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닭 배자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6초

닭 수정란 미세조작이 배자의 쌍자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전익수;변승준;박철;강영란;성유홍;김찬연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03-203
    • /
    • 2004
  • 조류는 발생학적 특성상 수정과 초기 배발생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개체 발생 과정이 난각 속에서 진행된다. 또한 배자가 발생하는 동안 배자의 뼈를 구성하는 석회성분의 거의 대부분은 난각에서 유래한다. 난각 석회성분은 배자유래의 융모성 뇨막(chorioallantoic membrane; CAM)의 모세혈관을 통하여 배자로 이동하다. 배자 발생후기로 가면 융모성 뇨막은 전체 난각과 거의 대부분 밀착하여 배자 발생 후기에 필요한 많은 양의 석회성분을 난각에서 배자로 공급하게 된다. 그러므로 한 개의 난각 속에서 두 개의 배자가 정상적으로 발생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중략)

  • PDF

리포좀을 이용한 형질전환 닭 생산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Liposome-Mediated Transgenic Chicken Production)

  • 변승준;박철;양보석;김태윤;손시환;김상훈;전익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3-298
    • /
    • 2004
  • 본 연구는 기존의 형질전환 닭 생산방법 중의 하나인 1세 포기 수정란에 유전자를 직접 주입하는 유전자 미세주입방법을 개선할 목적으로 리포좀과 외래 표지 발현유전자인 GFP를 사용하여 외래유전자의 핵전이 효율성과 주입된 외래 유전자의 발현의 지속성을 닭의 배자에서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외래유전자는 배반엽 단계 혹은 1세포기 수정란의 세포질에 리포좀과 유전자의 혼합물 혹은 오직 유전자만을 미세주입을 하였다. 연구 결과들은 리포좀을 사용한 경우 naked DNA에 비하여 배반엽 단계와 1세포기 수정란 모두에서 효율적으로 외래 유전자를 핵내로 도입할 수 있음을 배양 3과 4일차 닭의 배자에서 GFP발현 양상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주입된 외래 유전자에 의해 만들어진 GFP는 배자에서 일주일 정도 지속적으로 발현됨이 관찰되었다. 리포좀 방법은naked유전자 주입 방법에 비해 1세포기와 배반엽 단계 수정란 모두에서 효율적으로 외래 유전자를 핵내로 이동시키는 능력을 가지나, 주입된 유전자의 염색체 삽입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닭의 수정란에서 리포좀 방법은 외래유전자 도입에 유용한 수단으로 이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재래닭의 발생.발육단계별 telomere와 telomerase activity 분석

  • 정길선;조은정;최철환;손시환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4년도 제21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6-18
    • /
    • 2004
  • 본 연구는 닭의 여러 조직별 세포들의 telomere 함유율과 telomerase 활성도를 분석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재래계의 수정란 및 발생단계별 신생 조직과 출생 후 성장단계별 각 조직들에 대한 telomere의 함량과 telomerase 활성도를 분석하였고, 초기배자, 간, 뇌, 신장, 심장, 생식선 조직 및 백혈구 세포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Telomere의 함량 분석은 chicken telomeric DNA probe를 이용한 Q-FISH법으로 수행하였고, telomerase activity의 분석은 TRAP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초기 배자, 생식선 세포 및 신장세포에서는 지속적으로 매우 높은 telomerase activity를 나타내었으나 뇌, 심장, 간 등에서는 발생 및 발육이 진행됨에 따라 유의적 감소 양상을 보였다. 닭의 각 조직별 telomere의 함량 분석결과, 대부분의 세포들이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telomere 함유율이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telomerase의 활성도와 telomere의 함량간에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보이며. 이들이 닭 조직별 세포의 분화 및 증식성 특이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닭 배자 조작을 위한 난각 주입부위별 생존율 비교 (Comparison of Viable Rates of Chick Embryos by Different Eggshell Window Positioning)

  • J. Y. Han;D. S. Seo;Y. H. Hong;D. K. Jeong;Y. S. Shin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17
    • /
    • 1996
  • 이 연구의 목적은 주입구의 위치에 따른 병아리 배아의 생존율을 서로 비교하고 가장 적합한 주입구 위치를 찾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멸균처리된 핀셋을 사용하여 난각의 첨단부와 둔단부 그리고 옆부분에 주입구를 각각 만들었다. 연구 결과, 둔단부에 주입구 (BE1)를 만든 수정란의 발생율이 가장 높았으나 내부난각막이 불투명하여 혈관내 미세주입이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첨단부에 주입구를 만든 다음 이 주입구를 통하여 약 2 $\mu$L의 DMEM 용액을 2.5일령된 배자의 혈관에 주입하였고, 주입부위의 출혈을 막기 위해 DMEM 용액을 주입한 후 공기방울을 넣은 결과 생존율이 약 17.0% 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주입구에 의한 방법은 생식세포가 조작된 germline chimera 또는 형질전환닭을 생산하는데 매우 유용한 시스템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상업용 동결보호제를 이용한 한국재래닭(오계) 원시생식세포의 동결 보존 (Cryopreservation of Primordial Germ Cells(PGCs) from Korean Native Chicken(Ogye) Embryos using Commercial Cryoprotectants)

  • 김현;김동훈;한재용;도윤정;김재환;김영신;성환후;고응규;김성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63-169
    • /
    • 2013
  • 가금의 정액 동결 보존은 보고되고 있지만, 큰 난황의 구조 등과 같은 이유로 암컷의 유전물질의 보존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닭에 있어 닭원시생식세포(PGCs)의 동결 보존은 암컷과 수컷 양쪽의 유전물질을 보존할 수 있는 대체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원시생식선으로부터 분리방법은 5.5일(stage 28 : 5.5일령(Hamburger and Hamilton, 1951)) 동안 발생한 수정란의 초기배자를 실체 현미경하에서 예리한 핀셋을 이용하여 원시생식선 부분만을 분리한 후, MACS 방법으로 정제하였다. 두 개의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동결보호제(A와 B)와 10% EG + 15% FBS를 동결보호제로 하는 대조군을 각각 닭 PGCs의 동결 및 융해에 이용하였다. 동결 및 융해 후의 닭 PGCs의 회복율은 A(35.5%), B(60.5%) 그리고 대조군에서는 52.8%를 각각 확인하였다. 52.8%의 닭 PGCs의 회복율을 보인 대조군과 동결보호제 B 처리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두 처리군에 비해 동결보호제 A는 35.5% 유의적으로 낮았다. 하지만, 동결 및 융해 후의 닭 PGCs 생존율은 각각 A(77.9%), B(77.4%) 그리고 대조군(81.6%)으로 보였다. 두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는 배자 발생 초기의 원시생식선으로부터 채취한 닭 PGCs는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동결보호제(A와 B)를 사용해서 동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고, 생존율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고 액체질소에 성공적으로 보관할 수도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Proteome Analysis of Chicken Embryonic Gonads: Identification of Major Proteins from Cultured Gonadal Primordial Germ Cells

  • Lee, Sang-In;Han, Beom-Ku;Park, Sang-Hyun;Kim, Tae-Min;Sin, Sang-Soo;Lee, Young-Mok;Kim, Hee-Bal;Lim, Jeong-Mook;Han, Jae-Yong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5년도 제22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66-67
    • /
    • 2005
  • 배자 생식세포 발달에 관련된 메카니즘을 밝혀내기 위해서, 닭 배자 생식기에서 추출한 원시 생식세포의 단백질체 지도를 만들었다. 총 500 배자를 6일간 배양하여 배자 생식기를 획득했고, 7-10일 배양 후, 배양된 원시생식세포는 2차원 젤 전기 영동법에 의해 분할되어 졌다. 유의적 발현 수준을 나타낸 많은 단백질 스팟 들은 MALDI-TOP 와 LC-MS/MS에 의해 확인되었으며, 89개의 단백질 스팟 중에 50개의 mass spectra 들이 데이터베이스에서 조류 단백질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 행한 단백질체 지도는 형질전환 연구와 생식세포 생물학 분야에 중요한 참고 문헌으로 가치를 가질수 있을 것이다.

  • PDF

1세포기 닭 수정란의 체외배양과 대리난각 배양에 있어서 수정란의 조건과 대리난각의 조건이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

  • 이지현;김이헌;강영란;신귀인;박해진;오세태;유이식;장원경;김창근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70-70
    • /
    • 2003
  • 조류의 배자는 포유류의 배자처럼 모체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는 것이 아니라 알속에 저장되어 있는 영양물질로 발육한다. 배자의 발육은 대부분 체외에서 진행된다. 난자는 배란된 후 수정되어 난관팽대부에서 1세포기 수정란이 된다. 그 후 난관협부로 이동하여 최초로 분열이 일어나 배자의 발육이 진행되고, 산란시에는 세포수가 약6만여 개에 달한다. 따라서 수정란에 유전조작기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체의 난관속에서 일어나는 배발생과 난각속에서 일어나는 개체발생을 위한 체외배양법과 대리난각 배양법이 확립되어 있어야 한다. 그와 같은 기술은 닭 수정란의 배 발생 관찰 및 분석과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형질전환 가금 연구에 중요한 기술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세포기 닭 수정란의 체외배양과 대리난각 배양에 있어서 수정란의 조건과 대리난각의 조건이 배자의 생존율과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체외배양과 대리난각 배양에 의한 병아리 생산 효율을 제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주요 조사 항목은 수정란의 채란위치, 배자의 발생단계, 수정란의 무게, 대리난각용 계란의 보존 기간, 대리난각의 두께, 대리난각 두께의 감소율, 대리난각의 크기 등을 조사하여 배자의 생존율과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초기 발생이 빠른 배자가 생존율과 부화율이 높았으며, 본 실험에 사용한 대리난각용 계란의 보관기간이 짧을수록 배자의 생존율과 부화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그러나 대리난각용 계란의 크기와 대리난각의 두께 차이는 배자의 생존율과 부화율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하였을 때 분할율은 68.0%였으며, 이중 12.0%가 상실배 또는 배반포로 발달하였다. 뿐만 아니라 10% FBS가 첨가된 TCM-199 배양액에 난관상피세포와 공배양을 실시하였을 경우는 72.0%가 분할하였으며, 이중 16.7%가 상실배 또는 배반포로 발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활성화 처리는 ionomycin과 6-DMAP 용액처리가 적합하며, 단위발생란의 체외배양은 보다 적합한 배양조건의 확립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icalcium lactate 공동배양은 체외배양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생산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4시간에 등급별 회수율이 각각 GI(27.4%), GII(14.7%), GIII(43.2%), GIV(14.7%)로 나타났으며, 46~50시간에는 GI(12.0%), GII(12.0%), GIII(28.0%), GIV(48.0%)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미성숙 난자의 회수는 hCG 투여 후 29~34시간이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가금의 생산에 있어서 매우 효율적이고 주목할 만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것으로 나타났다.적외선.열풍 복합건조방법이 높게 나타나 이것은 곡물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에의한 복사열이 전달되어 열장해를 받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금후 더 연구하여 적정 열풍온도 및 방사체 크기를 구명해야 할 것이다.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옻나무 유래 F는 포유동물의 생식기능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

  • PDF

발생중인 닭의 배자에서 뇌 조직내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 변화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s in Brain Phospholipids of Developing Chicken Embryos)

  • 김희성;최인숙;지규만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1-42
    • /
    • 1995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linoleic acid(18:2\omega6, LA) and aipha-linolenic acid(18:3\omega3. \alpha-LNA) levels on brain developm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various lipid classes in the chicken embryo brain tissues. Thirty two ISA Brown layers, 52 weeks-old,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irds of each group were given corn-soybean meal based diets added with 1) safflower oil 8%, 2) safflower oil 6% + perilla oil 2%, 3) safflower oil 2% + perilla oil 6%, or 4) perilla oil 8%. Mter 15 days fed the diets. the layers were artificially inseminated to obtain fertile eggs. During the incubation. embryonic brains were sampled at 15th and 21st days. Fatty acid contents were quantitated by using heptadecanoic acid (17:0) as an internal standar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rain weight and in contents of various lipids such as phospholipid. triglyceride, cholesterol. cholesterol ester and free fatty acid in the tissues were found among the dietary groups (P<0.05). The ratios of AA/LA in the brain lipid classes were lowered as the dietary levels of perilla oil were increased. Higher LA was found in phosphatidylcholine(PC) than arachidonic acid (20:4\omega6. AA), meanwhile the level of LA was less than AA in phosphatidylethanolamine(PE). Docosahexaenoic acid(22:6\omega3, DHA) was the* major fatty acid in the tissue and its content in PE was 2.5~3 times higher than in PC. DHA level in the phospholipid reached at a peak (1.7~1.8 mg/brain) in dietary groups added with 6% or 8% perilla oil. suggesting that no more increase in that fatty acid level in the brain tissue could be obtained by consuming more \alpha-LNA, the major precursor of DHA.

  • PDF

한국재래닭(오골계)종 배반엽세포에 있어서 동결 방법의 개선이 융해 후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dified Cryopreservation Method on Viability of Frozen-thawed Blastodermal Cells on the Korean Native Chicken(Ogolgye Breed))

  • 김현;김동훈;박수봉;최성복;고응규;김재환;도윤정;박해금;김성우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6권1호
    • /
    • pp.65-70
    • /
    • 2012
  • 귀중한 한국재래닭의 배반엽세포를 냉동보존하고, 키메라 닭을 통한 재래종의 복원을 도모하는 방법을 실용화하기 위해서, 한국재래종의 배반엽세포에 있어 최적의 동결 방법에 대해 검토했다. 배반엽세포의 동결은 세포를 단리한 후, 항동해제와 소태아혈청(FBS)를 함유하고 있는 동결용액 중에 부유하고 수지성 동결용기 중에 넣고, $-7^{\circ}C$에서 동결시키고 나서 분당 $-1^{\circ}C$에서 $-35^{\circ}C$까지 냉각하고 액체질소 안에 침지시켜서 실험을 진행했다. 동결조작 중에서 (1) 동결 전의 세포의 단리 방법, (2) FBS 농도, (3)동결 시 세포밀도가 동결융해 후의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1) 세포의 단리 방법을 피펫팅으로부터 시험관 믹서에 의한 단시간의 flushing으로 변경하면, 동결융해 후의 세포의 생존율이 29%부터 51%로 향상된다. (2) 동결용액 속 FBS 농도를 20%에서 80%로 증가시키면 동결융해 후의 생존율이 28%에서 35%로 증가한다. 또한, (3) 융해 후, 생존율은 (2개의 배자/0.5 ml) 처리군에서의 동결은 34%인 반면에, (20개의 배자/0.5 ml)에서는 44%였다. 더욱이, 이 세 가지 개선점을 조합함으로써 동결융해 후의 생존율은 60%로, 개선 전의 41%에 비하여 크게 개선이 될 수 있고, 한국재래종의 배반엽세포의 동결보존의 실용화가 보다 더 향상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재래계의 염색체 분염 표지 분석 (Identification of Chromosomal Band Markers of the Korean Native Chicken)

  • 백규흠;이철영;상병돈;최철환;김학규;손시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1-1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고유 재래 가축들의 유전정보와 유전학적 개량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고분염 분석(high-resolution banding) 방법에 의한 한국재래계의 염색체 분염 표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 공시된 한국재래계로서는 축산기술연구소에서 계통화 시킨 황갈색 및 적갈색 계통으로 이들이 생산한 수정란의 초기 배자를 이용하여 염색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닭의 초기배자에 EtBr 및 colchicine을 처리함으로써 보다 양호한 고정도 염색체를 획득하였다. 한국재래계의 GTG-banding 결과 모든 상동염색체간에 뚜렷하고 특징적인 band 양상을 얻을 수 있었으며, Leghorn 및 국제표준핵형(ISSAK)과 비교시 염색체의 형태적 양상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대표적 landmark간에도 거의 일치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한국재래계의 대형염색체에서 더 많은 G-band의 분리 양상을 보이고 특히 1번 및 Z 염색체에서 특징적 분리 양상의 차이를 보였다. 한국재래계의 C-banding 분석에서는 세포별 heterochromatin의 다형성을 보이기는 하나 대부분의 염색체의 동원체와 말단부위에서 C- band가 나타났으며, Z 염색체 장완 말단부와 W 염색체 전체에서는 거의 모든 세포에서 C-band가 출현하였다. 또한 3번 염색체 동원체와 Z 염색체 장완 말단부에서 특징적 다형성을 나타내어 이들 염색체들에서는 상동염색체간 heterochromatin의 이형적 양상(heteromorphic)이 존재함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