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ssessment of the Locations for Carbon Monoxide Monitoring Stations in Daegu according to Emission Distribution

배출량 분포에 따른 대구시 일산화탄소 측정망 위치의 적절성 평가

  • 김효정 (경북대학교 공간정보학과) ;
  • 조완근 (경북대학교 공간정보학과/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2.01.26
  • Accepted : 2012.04.23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Air quality in Daegu area is lower compared to many other cities, since Daegu is a basin surrounded by mountains.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location of carbon monoxide(CO) monitoring stations for systematic CO pollution management on the basis of the CO emission distribution in Daegu area.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location of CO monitoring stations, which can be used for the establishment of CO management, were assessed. Emission map in Daegu area was prepared using numerical map and 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CAPSS) data supplied by the M inistry of Environment. Average emissions were estimated by dividing emission sources into four subgroups(roadway, apartment, industry, and municipal incineration facility) according to legal division. The CO emission intensities were subdivided into 10, which a high number represents a high emission intensity, and the current monitoring stations were evaluate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ir steps in CO emission intensities. As a result, additional installation of monitoring stations were suggested for the high CO emission areas rather than the low CO emission areas. A systematic CO management strategy would be established by the supplying various principle CO data when the CO monitoring stations are additionally installed at Kukwudong and other six sites on the basis of analyses of data obtained from 1999 to 2007.

대구지역은 주위가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형 도시이기 때문에 대기 환경 쾌적성이 타 도시 보다 낮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 자동대기오염측정소의 위치를 일산화탄소(CO) 배출량 분포에 기초하여 CO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위한 적합한 장소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대구지역 CO 관리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자동대기측정소의 위치 적절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대구시 수치지도와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CAPSS(대기정책지원시스템 ; 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자료를 활용하여 배출량 지도를 작성하였다. 도로, 아파트, 공장, 소각장 4가지로 구분하여 배출량을 입력한 뒤 법정동별 평균 배출량을 산출하였다. CO 배출지역을 고 배출량 지역과 저 배출량 지역 10단계로 구분하고 현재 측정소가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저 배출량 지역 보다는 CO 고 배출량 지역에 해당하는 측정소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999년부터 2007년까지 공통적으로 추가 설치가 필요하다고 나온 국우동 외 6곳에 CO 측정망이 설치된다면 보다 다양한 기초 자료의 제공으로 체계적인 CO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Bin Zoua, J. Gaines Wilsonc, F. Benjamin Zhand, Yongnian Zenga, 2009, "Spatially differentiated and source-specific population exposure to ambient urban air pollution," Atmospheric Environment, vol. 43, no. 26, pp. 3981-3988. https://doi.org/10.1016/j.atmosenv.2009.05.022
  2. Brooks, C.E.D., and N.Carruthers, 1953, "Handbook of Statistical Methods in Meteorlogy," London, H.M.S.O., p. 96.
  3. ESRI, 2007, "Natural breaks," http://webhelp.esri.com/arcgisdesktop/9.2
  4. Handscombe, C.M. and D.M. Elsom, 1982, "Rationalisation of the national survey of air pollution monitoring network of the United Kingdom using spatial correlation analysis: A case-study of the greater London area," Atmospheric Environment, vol. 16, no. 5, pp. 1061-1070. https://doi.org/10.1016/0004-6981(82)90195-0
  5. Han, J.H., M.H. Lee, and Y.S. Ghim, 2008, "Cluster analysis of PM10 concentrations from urban air monitoring network in Korea during 2000 to 2005,"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 24, no. 3, pp.300-309. https://doi.org/10.5572/KOSAE.2008.24.3.300
  6. Lin, M.D. and Lin, Y.C., 2002, "The application of GIS to air quality analysis in Taichung City, Taiwan, ROC," Environmnent Modelling & Software, vol.17, pp. 11-19. https://doi.org/10.1016/S1364-8152(01)00048-2
  7. Marquez, L.O. and Smith, N.C., 1999, "A framework for linking urban form and air quality," Environment Modelling & Software, vol. 14, pp. 541-548. https://doi.org/10.1016/S1364-8152(99)00018-3
  8. 김종호, 김미숙, 곽병규, 박현수, 이선우, 이운기, 이준희, 백선호, 이종협, 2007, "GIS를 응용한 배출량 자료 관리 및 격자형 환경거동모델과의 연계 연구," 환경공동학술대회.
  9. 김해동, 2003, "대구의 장기적 도시기후 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2권, 제7호.
  10. 김해동, 최근식, 2010, "대구지역 대기환경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낙동강환경원, 환경과학논집, 제14권, 제1호, pp. 331-344.
  11. 대구광역시, 2002, "2002 환경백서."
  12. 대구광역시, 2010, "2010 환경백서;대구의 환경."
  13. 도상현, 2010, "CALPUFF 대기 확산 모델을 이용한 대구 지역 대기질 및 건강 위해도 평가,"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박명희, 김해동, 홍정혜, 2003, "대구시 대기오염 물질 배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2권, 제1호, pp. 23-34.
  15. 박민수, 김해동, 2006, "대구시 대기오염촐량규제 실시를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대기오염물질배출량의 공간분포 특성," 환경과학논비, 제11권, 제1호, pp. 51-60.
  16. 박종길, 김종필, 김지형, 1998, "김해시 대기오염 물질 배출량 산정," 한국환경과학회 학술발표.
  17. 서광교, 2009, "대구지역의 유해성 대기오염물질 농도 분포 특성,"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18.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4, "대기질 측정방법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19. 송종석, 정영진, 2006, "실외 센서네트워크 기반 대기오염 방재 시스템",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학술회의 논문집.
  20. 안원식, 김해동, 2003, "대구시 동성로의 이동차량 에 대한 CO의 대기환경적 영향 평가," 환경과학논집, 제8권, 제1호, pp. 91-99.
  21. 우정헌, 김선태, 김정욱, 1997, "수동측정기에 의한 대기오염 자동측정망의 지역대표성 조사 및 보완방안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제13권, 제6호.
  22. 이봉규, 1999, "초고속통신망하에서의 GIS를 이용한 대기 측정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제1권, 1호, pp. 85-92.
  23. 주재희, 황인조, 2011, "도시대기측정망 자료를 이용한 대구지역 대기오염물질의 공간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제27권, 제5호, pp. 545-557.
  24. 최병길, 김중식, 라영우, 이철준, 2004, "GIS를 이용한 대기오염측정망의 적정성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25. 최진무, 1998, "GIS를 이용한 대기오염 배출량 분포도의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지, 제6권, 제1호, pp.65-76.
  26. 환경과 공해연구회, 1990, "서울시 대기오염자동 측정망의 현황 및 문제점에 관한 조사연구," 환경과 공해 연구회.
  27. 황윤정, 이순진, 도화석, 이윤기, 손태정, 권택규, 박회옥, 김종우, 2009, "2008년 대구지역의 대기질 및 기상요인 특성 평가,"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