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 Application for Site Planning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The general urban plan is the plane plan which limits general and uniformed constructions; however, the district unit plan is the solid plan that can leads various constructions by discriminating by plot, housing area and lot. Therefore, for the zone plan, not only the two-dimensional plot information such as plot usage plan, but also the three-dimensional plot information needs to be used to analyze lighting, sewerage and directions. To fulfill such requirements, the information can be gathered using GIS and photogrammetric method for the reasonable and efficient zone plan. In this research, the information about the testing area for the zone plan has been gathered using GIS method, and the three-dimensional model about the area has been built using the satellite image and DEM. As the result, plot usage analysis, direction analyst, water system analysis, and slope analysis has been done and used efficiently to build the district unit plan. Also, after the result after applying the analyzed result to the actual area says this is very appropriate and efficient.

일반도시계획은 보편적이고 획일적인 건축행위를 제한하는 평면계획인 반면 지구단위계획은 필지, 가구, 획지단위 별로 차등을 두어 다양한 건축행위를 유도할 수 있는 입체적인 계획이다. 그러므로 단지계획을 위해서는 토지이용계획 등 2차원적인 토지정보뿐만 아니라 채광, 배수, 향 등의 분석을 위해 3차원적인 지형정보의 이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GIS 및 사진측량 기법을 이용하여 정보를 구축한다면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단지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테스트지역에 대해 GIS기법을 이용하여 단지계획을 위한 정보를 구축하였으며 위성영상과 DEM으로 대상지역의 3차원 모델을 구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토지이용분석, 배향 분석, 수계분석, 경사분석을 실시하여 지구단위계획 수립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또한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실제 대상지역에 대해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한 결과 적절하며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Adams, D. , Urban Planning and the Development Process, London: UCL Press. 1994.
  2. Masser, I. and H. Ottens, "Urban Plann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Planning". J. Stillwell, S. Geertman and S. Openshaw. Berlin, Springer-Verlag: 25-42, 1999.
  3. Smith, D. A. and R. F. Tomlinson, "Assessing costs and benefit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methodological and implementation issu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6(3): 247-256, 1992. https://doi.org/10.1080/02693799208901908
  4. Worrall, L., 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London: Belhaven Press, 1990.
  5. 강준묵, 윤희천, 민관식, 이원영, 2007, 수치지형도와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지형경사도 비교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논문집 제15권 4호, pp.3-9.
  6. 김경휘, 고준환, 전철민, 최윤수, 2003,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을 활용한 도시계획정보시스템 구축방안, 한국측량학회 춘계학술 발표회 논문집, pp.377-382.
  7. 성춘자, 박재국, 2007, 개별 공시지가 산정을 위한 토지특성조사 에 GIS 공간분석기법의 적용,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논문집 제 15권 1호, pp.31-38.
  8. 오승, 강승림, 이경소, 김창호, 1999, GIS를 이용한 도시 계획 모형,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학술회의 논문집 99 개방형 지리정보시스템 학술회의 논문집, pp. 47-66.
  9. 윤효진, 2000, 지구단위계획에 있어서의 지리정보시스템 (GIS) 활용의 제약요인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16권 제12호, pp. 177-185.
  10. 이민우 ,손덕재 ,유환희 ,조해용, 2000, GIS를 이용한 진주시 개발제한구역 환경적합성 평가,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IV), pp. 745-748.
  11. 한국토지공사, 2001, GIs에 의한 단지계획, 설계 및 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pp. 25-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