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네트워크

Search Result 43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Boundness Analysis of Performance on the Nested Queueing Network with Population Constraint (용량제한을 갖는 중첩형 대기행렬 네트워크의 성능 범위분석)

  • Rhee, Young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6 no.4
    • /
    • pp.239-246
    • /
    • 2009
  •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mean waiting time on the nested open queueing network, where the population within each subnetwork is controlled by a semaphore queue. The queueing network can be transformed into a simpler queueing network in terms of customers waiting time. A major characteristic of this model is that the lower layer flow is halted by the state of higher layer. Since this type of queueing network does not have exact solutions for performance measure, the lower bound and upper bound on the mean waiting time are checked by comparing them with the mean waiting time in the transformed nested queueing network. Simulation estimates are obtained assuming Poisson arrivals and other phase-type arrival process, i.e., Erlang and hyper-exponential distributions. The bounds obtained can be applied to get more close approximation using the suitable approach.

Application of AI-based model and Complex Network method for Comprehensive Air-Quality Index prediction (종합대기질 지수 예측을 위한 AI 기반 모형 및 Complex Network 기법 적용)

  • Kim, Dong Hyun;Song, Jae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24-324
    • /
    • 2022
  • 정확한 오염물질 예측은 기상학, 자연재해, 기후변화 연구 등 현장에서 필수적인 과제 중 하나이다. 주변 관측소에서 얻은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모델 학습을 위한 불필요한 데이터로 인해 예측 결과에 왜곡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종합적인 대기질 지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공하는 최적의 데이터 소스를 찾기 위해 네트워크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우리나라의 6개 오염물질과 종합적인 대기질 지수 예측에 대한 네트워크 기법을 적용한 LSTM 및 DNN 모델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오존(O3), 이산화황(SO2), 이산화질소(NO2), 일산화탄소(CO) 등 6가지 오염물질을 기반으로 종합적인 대기질 지수를 예측하는 2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LSTM을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예측된 6가지 오염물질을 이용하여 DNN 모형을 이용하여 종합적인 대기질 지수를 예측한다. 6가지 오염물질에 대한 각 모델의 예측능력과 종합적인 대기질 지수 예측은 관측된 대기질 데이터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심층신경망 모델과 네트워크 방식을 결합한 것이 높은 예측력을 제공함을 보여주었으며, 종합적인 대기질 지수 예측을 위한 최적의 모델로 선정되었다. 재난관리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네트워크 방식의 딥러닝 모델은 자연재해 피해를 줄이고 재난관리를 개선할 수 있는 충분한 잠재력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Development of Home Gateway System supporting Standby Power (대기전력 지원 홈게이트웨이 시스템 개발)

  • Cho, Soo-Hyung;Lee, Sang-Hak;Kim, D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d
    • /
    • pp.432-435
    • /
    • 2010
  • 네트워크 기기분야에서는 정보통신기기 및 고속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요의 증가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의 전력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홈 네트워크 기기들은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동작하여 데이터 통신이 발생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일정한 전력소모가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대처기술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 대기전력 지원 홈게이트웨이 시스템 구현을 위하여 하드웨어를 설계하고 저전력 대기모드 지원 네트워크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개발하였으며 홈게이트웨이 시뮬레이터 S/W를 개발하여 홈게이트웨이의 기능을 시험테스트 하였다. 시뮬레이터 시험결과 각 네트워크 포트에서 발생된 트래픽에 따라 홈게이트웨이의 전원 모드가 변경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기모드 시 소모 전력이 1W 미안으로 측정되었다.

  • PDF

A Selective Message Synchronization Mechanism for Networked Virtual Environment (네트워크 가상환경에서의 선별적 메시지 동기화 기법)

  • Yun Chung-Ha;Paik Doo-Wo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9 no.2
    • /
    • pp.208-214
    • /
    • 2006
  • Participants of a NVE(networked virtual environment) may have different hardwares and network environments, and to guarantee the fairness, messages of participants should be synchronized. A solution for the synchronization problem is to wait for a certain amount of time until the server processes the message. It is not easy to determine a suitable waiting period because of the trade-off between the fairness and the responsivenes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decide a waiting period by considering only the participants with small network delays and perform experiments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leads to significant improvement of responsiveness, while retaining fairness.

  • PDF

Networked Home-Device의 전력관리를 위한 대기모드지원 게이트에이 시스템 설계 및 구현기술

  • Yun, Jung-Mee;Lee, Sang-Hak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8a
    • /
    • pp.368-371
    • /
    • 2008
  • 홈 네트워크내에서 Always-on 기기 특성으로 인하여 불필요한 에너지를 소비하는 경우가 전체 소모전력량의 60%이상을 차지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본고에서 연구한 Ethement 기반의 트래픽량에 의한 대기모드 전환 알고리즘은 에너지 절감에 매우 유용한 연구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idle time때의 네트워크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기 위한 대기전력 지원형 Green Ethernet Gateway시스템설계 및 구현방안과 시스템 대기모드상태를 최대한 연장하여 energy efficient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Proxying 기반 control policy를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홈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연결은 ethemet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대부분 게이트웨이를 기반으로 그 연결이 구성된다. 그러나 홈네트워크의 일반적인 동작시간이 8시간 내외인데도 불구하고,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서 full Power 상태를 유지해야하는 기존의 energy unaware기반의 게이트웨이 구조로는 에너지측면에서 막대한 에너지 낭비를 초래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게이트웨이에서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트래픽량 기반의 대기모드 지원형 시스템을 구현하고 실제 홈네트워크 적용을 통한 에너지 절약효과를 실험한다. 또한 활성모드, 대기모드간 전환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layer 2,3 Packe기반의 지능형 Proxying 알고리즘을 이용한 control policy를 제안한다.

  • PDF

Statistical Multiple Path Queue Priority Based Routing Scheme for Zigbee IoT Environment (Zigbee IoT 환경의 통계적 다중 경로 대기열 우선순위 기반 라우팅 기법)

  • Kim, Se-Jun;Kim, Dong-Hyun;Lee, Byung-Jun;Kim, Kyung-Tae;Youn, He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141-142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Zigbee 네트워크 환경에서 Zigbee 라우터가 다양한 종류의 패킷을 전송받을 때 패킷의 종류에 따라 발생하는 처리 대기열의 처리 지연을 줄이기 위하여 각 종류의 패킷마다 서로 다른 대기열을 두고 라우팅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전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성능으로 인하여 대기열을 다루는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대기열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한계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패킷을 제어, 실시간, 일반 패킷으로 분류하여 이를 서로 다른 대기열에 수용하고 처리함으로써 패킷 종류에 따라 타 패킷에 발생하는 처리 지연을 줄여 네트워크 효율을 향상 시킨다.

  • PDF

Modeling Heavy-tailed Behavior of 802.11b Wireless LAN Traffic (무선 랜 802.11b 트래픽의 두꺼운 꼬리분포 모델링)

  • Yamkhin, Dashdorj;Won, You-Jip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0 no.2
    • /
    • pp.357-365
    • /
    • 2009
  • To effectively exploit the underlying network bandwidth while maximizing user perceivable QoS, mandatory to make proper estimation on packet loss and queuing delay of the underling network. This issue is further emphasized i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where network bandwidth is scarce resource. In this work, we focus our effort on developing performance model for wireless network. We collect packet trace from actually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We find that packet count process and bandwidth process in wireless environment exhibits long range property. We extract key performance parameters of the underlying network traffic. We develop an analytical model for buffer overflow probability and waiting time. We obtain the tail probability of the queueing system using Fractional Brown Motion (FBM). We represent average queuing delay from queue length model. Through our study based upon empirical data, it is found that our performance model well represen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EEE 802.11b network traffic.

  • PDF

Efficient Multicasting Mechanism for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개선된 고속링크설정 알고리즘)

  • Kim, Byun-gon;Jeong, Kyung-Taek;Jeong, D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10a
    • /
    • pp.798-799
    • /
    • 2015
  • 무선 센서네트워크는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가장 적합한 채널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두 노드가 서로 사용 가능한 채널을 찾기 위한 방식을 도입하여 무선 센서네트워크의 채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한다. 기존 방식에서는 사용하는 채널수가 늘어나고 이웃 노드와의 채널 간섭이 커지는 경우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됨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수신노드에서 비콘 대기 시간 동안에 채널 간섭으로 인하여 채널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 수신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수신노드에서는 사용되지 않은 채널에서 비콘 신호를 일정 시간 대기하는데, 이러한 시간동안에 다른 채널의 간섭의 영향으로 해당 채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기존 알고리즘에서는 처음에 정해진 시간을 대기 하지만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감지하여 비콘 대기 시간을 줄임으로써 채널 설정 시간을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개선할 수 있다.

  • PDF

Standby Power Saving Mechanism of a Set-Top Box having Standby Mode that Supports Network Interworking (네트워크 연동을 지원하는 대기모드를 가진 셋톱박스의 대기전력 저감 방법)

  • Park, Hyunho;Byon, Sungwon;Jung, Eui Suk;Park, Young-Su;Lee, Yong-Tae;Ryu,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98-101
    • /
    • 2015
  • 최근, 텔레비전을 시청하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의 셋톱박스의 대기 전력이 여타 가전기기의 대기 전력보다 10 배 이상을 상회하고 있어, 셋톱박스의 대기전력 저감은 국가적으로도 관심을 받고 있다. 셋톱박스의 대기전력 저감을 위해 대기상태의 셋톱박스의 최소전력 동작 모드인 수동대기모드가 제안되었지만, 셋톱박스가 수동대기모드에서는 셋톱박스의 업데이트 및 제어가 어려우므로, 셋톱박스의 수동대기모드 활용은 어려울 것이다. 본 논문은 수동대기모드에 가까운 대기전력을 소모하면서도 대기상태에서도 셋톱박스의 업데이트를 제공할 수 있는 망연동수동대기 모드를 정의하고, 망연동수동대기모드를 이용한 셋톱박스의 업데이트를 위한 셋톱박스 제어기법을 제안하고, 이 제어 기법을 위한 셋톱박스와 네트워크의 구조, 기능, 시그널링에 대해 설명한다. 본 논문의 망연동수동대기모드와 제어 방안은 셋톱박스 사업자 측면에서 활용성이 높으므로, 낮은 대기전력을 소모하는 셋톱박스 시장을 활성화하여 국가 및 세계적인 전력 감소에 큰 기여를 할 것이다.

  • PDF

Networked Smart Plug System for Power Management of PC & Peripherals (PC와 주변기기의 전력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플러그 시스템)

  • Ryu, Dae-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10
    • /
    • pp.2171-2176
    • /
    • 2012
  • PCs and its peripherals uses more power in standby mode even if they are not actually being used. In particular, PCs and its peripherals used in school and office, plugged in at all times during working hours, but not used much time, even if turned off consume a portion of the power. In this paper, we developed Networked Smart Plug for Power Management of PC & Peripherals which is consist of EMS, Smart Plug, PC Agent and Smart Phone App. for power saving of PC and a variety of peripheral devices in office or home, and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