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달래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32초

ISSR 마커를 이용한 달래와 산달래의 분류 (Classification of Allium monanthum and A. grai by ISSR Markers)

  • 이샛별;김창길;오중열;김경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6호
    • /
    • pp.600-609
    • /
    • 2011
  • Allium속에 포함된 6종의 122점을 수집하고, 이 종들의 유전적 관계는 ISSR 마커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형태적 분석은 6개의 양적 형질을 측정하고 1개의 질적 형질은 수치화하였다. SSR 분석은 17개의 primer를 사용하여 총 370개의 다형성 밴드를 얻었다. 형태적 특성 분석은 유전적 거리로 구분할 경우 3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나, 부분적으로 몇 몇 종들은 분류에 어려움이 있었다. ISSR 결과를 바탕으로 Allium 속의 군집분석은 5개의 그룹으로 분리되었다. 형태적 분석과 SSR분석 간의 상관 관계는 유의성이 매우 낮았다(r = 0.036).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ISSR 마커는 달래와 산달래의 분류와 교배 육종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미기록 식물: 섬진달래(진달래과) (A new record of Rhododendron keiskei Miq. var. hypoglaucum Suto & Suzuki (Ericaceae) in Korea)

  • 양종철;권영한;지성진;신창호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39-242
    • /
    • 2015
  • 진달래과의 Rhododendron keiskei Miq. var. hypoglaucum Suto & Suzuki가 전라남도 여수시 섬지역에서 발견되었다. 이 종은 전체적으로 인편상 털이 분포하며, 꽃의 동아는 정단부에 1개가 달리고, 화서는 산형 총상화서를 가지며, 화관은 노란색을 띠는 백색에 외부에는 인편상 털이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한국에 분포하는 근연 분류군들과 구분된다. 국명은 생육지를 고려하여 '섬진달래'로 신칭하였고, 이에 대한 기재, 도해, 사진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산달래 추출물의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 효능 (Inhibitory effect of Allium macrostemon extracts on adipogenesis of 3T3-L1 preadipocytes)

  • 이주연;정예주;김진아;김춘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441-449
    • /
    • 2020
  • 산달래 열수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산달래를 전체(WAE), 비늘줄기(BAE), 잎(LAE)으로 분리하여 추출한 후 항산화 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BAE에 비해 WAE와 LAE는 유의적으로 높은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과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능 역시 BAE에 비해 WAE와 LAE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산달래 전체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잎에 유효성분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LAE의 항비만 효능을 알아보았다. LAE는 농도의존적으로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감소시켰으며 이는 독성에 의한 3T3-L1 세포 사멸에 의한 것이 아님을 세포생존율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LAE의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능은 adipogenesis 관련 전사인자인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beta (C/EBPβ),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C/EBPα 유전자 발현의 억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lipogenesis에 필수적인 효소 stearoyl-CoA desaturase 1 (SCD1)의 유전자 발현을 저해하였다. 이를 통해 산달래 추출물 중 LAE는 adipogenic 전사인자와 SCD1 유전자 조절을 통해 지방전구세포 분화를 억제함을 밝혔고 항비만 기능성 물질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산달래가 항비만 효과가 있는 식품임을 입증하고 건강기능성식품 소재로서 상품화될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털진달래(Rhododendon mucronulatum Turcz. var. ciliatum Nakai) 정유의 성분분석과 독성평가 (Composition and Cytotoxicity of Essential Oil from Korean rhododendron (Rhododendon mucronulatum Turcz. var. ciliatum Nakai))

  • 박유화;김성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3호
    • /
    • pp.233-237
    • /
    • 2008
  • 우리나라의 자생식물인 털진달래(Rhododendon mucronulatum Turcz. var. ciliatum Nakai)지상부위로부터 정유를 얻고, 휘발성분을 headspace(HS)와 solid-phase microextraction(SPME)법으로 흡착시킨 다음 GC-MS로 분석하였다. 털진달래 정유에는 탄화수소 15종, 알코올 3종, 아세테이트 1종 등 총 19종의 화학성분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다함량 성분은 2-${\beta}$-pinene(16.1%), camphene(11.9%), ${\delta}$-3-carene(11.4%), d,l-limonene(9.5%), and ${\gamma}$-terpinene(9.5%)이었다. SPME법으로 흡착된 시료에는 탄화수소 13종, 알코올 1종, 질소화합물 1종 등 총 17종의 휘발성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었고, 이들 중 다함량 성분은 camphene(19.6%), 2-${\beta}$-pinene(18.0%), ${\delta}$-3-carene(17.4%), timethyl hydrazine(9.7%), ${\gamma}$-terpinene(8.5%), and d,l-limonene(5.5%)이었다. 그리고 HS법으로 흡착된 시료에는 탄화수소 11종, 알코올 1종, 질소화합물 1종 등 총 13종의 휘발성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 중 다함량 성분은 camphene(25.8%), ${\delta}$-3-carene(24.8%), 2-${\beta}$-pinene(20.2%), d,l-limonene(5.4%), tricyclene(5.1%), trimethyl hydrazine(4.6%)이었다. 털진달래 정유의 향취는 coniferous, balsamic, woody하였으며, HaCaT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IC_{50}$ 값은 0.030 ${\mu}g/mg$이었다.

설악산 대청봉지역의 아고산대 산림식생 (Subalpine Forest Vegetation of Daecheongbong Area, Mt. Seoraksan)

  • 권혜진;권재환;한경숙;김무열;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4-201
    • /
    • 2010
  • 본 연구는 설악산 대청봉지역의 아고산식물대에 분포하고 있는 식물군락을 분류하고, 식생과 토양환경과의 관계를 밝혀 이들을 보존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청봉지역의 아고산대 식물군락은 털진달래-사스래나무군락군으로 구분되었으며, 입지 환경에 따라 종조성을 달리하는 눈잣나무군락, 분비나무군락, 눈측백군락, 털진달래-사스래나무전형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군락별 환경요인과 식생과의 ordination 분석 결과, 눈잣나무군락과 눈측백군락은 분비나무군락과 털진달래-사스래나무전형군락보다 전질소, 유효인산, 유기물함량 등의 양료가 다소 많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었다. 분비나무군락과 털진달래-사스래나무전형군락이 눈잣나무군락과 눈측백군락보다 해발고가 다소 높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었고, 눈잣나무군락과 눈측백군락은 북사면이나 북서사면에, 분비나무군락과 털진달래-사스래나무전형군락은 남서사면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