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a Effect and Sea/Air Intermodal Transport in Korea

중국효과와 해상/항공 복합운송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e sea/air intermodal transport is a time-saving and cost-saving transport for cargo shipments. In reaction to a recent growth of high value-added products in China, the volume of sea/air intermodal transport in Korean airport has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This paper treats the situation, the system, and the possibility of sea/air intermodal transport, which are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logistics problem related to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air cargo demand in China. Also, several strategies are considered to develope Korea into intermodal transport hub including the value added logistics activity which will secure the demand of sea/air intermodal transport.

우리나라가 중국발 해상/항공화물 운송을 발전시켜 복합운송시장의 우위를 점한다면 중국교역의 물류거점지역으로 자리를 잡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본고는 중국경기가 해상 및 항공물동량에 미치는 효과를 통해 새로운 운송체계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우리나라 해상/항공 복합물류의 특성과 현황을 살펴본 후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이동회귀분석 통해 해상물동량과 항공물동량 모두에서 경기계수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작아지고 있으며, 해상물동량의 경우가 항공물동량보다 더 빠르게 중국경기의 영향력이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국경제의 성장과 물동량 증가가 우리나라 해상물동량과 항공물동량 증가로 이어지는 구조가 악화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앞으로 새로운 운송체제의 구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해상/항공 복합운송의 활성화를 위해 해상/항공 복합운송 잠재수요의 파악 및 마케팅, 중국내 면허자격의 완화와 교차물류단지와 조성, 한 중간 해상운송시간의 단축, 통관시스템의 개선, 국적항공사의 항공기 스페이스 확보와 저렴한 운임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