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규모 연구

Search Result 4,51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대규모 전력계통의 구조문제와 연구사례

  • 이장귀;박영문
    • 전기의세계
    • /
    • v.33 no.3
    • /
    • pp.145-150
    • /
    • 1984
  • 본고에서는 비교적 자세히 다루어지지 않았던 대규모 시스템 구조문제에 대하여 소개하고 대규모 전력계통의 조류계산을 분해방법으로 계산한 실례를 들어 대규모 시스템 문제의 특징과 그해를 구하는데 따른 문제점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Travel Demand Estimation using Traffic Counts on the Large Scale Network (대규모교통망에서 관측교통량기반 통행수요추정)

  • 김종형;이승재;조범철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2
    • /
    • pp.43-52
    • /
    • 2001
  • 대부분의 관측교통량기반 수요추정기법은 소규모 및 중규모 교통망 등의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교통망에서 기본적으로 가정된 수요를 가지고 얻은 추정O/D를 기본O/D와 비교하여 그 추정의 정확성이 어느 정도인가를 오차분석법 등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는 것이 그 주요한 분석방향이라고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접근법은 실제 현실에서는 알 수 없는 참O/D나 참관측교통량을 가정하고 제시된 모형을 면밀히 관찰하여 모형의 장단점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거나 타모형과의 비교.분석을 용이하게 하고자 할 때 많이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가정된 교통망이나 참O/D(true O/D) 등은 모형의 적용가능성을 살필 경우에 이용 가능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지만, 참O/D를 알지 못하는 현실상황(대규모 교통망)에서는 추정O/D의 신뢰성을 평가하기란 매우 힘든 작업이거나 거의 불가능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1996년도 교통센서스 자료를 이용하여 가정된 수요가 아닌 실제적이고 현실적인 자료를 가지고 대규모 교통망에서 이용될 수 있는 모형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대규모 교통망에 기존의 단일차종기반모형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차종(multiclass)기반모형을 적용하여 추정된 O/D에 TLFD(Trip Length Frequency Distribution)개념을 이용하여 추정된 O/D의 신뢰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R^2$를 이용하여 모형 적용 전후의 관측교통량과 배분교통량을 비교하여 추정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차종기반모형보다는 차종간 혼잡효과 및 노선선택비율을 차종별로 감안할 수 있는 다차종기반모형이 대규모교통망에서는 보다 적절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in Current System of Total Blackout (대규모 광역정전에 관한 현행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Lee, Won-Eung;Yun, H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418-423
    • /
    • 2016
  • 대규모 광역정전은 현대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심각하고 광범위한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재난 중에 하나이다. 모든 시스템이 전력으로 구동되며, 전산화되어 있는 현대 사회에서 광역정전이 발생한다면 큰 사회적 혼란이 발생할 것이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광역정전이 발생 하였을 때, 자체 방재력에도 불구하고 10시간 정도가 지나면 대부분의 국가기반시설이 제 기능을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대규모 광역정전에 대한 제도적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규모 광역정전과 관련한 현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행법과 정전매뉴얼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국가기반시설 상호연계성에 따른 COOP의 적용 및 포괄적 위기관리 프레임워크 도입, 시계열적 매뉴얼 제작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됐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대규모 광역정전뿐만 아니라 미래재난 전반에 걸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arallel and Distributed System Based on PC Lab. (대학교 PC 실습실 기반의 대규모 병렬.분산 처리 시스템)

  • 김상선;정갑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367-369
    • /
    • 2003
  • 최근 응용과학 분야를 연구하는데 많은 컴퓨팅 자원을 필요로 하고 있다. 예로 미생물학 분야에서 분자 모사를 이용한 바이오-나노 연구는 대규모 컴퓨팅 자원을 필요로 한다. 그와 함께 대규모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자본이 필요하지만,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예산 부족 및 관리 능력 부족으로 인해 이러한 장비를 보유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대학 실습실의 컴퓨터들을 이용해서 대규모 병렬-분산 처리 시스템을 구현 모델로 제시하고 실제 직접 구현한 결과를 보여준다. 구현 결과로는 병렬-분산 처리 시스템인 PLinda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인 Raytracing 병렬처리 프로그램을 보여 준다.

  • PDF

A Study on the Building Manager's Response and the Necessity of Emergency Power Equipments in the Blackout (대규모 정전 시 건축물 관리자의 대응 및 비상용 예비전원설비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 Jang, In-Wook;Nam, Kyung-Mok;Hong, Wo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159-162
    • /
    • 2012
  • 최근 국내에서 일어난 '9 15 전국규모 정전사태'를 통해 우리나라가 대규모 정전에 대해 얼마나 무방비한 상태인지 인지하게 되었고, 본 연구는 향후 대규모 정전 시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PASW 18을 활용하여 통계적 해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향후 대규모 정전에 대비한 관리체계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대규모 시스템의 해석 및 제어에 관한 연구 동향

  • 서일홍
    • 전기의세계
    • /
    • v.32 no.2
    • /
    • pp.93-102
    • /
    • 1983
  • 대규모 시스템의 해석 및 제어기설계에 관한 연구개요 및 동향을 시스템단순화 안정도검사, 비집중제어 및 계층적최적제어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는바, 대규모시스템 이론은 해석이나 혹은 설계에 있어서 문제를 여러개의 부문제들로 분해하는데에 그기초를 두고 있으며, 소규모시스템에 적용되던 수학적기법을 부문제들에 적용시키는데에 국한되고 있다고 사료된다.

  • PDF

대규모 시스팀의 해석 및 제어에 관한 연구동향

  • Kim, Jeong-Ho;Jung, Tae-Jin;Jung, Ha-Jae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 no.1
    • /
    • pp.43-52
    • /
    • 1988
  • 대규모 시스팀의 해석 및 제어에 관한 연구동향을 시스팀의 축소화 기법, 안정도 검사, 비집중 제어, 계층적 제어로 기술하고, 이러한 대규모 시스팀의 연구분야로 자동생산 시스팀, 전력계통시스팀, 교통통제 시스팀, 사회공학 시스팀 분야로 분류하고 그 해석 및 제어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이와 관련하여 추진되고 있는 연구분야를 소개하였다.

Implications of Multi-swarm Events Safety Management of Foreign Police (외국경찰의 대규모 행사 안전관리로 본 시사점)

  • Kim, Sang-W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8
    • /
    • pp.462-469
    • /
    • 2016
  • This study researched police intervention to ensure the safety of Multi-swarm events. And this study researched best practices of foreign countries. This study propose a solution. It used the situation to police intervention and domestic Multi-swarm events leading researc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 Safety management for multi-swarm events did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local government, police department, fire department etc. Activities of Safety management for multi-swarm events was checked the risk level, safety management, safety planning and training, safety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the Manual. But, safety management of police had Manual maintenance is necessary for the police forces and take advantage of,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mission,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the risk of a step-by-step checklist for police safety tips in detail. This study for solve the problem proposed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Germany, France, Australia, the case of the Japanese.

Android phone app. development for large scale classes (대규모 강의를 위한 안드로이드 폰 앱 개발)

  • Kim, Il-M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9 no.6
    • /
    • pp.343-354
    • /
    • 2011
  • The interactions between a professor and students are very important in humanities classes A professor could not exchange opinions with students especially in large-scale classes. We have developed a smart phone app. in order to overcome the lirnit of interaction between a professor and students in large-scale classes. The app we have developed in this paper have exploited smart phone's data process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 ability. In this paper, we showed that smart phone could be an useful tool for increasing the education effect of large-scale classes.

Development of Progress Measurement Framework for Mega Construction Project (대규모 건설프로젝트의 진도율 측정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한 연구)

  • Ko, Sungjin;Chi, Seokho;Kim, Jinwoo;Song, Junh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7 no.2
    • /
    • pp.419-425
    • /
    • 2017
  • Managing mega construction project is a very challenging task due to its large scale and complexity. To deal with the challenge, progress measurement must be estimated reliably and effectively. Many researchers have presented progress measurement methods, but previous studies are limited to single or several types of facilities. Thus, they have difficulties to being applied to mega construction projects that covers multiple facilit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is paper proposes a progress measurement framework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mega construction projects. The framework consists of four phases : development of Work Breakdown Structure, determination of weights of main facilities and sub facilities, and calculation of the integrated progress rate. To validate the proposed approach, a case study of Sejong city in Korea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showed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framework and confirmed that it enables to reliably measure progress rate of mega construction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