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지조성

Search Result 68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Schematic Regeneration Strategy of Old Downtown, Myeongdong, in Cheonan (천안 구도심 명동지역 도시재생 전략수립 연구)

  • Sung, Min-Ho;Lee, Heew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5
    • /
    • pp.3231-3239
    • /
    • 2014
  • After 1970-80's rapid economic and urban development, nowadays the old downtown suffers from the deterioration of physical environment, outflow of its function and cavitation of population. And this phenomenon makes urban regeneration as a new paradigm in urban development. This is the case of Myeongdong area (Jungang-dong, Monsung-dong), old downtown of Cheonan around rail station, in the same way. City government has tried many regeneration/ redevelopment projects on this area but all failed due to lack of feasibility.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new viable strategic regeneration scheme of this area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f TOD development, existing condition and problems. As a result, the area needs to be considered as a node that links bus terminal complex and central market place with walkable street. For regeneration of this area, a strategic development scheme of this area is suggested deploying private capital invested rail station, underground shopping mall, transfer center, culture complex and nature park with Myeongdong street mall.

A Study on the Components and Competitiveness of the Teheran Valley as an Urban Innovation District (대도시 혁신지구로서 테헤란밸리의 구성요소와 경쟁력 연구)

  • Rhee, Hyosu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3
    • /
    • pp.321-336
    • /
    • 2019
  • The ICT industry has developed into an industry that generates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policy to support the ICT industry, initiated by the government, has been activated mainly on the Teheran Road of Gangnam-gu in Seoul.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d the emergence background and formation factors of the new innovation district in the urban area of the Teheran Valley.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novation district in the integrated urban and industrial parks with various facilities and institutions supporting the startup.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the Teheran Valley as an urban innovation district by dividing the indicators of the urban innovation district in the Teheran Valley into economic assets, spatial and physical assets, network assets, and human capital. It also examined the ICT technology leading the innovation and analyzed the implications for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tream ecology indexes and streamflow metrics (하천수생태지수와 하천유량지표와의 상관관계 분석)

  • Park, Daeryong;Ahn, So Ra;Kang, Hyeongsik;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25-525
    • /
    • 2016
  • 도심지역의 대단위 주거 단지 조성에 따른 다양한 하천 생태계에 대한 문제가 야기되어 하천 생태계에 대한 환경영향평가가 때때로 시도되고 있다. 토지이용의 변화에 따라 유역의 물순환 경향이 달라지고 이로 인하여 하천 수생태계에 영향이 달라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 변화와 물순환 변수인 유량인자와 하천 수생태환경의 상관관계를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유역으로는 한강 하류지역인 서울특별시 주변의 30개 소유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일유량 자료와 BMI 지수, 유역의 불투수율등을 사용하였다. 또한 환경부에서 제공하고 있는 2012-2014년 자료중 한강 유역에서 조사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지수 관측소와 유랑 관측소와 일치하는 33개 지점을 선정하여 유량지표와 생태환경 지수와의 관계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생태환경을 나타낼 수 있는 지수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지수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dex, BMI)를 조사하여 자료를 구축하고, 토지이용변화와 유량변화에 따른 BMI 지수의 영향을 조사하고, 토지이용 변수와 수문학적 변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유역의 불투수율과 마찬가지로 일평균 유량, 0.5년 초과빈도, 0.1년 초과빈도, 0.01년 초과빈도 유량과 BMI 지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상관관계 도출을 통하여 유역의 개발에 따른 하천 수생태에 영향을 수문변수 중의 하나인 유량지표로 유추 할 수 있으며 수생태에 대한 영향을 저감할 수 있는 저감 방안으로 유량자료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PDF

Analysis of the pipeline system for efficient provision of irrigation demand (관개용수량의 효율적 공급을 위한 관수로시스템 분석)

  • Kim, Soo Jun;Kim, Nam Do;Kim, Phil Shik;Bark, Min Woo;Kang, Seung M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73-273
    • /
    • 2015
  •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의 농업용수 공급시스템은 개수로 방식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지형의 영향을 덜 받으면서 안정적으로 용수공급이 가능한 관수로 시스템으로서의 전환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특히 서남해안간척사업, 새만금 등 대단위 농업단지 조성이 늘어나면서 경제적인 수리시설의 설치와 유지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관수로화 사업은 1980년대 중반부터 농업용 관수로 사업이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 운영 중인 농업용관수로 지구에서는 특별한 물관리에 대한 규정이 없고, 사용자의 급수요청에 따른 불규칙한 용수관리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농업용수의 무분별한 사용과 운영관리방안의 부재로 인해 많은 양의 농업용수가 낭비되고 있다. 기존 개거에 비하여 관수로의 경우 통수량이 증가되어 관개에 소요되는 시간은 단축 되었으나, 급수소요시간의 변화에 따른 적절한 적용을 하지 못하여 지나치게 많은 양이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수자원의 낭비를 막기 위해 농업용 관수로의 운영계획이 필요하지만, 현재 농업용 관수로 운영기준은 사실상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호남지역의 해남지구를 대상지구로 선정하여 EPANET(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모형을 이용하여 농업용 관수로시스템의 관망해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EPANET모형을 통하여 대상지구의 급수방식을 분석하고, 용수량의 운영현황 자료를 비교 검토하여 계획수요량과 공급량을 비교하여 관수로시스템에서의 농업용수 공급능력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Estimation of phased warning water level for flood warning in disaster prone area in Busan (부산광역시 재난취약지역의 홍수 예·경보 발령을 위한 단계별 기준수위 산정)

  • Yoon, Eui Hyeok;Lee, Jae Hyeok;Lee, Yeong Gon;Shin, Hyun Sh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66-266
    • /
    • 2016
  • 2014년 8월 25일 시간당 130mm 이상의 폭우로 인하여 부산시 중구를 제외한 부산 전역에 걸쳐 인명 및 막대한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는 부산광역시의 지형특성상 고지대에 주택 등이 조밀하게 개발되어 불투수층의 증가 및 배수처리의 한계로 침수지역이 다량 발생하였고, 절개지 및 옹벽 등이 많은 지역, 소하천 및 산업단지 조성 후 지반이 약화된 지역 등에서 주로 피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부산지역에서 도시홍수로 인한 막대한 피해를 입은 기장군과 부산광역시 일부 유역에 대하여 홍수 예보 시설을 설치 운영하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재해관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재난취약지역으로 선정된 기장군 일대와 부산광역시 일대의 총 10개 지점(14개소)에 대하여 현장 조사를 실시하여 수위관측시스템 설치를 위한 적절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지점에 대하여 수리모형(HEC-RAS)을 구축하였다. 수리모형에서 산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 하천의 현실에 맞는 홍수 예 경보 발령을 위한 각 각의 4단계 기준수위(둔치위험 수위, 주의보 수위, 경보 수위, 하천범람 위험 수위)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각 지점별로 산정된 단계별 기준 수위를 이용하여 재난취약지역으로 선정된 기장군 6개 지점과 부산광역시 4개 지점에 대하여 "홍수 예 경보 발령을 위한 기준 수위 산정 결과"를 도출하였고, 위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광역시에 홍수 예 경보 발령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도심 재난 예방에 활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위 지점에 대하여 지속적인 하천 정비 등의 사후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부산광역시의 다른 재난취약지역에 대하여 보다 개선된 홍수 예 경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현재 국가하천에 대하여 시행되고 있는 홍수 예보와 같은 재난 예방 시설의 구축과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체계적인 대응 방안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PDF

China Effect and Sea/Air Intermodal Transport in Korea (중국효과와 해상/항공 복합운송)

  • Kim, Chang-Beom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3 no.2
    • /
    • pp.25-40
    • /
    • 2007
  • The sea/air intermodal transport is a time-saving and cost-saving transport for cargo shipments. In reaction to a recent growth of high value-added products in China, the volume of sea/air intermodal transport in Korean airport has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This paper treats the situation, the system, and the possibility of sea/air intermodal transport, which are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logistics problem related to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air cargo demand in China. Also, several strategies are considered to develope Korea into intermodal transport hub including the value added logistics activity which will secure the demand of sea/air intermodal transport.

  • PDF

Estimation of High-resolution Sea Wind in Coastal Areas Using Sentinel-1 SAR Image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 (Sentinel-1 SAR 영상과 인공지능 기법을 이용한 연안해역의 고해상도 해상풍 산출)

  • Joh, Sung-uk;Ahn, Jihye;Lee, Yangwo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7 no.5_1
    • /
    • pp.1187-1198
    • /
    • 2021
  • Sea wind isrecently drawing attraction as one of the sources of renewable energy. Thisstudy describes a new method to produce a 10 m resolution sea wind field using Sentinel-1 images and low-resolution NWP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data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 The experiment for the South East coast in Korea, 2015-2020,showed a 40% decreased MAE (Mean Absolute Error) than the generic CMOD (C-band Model) function, and the CC (correlation coefficient) of our method was 0.901 and 0.826, respectively, for the U and V wind components. We created 10m resolution sea wind maps for the study area, which showed a typical trend of wind distribution and a spatially detailed wind pattern as well.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to surveying for wind power and information service for coastal disaster prevention and leisure activities.

A Study on Locational Competitiveness Factor of Inland Logistics Complex in Gangwon (강원영동남부권 내륙물류기지 입지경쟁 요인에 관한 연구)

  • MIN, Se-hong;JEONG, Dong-hun;KANG, Dal-won
    • The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 /
    • v.34 no.4
    • /
    • pp.637-656
    • /
    • 2018
  • This res 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a suitable location for an inland logistics complex in Gangwon Province, South Korea and it aims use competitive factors to derive implications from the logistics competitiveness of Gangwon Province. According to Origin-Destination analysis, the most suitable and desirable site for creating the complex was found to be in the Wonju city area. A total of 28 variable were derived through prior study in order to identify the competition factors for the inland logistics complex,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total of 16 subfactors were reclassified into four main factors.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analysis showed that 'accessibility factors' (0.374) ranked highest in terms of importance, followed by 'reliability factors' (0.358), 'operability factors' (0.166), and 'government policy factors' (0.102). In each category, delivery of goods from the inland logistics complex base to the demand site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0.16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arine Industrial Cluster in Seosan-Daesan Port (서산 대산항 해양산업 클러스터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 Yun, Kyong-Jun;Seo, Su-Wa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5 no.1
    • /
    • pp.19-38
    • /
    • 2019
  • The Seosan-Daesan Port is closest to the major ports of China; hence, it is recognized as the ideal port for trade with China. Well-developed industrial infrastructure in its hinterland, including petrochemical, automotive, and electronic component complexes and recent developments of port facilities that aim to strengthen its function as a commercial port clearly highlight the necessity to develop it as a comprehensive port by building a marine industrial cluster. In this study, prerequisites for marine industrial cluster development in Seosan-Daesan Port are identified; the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 conditions to be met for being designated a marine industrial cluster should be amended; Second,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delegate authority to local governments to ensure the development of marine industries; Third, changes related to marine industrial cluster development in the governance structure of local governments (Seosan City and Chungnam Province) are required; and Last, a consultative body should be established to facilitate discussions on developing a marine industrial cluster in Seosan-Daesan Port and build public consensus.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of Palgye Alluvial Plain and Landscape Change of the Chilgok area, Northeastern Part of Daegu Metropolitan City (대구광역시 칠곡 팔계평야의 지형발달과 경관변화)

  • HWANG, Sangill;YOON, Soon-Ock;KANG, Chang-Hyeok;Lim, Won-Hyeon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7 no.4
    • /
    • pp.29-40
    • /
    • 2010
  • The Palgye Plain, located in Chilgok, Buk-gu, Daegu-si, is a floodplain by Palgye-River rising from Mt. Ga one of the mountains in Ring Typed Mountains of Mt. Palgong. The geomorphic surfaces in the study area can be divided into the natural levee, back marsh and confluent fan, and the natural levee and fan have been used as important regions of human activities since the Bronze Age. The alluvium sediments of Palgye-River can be subdivided into the bedrocks, lower gravel deposits, lower sandy deposits, lower silty deposits, upper sand and gravel deposits, and upper silty deposits from the bottom according to the formative ages. The lower gravel deposits correlated to the last glacial stage and the rest to Holocene, respectively. Confluent fans were also formed during the last glacial stage. Moreover, The landscape with land use after 20C was changed to apartment area due to civilization differently from which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geomorphic surfaces in the p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