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당뇨병성망막병증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특집: 당뇨병과 안과질환 -만화로 쉽게 이해하는 당뇨망막병증

  • 공안과
    • The Monthly Diabetes
    • /
    • s.255
    • /
    • pp.12-17
    • /
    • 2011
  • 최근 조사에 따르면 당뇨병 발병 10년을 기점으로 실명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 원인은 당뇨망막병증 때문. 대한안과학회가 지난 1년간 조사한 결과 당뇨병이 발병한 지 10년 이하의 환자들은 눈질환이 나타나지 않거나(25%), 비교적 실명위험이 적은 비증석성 당뇨망막병증(45%)이 발견됐다. 하지만 11년부터는 당뇨망막병증의 발생이 급격히 증가해 20년이 넘으면 최대 72%까지 그 위험성이 높아진다. 당뇨망막병증은 일단 발생하면 혈당조절이 잘 돼도 시력이 만힝 손상되고 교정도 힘들어 당뇨병에 걸리면 초기부터 안과진료를 받아 실명 위험을 줄여야한다. 이에 공안과에서 당부하는 당뇨망막병증에 관한 내용을 판화를 통해 쉽게 이해해보고자 한다.

  • PDF

특집 - 당뇨망막병증 주원인 - 황반부종 -

  • Gwak, Hyeong-U
    • The Monthly Diabetes
    • /
    • s.216
    • /
    • pp.36-38
    • /
    • 2007
  • 당뇨가 오래되면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여러 가지 합병증들이 오게 되는데 그 중에서 시력을 위협하는 제일 심각한 합병증은 당뇨망막병증으로 이는 망막에 영양을 공급하는 혈관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진행성 질환이다. 당뇨망막병증의 발생빈도는 당뇨의 유병기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당뇨로 진단받고 5$\sim$10년이 지나면 25$\sim$50%가 망막병증이 생기고 15년이 지나면 거의 90%환자가 망막병증이 생긴다. 이밖에도 고혈압, 임신, 신장질환, 고지혈증과 같은 위험인자들이 있으며 어린이나 사춘기에 당뇨병이 있는 경우에는 조기에 망막병증의 빈도가 매우 높게 나타난다.

  • PDF

특집 : 미세혈관 합병증 - 당뇨병성 망막병증 환자 인터뷰 - "혈당관리 안 했더니 실명으로 이어지더군요."

  • Kim, Seon-Ju
    • The Monthly Diabetes
    • /
    • s.259
    • /
    • pp.36-37
    • /
    • 2011
  • 당뇨병성 망막병증은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당뇨병을 앓은 기간이 길고, 혈당조절이 잘 안 되면 발생하기 쉽다. 일단 발병하면 치료해도 정상으로 돌아갈 수 없고 심하면 실명하게 되므로 무엇보다도 예방이 중요한 질환이다. 이에 당뇨관리를 대제로 하지 않고, 치료시기를 놓쳐 오른쪽 눈이 실명한 안정희씨와 그의 가족을 만나 인터뷰해보았다.

  • PDF

당뇨병 신경병증과 족부질환

  • Sin, Dong-Hyeok
    • The Monthly Diabetes
    • /
    • s.213
    • /
    • pp.10-13
    • /
    • 2007
  •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당뇨병성 망막질환, 당뇨병성 신장질환과 더불어 당뇨의 3대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원인은 확실하게 정립되어 있는 것은 없으나 높은 혈당으로 인하여 유발된 신경섬유 부종이 원인이라는 보고가 많다. 당뇨와 관련된 모든 합병증과 마찬가지로 신경병증 역시 상당히 초기부터 진행한다. 대개 유병기간이 10년이 넘어 가게 되면 대부분의 당뇨병환자들이 자각적인 증상을 느끼게 되지만 사실은 발병 전 당내성이 존재하는 시기부터 신경병증은 시작된다.

  • PDF

당뇨합병증: 당뇨병환자의 절반 이상이 앓는 손발이 저릿저릿 말초신경병증

  • Kim, Seon-Ju
    • The Monthly Diabetes
    • /
    • s.258
    • /
    • pp.40-41
    • /
    • 2011
  •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망막증, 신증과 더불어 3대 당뇨병 합병증에 속한다. 당뇨병환자의 약 70%에서 발병한다고 하니 당뇨인이라면 누구나 거쳐 가는 증상이라 볼 수 있다. 처음에 손발의 감각이 무뎌지거나 저린감을 호소한다. 그러나 이 증상이 당뇨병 합병증인지 모르고 혈액순환 장애라 생각해 그냥 넘어가는 환자가 많다. 그뿐 아니라 말초신경병증은 한번 발생하면 치료가 쉽지 않고 효과를 나타내는데 상당한 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 PDF

3.0시대 건강수명 120세를 위하여 2 - 당뇨병보다 무서운 당뇨 합병증 혈당 관리는 필수!

  • Kim, Cheol-Jung
    • 건강소식
    • /
    • v.38 no.11
    • /
    • pp.10-13
    • /
    • 2014
  • 당뇨병은 심 뇌혈관계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위험요소로 잘 관리하지 않으면 당뇨병성 족부병증, 당뇨병성 망막질환, 심근경색증, 당뇨병성 신부전 등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한다. 당뇨 합병증은 방치하면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으므로 꾸준한 정기검진 및 생활습관 개선을 통한 예방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대표적인 질환이다.

  • PDF

다양한 당뇨병성 기타 안질환에 대하여

  • The Diabetic Association of Korea
    • The Monthly Diabetes
    • /
    • s.221
    • /
    • pp.24-26
    • /
    • 2008
  • 당뇨병은 전신질환 중 눈에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질환중의 하나로 경비한 안질환이라도 치료가 어렵거나 합병증을 일으키게 되므로 특별한 주의와 관리가 필요하다. 또 눈의 각종 조직에 변화를 일으켜 실명을 포함한 다양한 안질환과 안합병증을 동반하게 된다. 눈 합병증은 자각증세가 나타나면 즉시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아야하며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흔히 나타나는 당뇨병에 의한 망막병증, 백내장, 녹내장을 제외한 기타 당뇨안질환에 대해 알아보자.

  • PDF

특집 - 당뇨병환자의 튼튼한 혈관 유지하기

  • Hong, Eun-Gyeong
    • The Monthly Diabetes
    • /
    • s.216
    • /
    • pp.10-13
    • /
    • 2007
  • 요즈음은 인터넷이나 대중매체를 통해 일반인들도 다양한 질병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에 속하는 것으로 당뇨병은 대표적 만성질환이며 누구나 한번쯤은 들어 본 적이 있는 질환일 것이다. 현대와 같이 고도로 의학이 발달한 상황에서도 만성질환은 완치되는 것이 아니고 평생 관리를 해야하는 질병이기 때문에 많은 환자들이 살아가는 동안 서서히 지치게 되고 관리를 소홀히 하게 됨으로써 당뇨병성 신경병증, 망막증, 신증, 대혈관병증(뇌졸중, 심혈관질환, 말초혈관질환) 등과 같은 합병증의 발생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당뇨병환자는 일생 주기적으로 검사와 함께 자신에게 맞는 약을 복용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인슐린 주사까지 맞음으로써 지속적인 혈당관리를 하여 합병증의 발생을 최소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에 언급한 다양한 합병증 중 가장 중요한 사망원인은 심혈관질환으로 40세 이후에 발생한 당뇨병환자에서 전체 사망 원인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또한 대부분의 당뇨병성 만성합병증이 적극적인 혈당관리로 효과적인 예방이 가능한 반면 심혈관질환과 같은 대혈관합병증은 혈당조절이 잘 되고 있는 환자에서도 당뇨병 발생 기간과 무관하게 발생하고 또 여러 혈관에 걸쳐 다발적이고 광범위하게 발생하므로 원인이 되는 다른 위험요소들에 대한 관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 PDF

Autonomic Neuropathy in Adolescents with Diabetes Mellitus (청소년기 당뇨병 환자의 자율신경계 합병증에 관한 연구)

  • Yoo, Eun-Gyong;Ahn, Sun-Young;Kim, Duk Hee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6 no.6
    • /
    • pp.585-590
    • /
    • 2003
  • Purpose : This study is design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autonomic neuropathy and its relationship to risk factors in adolescents with diabetes mellitus(DM). Methods : Ninety-two diabetic patients(80 with type 1 DM and 12 with type 2 DM), ranging from eight to 26 years of age, were studied for cardiovascular autonomic function, and the relationship to age, duration of diabetes, glycated hemoglobin(HbA1c), urinary albumin excretion, and the presence of diabetic retinopathy and abnormal nerve conduction velocities(NCV) were analysed. Autonomic function was assessed by measuring heart rate variation during valsalva manoeuvre, deep breathing and standing from a lying position(30 : 15 ratio), and postural hypotension. Results : Among patients with type 1 DM, 22.5% had early, 8.7% had definite, and 1.3% had severe autonomic dysfunction, and among patients with type 2 DM, 16.7% had early, 8.3% had definite, and 8.3% had severe autonomic dysfunction. 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both type 1 and type 2 diabetic patients, the age of the patient(OR=1.133(1.003-1.279), P<0.05) and duration of diabetes(OR=1.148(1.009-1.307), P<0.05) significantly predicted cardiovascular autonomic dysfunction while HbA1c, blood pressure, urinary albumin excretion, and presence of diabetic retinopathy and abnormal NCV did not. The valsalva ratio was borderline or abnormal in 31.5% of patients, the heart rate variation on deep breathing in 41.3%, the 30 : 15 ratio in 14.1%, and postural hypotension in 9.8% of patients. The valsalva ratio and the heart rate variation on deep breathing significantly predicted cardiovascular autonomic dysfunction, but the 30 : 15 ratio and postural hypotension did not. Conclusion : Cardiovascular autonomic dysfunction was found in 32.6% of diabetic patients and 10.8 % of patients had definite or severe involvement. The risk of cardiovascular autonomic dysfunction increased with the patient's age and the duration of DM.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valsalva ratio and the heart rate variation on deep breathing are the most useful tests in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autonomic func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M.

A new diagnostic method for diabetic neuropathy using $TcpO_2$ ($TcpO_2$ 이용한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의 조기진단)

  • Hong, Hyun-Ki;Kim, Sung-Woo;Nam, Ki-Chang;Cha, Eun-Jong;Kim, Deok-W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v.44 no.3
    • /
    • pp.1-8
    • /
    • 2007
  • PDiabetic neuropathy is one of the most common diabetes related complications including diabetic nephropathy and retinopahty. In clinical practices, nerve conduction velocity (NCV) has been used as a standard method for diagnosing diabetic neuropathy. However, it applies maximum current of 100mA to nerves causing stress and pain to patients. In this study, as a non-invasive method, $TcpO_2$ was utiliz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TcpO_2$ and $SpO_2$ of normal and diabetic neuropathy subjects. In addition, a new method of diagnosing diabetic neuropathy using $TcpO_2$ is suggested. 50 normal subjects and 50 diabetic patients with neuropathy diagnosed by NCV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ameters used in this study were $TcpO_2$, $TcpCO_2$, and $SpO_2$. As a result of the $TcpO_2$ measurements,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found from $TcpO_2$ of hands and feet from normal and patients group(p<0.01). $SpO_2$ measured from index finger of normal and patient groups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On the other hand, $SpO_2$ measured from great toes of normal and patient group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p<0.01).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pO_2$ of finger and $TcpO_2$ of hand was 0.400 (p<0.01) and $SpO_2$ of toe and $TcpO_2$ of foot was 0.471(p<0.01). Both correlation valu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nsitivities and specificities of the $TcpO_2$ method were found to be 66 % and 92 %, respectively. If the suggested $TcpO_2$ method is used periodically, prevention and early diagnosis of diabetic neuropathy would be 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