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위평면계획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초

자녀양육기 맞벌이가구를 위한 아파트 단위평면 계획연구 (Apartment House Unit Planning for Dual-earner Families Nursing Preschoolers)

  • 최윤정;김민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23-32
    • /
    • 2003
  •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behavioral patterns of family members at home and to grasp the housing needs of dual-earner families nursing preschoolers, and to suggest the planning of apartment house unit. The survey method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1 questions. The subjects were the wives who had full-time jobs and reared children 0-5 years old. The subjects were randomly selected at three-childcare centers in Daejeon and Cheongju. The data was collected from $5^{th}$$25^{th}$ July, 2002. 115 cas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 10.0 packag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ould suggest the apartment house planning for dual-earner families nursing preschoolers. It is necessary that the planners consider relationships of children's room with their parents room. A flexible and exchangeable plan to accommodate the need for growing children was desired. The children's room has to be located near their parents room when the children are babyhood. And then for privacy of family members, when their children go to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room has to be moved to other space to be separated from their parents room. small.

GIS Application for Site Planning

  • Han, Seung-Hee;Lee, Jin-Duk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3-59
    • /
    • 2009
  • 일반도시계획은 보편적이고 획일적인 건축행위를 제한하는 평면계획인 반면 지구단위계획은 필지, 가구, 획지단위 별로 차등을 두어 다양한 건축행위를 유도할 수 있는 입체적인 계획이다. 그러므로 단지계획을 위해서는 토지이용계획 등 2차원적인 토지정보뿐만 아니라 채광, 배수, 향 등의 분석을 위해 3차원적인 지형정보의 이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GIS 및 사진측량 기법을 이용하여 정보를 구축한다면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단지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테스트지역에 대해 GIS기법을 이용하여 단지계획을 위한 정보를 구축하였으며 위성영상과 DEM으로 대상지역의 3차원 모델을 구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토지이용분석, 배향 분석, 수계분석, 경사분석을 실시하여 지구단위계획 수립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또한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실제 대상지역에 대해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한 결과 적절하며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형태학적 개념을 활용한 조선시대 고산현의 도시형태 변천과정 해석 (Morph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Urban Form in Gosan-Up)

  • 이경찬;강인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7-49
    • /
    • 2014
  • 본 연구는 조선시대 읍치로부터 성장한 지방 소도읍의 하나인 고산을 대상으로 형태학적 개념과 연계하여 도시의 형성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형태구조와 도시평면 변화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해보고 시기별 형태특성을 도출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산의 도시형태 분석을 위하여 콘젠과 카니지아가 설정한 도시형태 분석개념을 토대로 형태구조, 도시평면, 경로체계, 개발규정선, 전이지대, 중심지구, 평면단위, 형태시기, 브레이크 포인트, 자투리필지, 유휴지, 사유화 등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고산현시대에 골격이 형성된 고산의 도시형태 변천과정에는 도시형태 형성-구시가(kernel)의 형태구조 해체 재편-중심지구(epidome district)의 형성 발달-확장형 충진-중심지구 확장 재편으로 이어지는 순환적 사이클이 존재하고 있다. 공공사업은 고산의 형태구조와 도시평면의 변화를 주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초기 단계 고산의 형태적 변화과정에는 간선경로로서 구시가(kernel)을 관통하며 개설된 신작로(고산로)와 이를 연결하는 계획로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신작로 개설을 계기로 T(십(十))자형 골격도로체계를 바탕으로 구시가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던 관아시설구역의 평면단위가 소블록 단위의 개방형 평면단위로 전이되었다. 이와 더불어 신작로와 시장 경계도로를 따라 상가가 들어서면서 선형의 평면단위를 지니는 노선상가와 시장이 어우러진 근대적 중심지구를 형성하게 되었다.

아파트 거주자들의 발코니 인식과 요구도 분석을 통한 단위 평면 계획 (Unit Planning of Apartment Housing through the Analysis on the Residents' Perception and Needs of the Balcony space)

  • 권윤지;강순주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43-44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that can assist on projecting the plans of use of balcony space, by identifying the problems derived from balcony remodelling for the sole purpose of securing practical space, and to further research on the role of balcony space in an apar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a high demand on balcony space, thus the key area of research would be on developing various methods of utilizing such balcony space differing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available residential space, rather than a standardized extension of balcony space.

  • PDF

고층 공동주택의 개구특성에 따른 화재시 열.연기유동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of Heat and Smoke Related to Openings in Hise-Rise Apartment Building Fires)

  • 이지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59-79
    • /
    • 200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층 공동주택의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강조하고, 화재 발생시의 인명피해와 재산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개구특성에 따른 화재시 열·연기 유동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계획적 측면의 화재 안전성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열유동해석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그것을 이용해서 공동주택의 개실과 단위주호 그리고 단위주도을 대상으로 수치해석과 실험해석을 병행하였다. 그 결과, 고층 공동주택의 개실에서 개구의 개폐유형이 화재의 열 및 연기유동에 영향을 끼치므로 평면계획시 개구유형에 따른 별도의 방화대책을 강화해야 하며, 두 번째, 고층 공동주택의 단위주호에 있어서 평면유형에 따라서, 열과 연기의 전파시간에 차이가 있음을 수치해석을 통해서 그 결과를 유도했으며, 세 번째, 단위주동을 대상으로 했을 때, 개구 개폐유형에 따라 열 및 연기유동의 수치해석과 모형실험을 통해서 화재성상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아파트 단위평면의 공간별 주요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Apartments Floor Plans in Seoul)

  • 이은민;이연숙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5-80
    • /
    • 2004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floor plans that have been recently availabl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and 232 apartment floor plans were examined.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front width and the number of front bays also notably increased. Also, two bathrooms in a unit have been increasing, and three bedrooms were very popular. The conspicuous change of floor plan component is the appearance of entrance lobby. It was noted that dress room and powder room that appeared in a larger unit were adopted in small one. Housing suppliers have continuously attempted to have partial change in unit floor plan to accommodate consumers' diverse needs and lifestyle, Further analysis on our residential culture and continuous study on various development of floor plan types need to be made.

  • PDF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물에서 조닝분석을 통한 단위세대 평면 유형 및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 Characteristics and Unit Floor Type Through the Zoning Analysis of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 성이용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54-61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lan characteristics used in unit floor planning mainly with examples of mixed-use residential tall buildings. The study will extract plan characteristics mainly using the graph expressive technique with essential information of the zoning function of residential space, rather than merely analyzing the various construction floor plans by type. The research method involves studying a group of 50-story buildings (over 200 meters) which were built between 2002 and 2008. Among 6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case, we extract the most preferred type from 34 types, And then we simply classify rooms in 3 zoning, the master, living and children's zones. Finally we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3 simple zone and then extract some model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ree main findings. First, using the 3 functional zones, the shape of the main building and the unit floor plan can be analyzed simply even when they appear to be complicated. Second, we can extract common features when we analyze the unit floor plan from the viewpoint of the penetrability among 3 zoning. Third, we can extract 2 types when we analyze the unit floor plan from the viewpoint of 3 connected functional zoning concepts.

  • PDF

발코니 확장 합법화 이후 건축 밀도의 변화 - 송도경제자유구역 내 아파트를 중심으로 (Changes on Building Density after Legalization of Balcony Expansion - Focused on Apartment in Songdo Economic Free Zone)

  • 이범훈;장동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298-30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발코니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발코니 활용에 따라 기본형 평면과 확장형 평면의 출현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실제 사례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건축 밀도의 변화를 실질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인천광역시 현 도시 관리측면의 정책과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첫째, 건축법 시행령 내 발코니의 다양한 정의와 특성을 분석하고 이후 2005년 합법화에 따른 발코니 확장을 기준으로 하여 기본형 평면과 확장형 평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발코니 확장에 따른 밀도에 관한 문제를 다양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제기하였고 대상지의 밀도 관리 측면의 계획적 시도를 살펴보았다. 셋째, 인천광역시 송도경제자유구역 사례를 대상으로 실질적인 건축면적과 연면적 그리고 용적률 등을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일부 구역에서 실제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지구단위계획의 밀도 관리를 준수하지 못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FGI를 통한 아파트 단위세대 평면분석 - 4-Bay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Apartment Planning Components of 4-Bay Floor Plans Through FGI)

  • 김선아;방희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63-16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lanning components of floor plans demanded by consumers and to analyze their demands and wants that can be reflected in developing apartment units. The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small group workshops, so that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share the living experiences drawn from apartment living and also to point out the improvements of current 4-bay floor plans available. The research result indicate the follows ; The protection of privacy and communication have relation to the separation of master zone and other rooms. found seven specific categories in relation to planning components of floor plans . Respondents wanted new rooms that could accomodate various function, separated the private spaces from public space in center.

  • PDF

1990 년대 이후 우리나라 초고층 공동주거 공간계획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서울의 40층 이상 주상복합 아파트 3침실형 평면의 외기노출면 실배치 방식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Korean Super-high rise Multi-unit Housing after the 1990s - Focusing on the window-side room layout of the 3 bedroom plans in the commercial mixed building over 40 Stories in Seoul -)

  • 서경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39-146
    • /
    • 2011
  • An attempt is made to illuminat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igh-rise apartment plans built after the 1990s in Seoul. Unlike the typical slab block plans of the past century, these plans were accommodated in a super-highrise building which normally integrates some portion of commercial areas on the lower floors. Thus, they are much different from the pre-1990s plans, so needs to have different strategy to adapt to the Korean dwellers' domestic requirements. This study reveals the topological patterns that appear in these new plans, and tries to relate these patterns to the old configuration patterns of the slab-type apartment houses. From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ome important Korean dwellers' characteristics are still preserved, but at the same time, some unprecedented patterns were beginning to be absorbed into the spatial arrangement. At the end, suggestions are made on how this emerging trend of super-high rise can be better understood and evolved to enhance the living quality in a new multi-unit set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