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오염관리시스템

Search Result 6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National Management Measures for Reducing Air Pollutant Emissions from Vessels Focusing on KCG Services (선박 대기오염물질 배출 현황 및 저감을 위한 국가 관리 대책 연구: 해양경찰 업무를 중심으로)

  • Lee, Seung-Hwan;Kang, Byoung-Yong;Jeong, Bong-Hun;Gu, Ja-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6 no.2
    • /
    • pp.163-174
    • /
    • 2020
  • Particulate matter levels are rapidly increasing daily, and this can affect human health. Therefore, air pollutant emissions from sea vessels require management. This study evaluates the status of air pollutants, focusing on air pollutant emissions from the vessels of the Korea Coast Guard (KCG), and proposes national management measures to reduce emissions. According to a report recently released (2018)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emissions from vessels constituted 6.4 % of the total domestic emissions, including 13.1 % NOx, 10.9 % SOx, and 9.6 % particulate matter (PM10/PM2.5). Among the rates of pollutant emission from vessels, the emission rates of domestic and overseas cargo vessels were the highest (50.6 %); the ratio of fishing boats was 42.6 %. With respect to jurisdictional sea area, 44.1 % of the emissions are from the south sea, including the Busan and Ulsan ports, and 24.8 % of the emissions are from the west sea, including the Gwangyang and Yeosu ports. The KCG inspects boarding lines to manage emission conditions and regulate air pollutant emissions, but it takes time and effort to operate various discharge devices and measure fuel oil standards. In addition, owing to busy ship schedules, inspection documents are limited in terms of management. Therefore, to reduce the air pollutant emissions of such vessels, regulations will be strengthened to check for air pollutants, and a monitoring system based on actual field data using KCG patrol ships will be established, for each sea area, to manage the emissions of such vessels. Furthermore, there is a need for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introduc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vessels.

The Logistics Equipment Carbon Emission Monitoring System for a Green Port (Green Port 구현을 위한 물류장비 탄소배출 모니터링 시스템)

  • Choi, Hyung-Rim;Park, Byoung-Kwon;Lee, Byung-Ha;Park, Yong-Sung;Lee, Chang-Sup;Kwon, Tae-Woo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5a
    • /
    • pp.80-84
    • /
    • 2010
  • 미국 환경단체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항만이 대기오염의 주범으로 알려진 자동차나 발전소보다 더 많은 오염물질을 배출하고 있으며, 특히 컨테이너트럭과 하역장비에서 많은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계 5위의 컨테이너 물동량을 처리하는 부산항을 비롯하여 많은 항만을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도 적극적으로 항만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IP-RFID라는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여 항만 터미널내의 물류장비(컨테이너 트럭, 하역장비 등)들의 탄소배출량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모니터링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하는 모니터링시스템은 개별 물류장비의 탄소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IP통신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에게 직접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IP-Tag를 부착하여, 개별 물류장비별 탄소배출량을 적극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을 통해 물류장비별로 탄소배출량 관리가 가능해지고 운전자도 실시간으로 장비의 탄소배출량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항만의 탄소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affic Volume and Air Quality Using Existing Monitoring Data (기존 교통량/대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자료를 활용한 상관성 분석)

  • Go, Jun-Ho;Choe, Yu-Jin;Lee, Se-Hui;Lee, Tae-Gye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7 no.5
    • /
    • pp.29-37
    • /
    • 2009
  • As the level of the ambient air quality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transportation management strategies tend to incorporate air quality standards into their measure of effectiveness. However, previous research efforts did not pay much attention to the empirical relationships between traffic volume and air quality, potentially due to the lack of data.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using Seoul's existing traffic and air quality monitoring data collected over the period of three years, from 2005 through 2007. In particular, those paired monitoring sites with a distance of less than one kilometer apart were utilized, targeting the emissions of CO, NO, $NO_2$, and $PM_{10}$. As a result, in general the data of two monitoring systems exhibited lower correlations, $NO_2$ showing a relatively higher correlation with traffic volumes than other emission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correlation can be higher for the data obtained over the morning time period, 6am-9am, and the day after rainy days.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s in the IoT Environment (IoT 기반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 Oh, Chang-Se;Seo, Min-Seok;Lee, Jung-Hyuck;Kim, Sang-Hyun;Kim, Young-Don;Park, Hyun-Ju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40 no.5
    • /
    • pp.886-891
    • /
    • 2015
  • Recentl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nnounced that harms human health because of air pollution that are emerging as threats to human health worldwide. according to the, Seoul, 2011 According to a July 2014 - Public Facilities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s, were examined to be in violation of indoor air pollution standards in most multi-use facility. Indoor air pollution resulting from this is present in the paper, and cause disease, such as pulmonary disease, asthma, bronchitis and to In this connection, the measurement of indoor air quality by using the environment sensor, analyzing the measured data to generate an actuator signal required for ventilation and improve indoor air quality by implementing a monitoring system with real-time measurement, autonomously managing the air quality in our lives so that it can be.

Development of Air and Water Monitoring System by Using Optical Fibers (Optical Fiber를 이용한 수질 및 대기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Yang, Yoon-Sim;Park, Woo-Su;Lee, Jang-Su;Lee, Sang-Chun;Jung, M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457-460
    • /
    • 2000
  • 연안역은 산업, 가정 폐기물의 종착지이고 중기계금속산업과 석유화학산업단지가 다수 포진하고 있는 지역으로 환경에 유해한 물질들로 대기나 수질을 통해 오염되기 쉬운 여건을 가지고 있으므로, 쾌적한 환경을 위한 환경 모니터링이 불가피한 곳이다. 이에 연안역의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정확한 분석결과를 현장에서 측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새로운 시스템의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연구개발 중인 수질 및 대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문지식이 필요 없이도 테스트의 수행, 테스트 자료, 분석결과의 관리를 위해 구축했는데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검량선, 정량분석을 중점으로 본 논문에서 서술하였다.

  • PDF

Electric Vehicle Rental System Using Next.js and Express.js (Next.js와 Express.js를 활용한 전기 자동차 대여 시스템)

  • Hur Tai-sung;Oh Ju 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469-470
    • /
    • 2023
  • 내연기관 자동차는 연료 소모로 인해 대기 중에 유해 물질과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반면에 전기 자동차는 전기로 작동되어 대기 중 오염을 줄이고 친환경적인 운행을 제공한다. 전기차 대여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친환경적인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기에 해당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는 React 기반의 Next.js 웹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측과 서버 측 렌더링을 지원하고 사용자들에게 빠른 반응 속도와 사용 편의성을 제공한다. Bootstrap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개발하고, 전기 자동차 대여 서비스에 필요한 화면을 구성하였다. 또한 Node.js 기반의 Express.js 웹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서버 사이드 로직과 RESTful API를 개발하는 데 사용하고 데이터베이스와의 통신, 사용자 인증, 대여 정보 관리 등을 처리하였다. 이러한 기술적 개발을 통해 전기 자동차 대여 시스템은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환경 보호와 탄소 배출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프로젝트라고 볼 수 있다.

  • PDF

Evaluation of Fine Dust Diffusion and Contamination Degree : Focused on the Operation Status of Donghae Port (항만 인근 미세먼지 노출 영향권 및 오염도 분석 :동해항 운영현황을 중심으로)

  • Hwang, Je-Ho;Kim, Si-Hyun;Kang, Dal-Wo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6 no.3
    • /
    • pp.251-258
    • /
    • 2022
  • Donghae Port is adjacently located to a residential area wherein 26,933 generations are creating a living environment. The areas comprise Song-jeong village (5,754 generations) and Bukp-yeong village (21,179 generations). Major cargoes handled in Donghae Port are dusty limestone, cement, anthracite, and bituminous coal, etc. In the process of handling such cargoes, air pollutants including oxide dust and fine dust which adversely impact the living conditions and health of residents are generated, causing air pollution in the vicinity of the port. Currently, Donghae Port is making an effort to improve the operation environment of the infrastructure and equipment in stages, for the purpose of reducing air pollutant emissions caused by the port industries in a long-term perspective. In this study, the sphere of influence of fine dust exposure and the degree of air pollution in the surrounding area were analyzed such as the state of fine dust concentration and diffusion in the vicinity of Donghae Port, fine dust diffusion patter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high-concentration considering wind direction and speed characteristics during the day and seasonal cycles. A more effective plan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nearby areas by combining reduction plan, is being developed in terms of improvement regarding port infrastructure and equipment, and reduction measur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tmospher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daytime, nighttime and season.

Monitoring/Modeling of Hydrology, Water Quality, and Agroecological Environment at Small Watersheds : A Pilot Study Program (농업유역의 수문.수질.생태환경 모니터링/모델링 연구)

  • Park, Seung-U;Lee, Hye-Won;Im, Sa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Conference
    • /
    • 1996.03a
    • /
    • pp.17-20
    • /
    • 1996
  • 지난 20여년 동안 급격한 도시화, 산업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대기와 물의 오염, 쓰레기 공해 등 자연환경의 훼손과 피폐화가 심각한 상태에 이르렀다. 또한, 과다한 농약. 비료의 투입과 농사료에 의한 축산으로 높은 농업 생산성을 이룩하였으나, 이로 인하여 토양오염과 하천과 지하수 수질오염, 식생, 곤충 등 생태계 파괴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최근, 수자원 함양, 수질 정화 등의 순기능으로 농업의 환경 기여 효과가 큰 것으로 발표되었다. 논으로 부터의 오염부하는 생활 오수나 공장폐수 등에 비하여 정성적으로는 미미한 것이 사실이며, 실제로 관개수로 유입되는 영양물질이 작물에 의하여 흡수되므로 물질 수지적 측면에서 수질정화 효과를 나타낸다는 개념이다. 그러나, 오염된 관개수와 함께 유입되는 물질과 영농 목적으로 투입되는 다량의 비료와 농약, 제초제 등의 독성 물질 등에 의한 생태 환경의 변화 등에 대한 영향 등에 관한 종합적 관점에서의 효과는 불분명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폭우시 농경지로부터 유출에 의한 토사유실과 영양 물질이 손실 등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부족하며, 이로 인한 유역에서의 수문, 수질, 생태환경 등을 정량적 분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농업유역에서의 수문과 물질순환과정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주요 오염원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조절방법 등을 위한 유역수질관리 기술개발과 함께, 경지와 주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등을 극소화할 수 있는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관개시설 등 농업기반조성사업에 따른 인위적인 수문환경으로 인한 농경지내에서의 수문.물질순환 기작의 변화 등을 고려한 수질 및 생태환경에 판한 종합적인 모니터링, 모델링 등의 접근이 필요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95 농림수산특정연구 중 첨단연구과제로 추진 중인 농업생태환경 및 종합적 환경관리 시스템 개발연구의 목표와 내용, 범위 등을 소개하고, 농촌지역에서의 건전한 환경관리를 위한 유역관리기술 개발의 방향 등을 정리하도록 한다.

  • PDF

Development of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IoT based assistant equipment for Industrial Fields (산업현장에서 IoT 기반의 작업자 보조기기를 활용한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개발)

  • Kim, Ju-Su;Umarov, Jamshid;Kim, Deo-Hoo;Lee, Chol-U;Oh, Ryum-Du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93-94
    • /
    • 2015
  • 최근 산업 현장에서 재해는 설비의 다양화, 인적 구성의 복잡성, 작업환경의 변화 등으로 다양하게 발생되고 있다. 특히 경제적 자립도가 취약한 중소기업에서는 관리능력이 미흡하여 안전에 대한 조직 및 관리, 교육 등이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안전관리의 현실은 대기업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나 재해율은 일본 등 주변국보다 2~4배 높은 수준으로 선진국에 비해 아직도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한편, 환경과 재난방지, 헬스케어 등과 같은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고도화된 IoT 기술은 최근 빌딩, 도시 관제 시스템뿐만 아니라 산업 현장의 설비와 인력관리 등 IoT 기술의 활용이 활발해지는 추세다. 본 논문에서는 IoT를 활용한 기술 개발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산업현장에 산재하고 있는 각종 위험인자를 포함하여 작업자의 근로 환경 정보를 영상 및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지하고 작업자에게 현장 위해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합리적인 대책의 마련을 통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이와 더불어 업무지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인명피해의 감소, 작업능률과 생산성 향상을 야기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제어 및 원격 업무 지원을 위한 지능형 산업안전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Indoor and Outdoor Particulate Matter: The Current and Future in Monitoring, Assessment, and Management (실내 외 미세먼지 측정 및 관리 기술 동향)

  • Kim, Jae-Jin;Choi, Wonsik;Kim, Jinsoo;Noh, Youngmin;Son, Youn-Suk;Yang, Minjune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6 no.6_3
    • /
    • pp.1635-1641
    • /
    • 2020
  • Air pollution is one of the most severe threats to society globally due to the rapid expansion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Particularly, particulate matter (PM) pollution was recently designated as a social disaster by the Korean government because of increases in public concerns and the accumulation of scientific evidence that links high levels of PM2.5 (PM smaller than 2.5 ㎛ in diameter) to a long list of adverse health effects. Atmospheric PM concentrations can also affect the indoor PM levels to which people are exposed most of the time. Thu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oor and ambient PM pollution based on measurements, model simulations, risk assessments, and management technologies is inevitable in establishing effective policies to mitigate social, economic, and health costs incurred by PM pollution. In this special issue, we introduce several interesting studies concerning indoor and outdoor PM from the perspective of monitoring, assessment, and management being conducted by i-SEED (School of Integrated Science for Sustainable Earth & Environmental Disaster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nd SPMC (School Particulate Matter Center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Harmonization). We expect that this special issue can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and future of indoor and outdoor PM pollution, integrating the results from interdisciplinary research groups from various academic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