is then obtained by approximating the total process delay. The results show an excellent response time for the processes requiring system time at the expense of the processes requiring user time.

  • PDF

Necessity of Standardization and Standardized Method for Substances Accounting of Environmental Liability Insurance (환경책임보험 배출 물질 정산의 표준화 필요성 및 산출방법 표준화)

  • Park, Myeongnam;Kim, Chang-wan;Shin, Dongi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2 no.5
    • /
    • pp.1-17
    • /
    • 2018
  • Related incidents and accidents are frequent after 2000 years, such as the outbreak of the Taian peninsula crude oil spillage and Gumi hydrofluoric acid leakage accident. In the wake of such environmental pollution accidents, Consensus has been formed to enact legislation on liability for the compensa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 2014 and the rescue, and has been in force since January 2016. Therefore, in the domestic insurance industry, the introduced environmental liability insurance system needs to be managed through the standardization formula of a new insurance model for managing the environmental risk.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by the emergence of a safe insurance model with a risky nature of the risk type, which is one of the services of the knowledge base. The verification of the six assurance media on the occurrence of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chemical, waste, marine, soil, etc. is expressed through semantic interoperability through this possible ontology. The insurance model was designed and presented by dedu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money and the amount of money that was written in the area of existing expertise, In order to exclude the possible consequences, the concept of abstract is conceptualized in the form of a customer, and a plan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an ontology-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is proposed to reduce the cost and resources consumed every year. It is expected that standardization of the verification standard of the mass of mass will minimize errors and reduce the time and resources required for verification.

Electricity Demand in the Korean Households-A Technology/Sustainable Option- (우리 나라 가정부문 전력수요에 관한 연구-기술개발/지속적 개발 시나리오)

  • 박희천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 no.1
    • /
    • pp.1-57
    • /
    • 1994
  • 본 고는 지속적 개발 론에 입각한 적극적인 에너지수요 관리정책을 추진한다는 전제하에 2001년과 2006년의 우리 나라 가정부문 전력수요를 전망하고자 한다. 본 고는 지속적 개발 시나리오를 추정함에 있어서 기존의 계량모형보다 일종의 공학적 모형인 공정분석(process analysis)을 선호한다. 계량모형이 주로 과거 수요의 소득 및 가격 탄성 치를 바탕으로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는데 비하여 공정분석모형은 기술발전에 따른 미래의 효율변화(향상)를 비교적 잘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고는 덴마크공과대학교 Norgard 교수팀이 개발한 모형을 도입하여 분석모형(수식 (6))을 전력수요 = 기기 수 $\times$ 전력서비스$\times$ 전력집약도와 같이 설정하고 이를 사용하여 냉장고, 텔레비전, 조명 기기, 난방기기 등과 같은 전력사용 기기 별로 2001년과 2006년이 전력수요를 전망하였다. 본 고는 전력수요를 전력사용 기기의 사용용량(300리터 용량의 냉장고 등)과 사용시간을 나타내는 전력서비스와 전력 서비스당 필요 전력사용량을 나타내는 전력집약도로 나누어 구분하고 있는 모형을 이용함으로써 소득향상효과와 함께 기술발전에 따른 효율개선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1)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전력서비스는 지금과 같이 증가한다, 2) 현실적으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전력사용 기기에 대한 최저 에너지 효율 제를 실시한다, 3) 현재 사용중인 기기 들은 원칙적으로 수명이 다한 후 고효율 기기 들로 자연 교체한다, 4) 최저 에너지 효율 제를 제외한 다른 제도 및 정책개선, 사용자의 에너지소비형태 개선에 따른 절전 잠재 량을 고려하지 않는다 등의 가정 하에 전력수요를 추정한 결과 1992년에 796 GWh(100)이었던 우리 나라 가정부문 전력수요는 2001년과 2006년에 29,237 GWh(134)와 33,118 GWh(152)로 각각 34%와 52%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 1992년부터 2006년까지 가정용 전력수요 증가율은 연평균 3%로 추정된다. 기기의 서비스(가구수$\times$기기의 보급 율$\times$기기의 전력서비스)가 소득향상에 따라 증가하는데도 불구하고 전력수요의 증가율이 GDP(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증가율 5.7%)보다 매우 낮은 것은 기기의 대형화와 기기의 보급을 증가에 따른 전력의 추가수요가 기기의 에너지효율 개선으로 대부분 상쇄될 것이기 때문이다. 향후 10년 내에 기기에 따라 전력사용량을 25%~50%정도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기술발전에 따른 기기의 에너지효율 개선효과는 본 고의 2006년도 가정용 전력수요의 전망치 33,118 GWh가 기존방식에 의한 한전의 전망치 61,155 GWh의 54%수준밖에 되지 않는데 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한편 본 고는 경제성장과 환경보존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지속적 개발의 실천방안으로서 에너지 수요관리를 논하고자 한다. 고효율 기기의 개발과 조기도입을 촉진시키는 에너지 수요관리 통하여 우리는 에너지효율을 대폭 개선시키며 대기오염 배출량도 대폭 줄일 수 있다. 본 고는 에너지 공급관리(공급확충)위주에서 에너지 수요관리위주로서의 에너지정책 전환은 불가피하다고 판단한다. 에너지 공급시스템보다 에너지 수요시스템위주로 전체 에너지시스템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최저 에너지효율제의 광범위한 실시와 함께 고효율 기기의 개발과 보급에 필요한 유인책의 도입, 고효율 기기와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에 대한 정보 등이 필요시 되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현재의 산업구조와 기술수준을 고려하여 에너지 효율의 기준을 미국보다 다소 낮게 설정한다면 최저 에너지효율제의 도입이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고는 고효율 기기의 개발과 조기도입을 지원하기 위한 가칭 대기환경보존 및 에너지 수요관리기금의 창설을 제안한다. 전력부문의 경우 기금은 1. 탄소세, 2. 전력소비에 대한 수요 관리 세의 도입 혹은 3. 한국전력공사 전력판매수입의 일정 분으로 조성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예를 들어 선진국들이 탄소세를 예정대로 도입한다는 전제하에 우리 나라가 2000년을 기준으로 탄소 톤당 8달러(석유 배럴 당 85센트)의 탄소세를 도입한다면 연간 7억 2,000만 달러(약5,760억 원)규모의 기금을 조성할 수 있다. 이 중 연간 2,000억 원 정도를 고효율 기기의 개발과 조기도입에 지원한다면 우리 나라 에너지 시스템 효율은 대폭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 Study on Network Based Traffic Signal Optimization Using Traffic Prediction Data (교통예측자료 기반 Network 차원의 신호제어 최적화 방안)

  • Han, Jeong-hye;Lee, Seon-Ha;Cheon, Choon-Keun;Oh, Tae-ho;Kim, Eun-Ji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4 no.6
    • /
    • pp.77-90
    • /
    • 2015
  • An increasing number of vehicles is causing various traffic problems such as chronic congestion of highways and air pollution. Local governments have been managing traffic by constructing systems such a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TS) and Advanced Traffic Management Systems (ATMS) to relieve such problems, but construction of an infrastructure-based traffic system is insufficient in resolving chronic traffic problems. A more sophisticated system with enhanced operational management capabilities added to the existing facilities is necessary at this point. As traffic patterns of the urban traffic flow is time-specific due to the different vehicle populations throughout the time of the day, a local network-wide signal operation plan that can manage such situation-specific traffic patterns is deemed to be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i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of a plan for contextual signal control management through signal optimization at the network level after setting the Frame Signal in accordance to the traffic patterns gathered from the short-term traffic forecast data as a means to mitigate the problems with existing standardized signal operations.

The Analysis of Evergreen Tree Area Using UAV-based Vegetation Index (UAV 기반 식생지수를 활용한 상록수 분포면적 분석)

  • Lee, Geun-Sang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7 no.1
    • /
    • pp.15-26
    • /
    • 2017
  • The decrease of green space according to the urbanization has caused many environmental problems as the destruction of habitat, air pollution, heat island effect. With interest growing in natural view recently, proper management of evergreen tree which is lived even the winter season has been on the rise importantly. This study analyzed the distribution area of evergreen tree using vegetation index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Firstly, RGB and NIR+RG camera were loaded in fixed-wing UAV and image mosaic was achieved using GCPs based on Pix4d SW. And normalized differences vegetation index (NDVI) and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 (SAVI) was calculated by band math function from acquired ortho mosaic image. validation points were applied to evaluate accuracy of the distribution of evergreen tree for each range value and analysis showed that kappa coefficient marked the highest as 0.822 and 0.816 respectively in "NDVI > 0.5" and "SAVI > 0.7". The area of evergreen tree in "NDVI > 0.5" and "SAVI > 0.7" was $11,824m^2$ and $15,648m^2$ respectively, that was ratio of 4.8% and 6.3% compared to total area. It was judged that UAV could supply the latest and high resolution information to vegetation works as urban environment, air pollution, climate change, and heat island effect.

Development of Demand Forecasting Model for Seoul Shared Bicycle (서울시 공유자전거의 수요 예측 모델 개발)

  • Lim, Heejong;Chung, Kwangh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
    • /
    • pp.132-140
    • /
    • 2019
  • Recently, many cities around the world introduced and operated shared bicycle system to reduce the traffic and air pollution. Seoul also provides shared bicycle service called as "Ddareungi" since 2015. As the use of shared bicycle increases, the demand for bicycle in each station is also increasing. In addition to the restriction on budget, however, there are managerial issues due to the different demands of each station. Currently, while bicycle rebalancing is used to resolve the huge imbalance of demands among many stations, forecasting uncertain demand at the future is more important problem in practice. In this paper, we develop forecasting model for demand for Seoul shared bicycle using statistical time series analysis and apply our model to the real data. In particular, we apply Holt-Winters method which was used to forecast electricity demand, and perform sensitivity analysis on the parameters that affect on real demand forecas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