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백질 발현

검색결과 2,662건 처리시간 0.037초

기계적 응력이 치주인대세포의 세포증식 및 세포주기 조절인자들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chanical Stress on the Proliferation and Expression of Cell Cycle Regulators i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 유형근;신형식;이진;민병무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3호
    • /
    • pp.593-607
    • /
    • 1999
  • 치주인대세포는 치주인대의 유지와 개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섬유아세포성 세포로서, 세포에 가해진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한 표현형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계적 응력은 치주인대세포의 세포증 식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세포주기 조절인자들의 발현을 증가 시킴으로써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되나 그 자세 한 작용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목적은 기계적 응력이 사람 치주인대세 포의 세포증식과 세포주기 조절인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사람 치주인대 세포에 기계적 응력을 가한 후 세포증식을 관찰하고 , 세포주기조절인자들인 p 53 , $p21^{WAF1/CIP1}$ cyclin-dependent kinases(cdks), cyclins 및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PCNA)의 단백질 발현 변화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사람 치주인 대세포는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발거한 건전한 사람 소구치의 치주인대로부터 explantation culture하여 얻은 후 계대배양을 시행하여 제6 계대의 세포를 사용하였다. 배양한 사람 치주인 대세포를 55-mm Petriperm dish당 $1{\times}10^4$ 개를 분주하고, dish당 1kg의 기계적 응력을 가하면서 12일동안 세포배양을 시행하였다. 사람 치주인대세포의 세포증식은 기계적 응력을 가한 후 8-12일 사이에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PCNA 단백질의 발현은 기계적 응력을 가한 후 6-10일 사이에 현저히 증가하였다. 또한 기계적 응력은 사람 치주 대세포의 cdk4, cdk6, cdk2 및 cyclin D1 단백질의 발현을 다소 증가 시켰으나, p53 및 $p21^{WAF1/CIP1}$ 단백질의 발현은 큰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서 기계적 응력은 사람 치주인대세포 의 p53 및 $p21^{WAF1/CIP1}$ 단백질 발현의 변화 없이 cdks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세포증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IPTG의 첨가 시간이 대장균(Escherichia coli)에서 순무 모자이크 바이러스(TuMV)의 외피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ming of IPTG Addition on Expression of Turnip Mosaic Virus Coat Protein Gene in Escherichia Coli)

  • 김수중;박원목;류기현;이상선;이세영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48-254
    • /
    • 1997
  • 순무우 모자이크 바이러스 Ca 계통(TuMV-Ca)의 외피 단백질을 대장균 NM522 strain에서 발현시켰다. 발현된 바이러스 단백질은 한천젤 이중확산법, ELISA와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외피단백질 발현 벡터(pGEX-Tu)의 구축은 IPTG induction site를 지니는 pGEX-KG에 TuMV-Ca 외피단백질 유전자를 결합하였다. 최적 단백질 발현 조건은 pGEX-Tu를 지니는 대장균을 액체 배지 1 ml당 $A_{595}$=0.1/ml의 농도로 접종한 후 2시간 뒤에 IPTG를 최종 농도를 1 mM로 조절하여 induction 시키는 경우였다. 합성된 목적 단백질은 발현 벡터의 특성상 GST (Glutathion S-Transferase) 단백질과 결합된 형태로 약 59 kDa의 단백질이었다. (uMV CP 33 kDa + GST 26 kDa.)

  • PDF

KGN(난소과립세포)에서 BCL2L10 단백질의 세포사멸 유도 기능 연구 (BCL2L10 Protein Induces Apoptosis in KGN-Human Granulosa Cells)

  • 김재홍;이경아;배지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2호
    • /
    • pp.113-120
    • /
    • 2011
  • BCL-2 family 단백질들은 세포사멸 신호전달 체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BCL2L10 단백질은 그 중 하나로 세포의 사멸과 생존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이하게도 BCL2L10 단백질은 세포 또는 조직 특이적으로 서로 상반되는 친 세포사멸 또는 항 세포사멸 효과가 각각 보고되어 있다. 현재까지 난소세포에서의 BCL2L10의 발현 여부 및 기능은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인간 난소 과립세포주인 KGN 세포에서의 BCL2L10 단백질의 발현 여부를 확인한 결과, 상당한 양의 단백질이 발현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세포사멸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BCL2L10 단백질을 dose-dependent하게 과발현시킨 후 세포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BCL2L10은 KGN 세포에서 과발현 시 세포사멸을 유도함을 관찰하였다. BCL2L10 단백질을 과발현 시 Caspase 9와 3를 활성화 하였으며, 면역염색법을 통해서 BCL2L10 단백질이 미토콘드리아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BCL2L10단백질의 과발현에 의해 미토콘드리아에서 cytochrome c가 세포질로 분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서 본 연구는 BCL2L10의 과발현이 KGN 세포에서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또한 미토콘드리아에 위치하여 세포질로 cytochrome c를 분비하여 Caspase 9와 3을 활성화 시키는 메커니즘으로 세포사멸을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BCL2L10단백질이 인간 난소과립세포의 생존과 사멸을 조절하는 인자임을 최초로 규명한 것으로서, 추후 난소에서의 BCL2L10단백질의 생리적인 기능 및 신호 조절 연구의 기반 데이터로서 그 의의가 있으며 활용될 수 있다.

콩 단백질의 대장균 발현과 정제 (Expression and Purification of Soybean Protein from Escherichia coli)

  • 오문헌;정재홍;노영희;이희봉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04-408
    • /
    • 1996
  • 콩 단백질은 글리시닌과 $\beta$-콘글리시닌을 주요 성분으로 한다. 영양성 및 가공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유전자공학적인 방법을 시도하였다. 즉 $\beta$-콘글리시닌의 $\beta$-서브유니트를 유전자 클로닝하고 대장균에서 발현시켰다. 발현벡타는 pET 21d이며 플라스미드를 구축하여 E. coli BL21(DE3)에 형질전환 시켰다. 발현된 단백질은 균체 전체 단백질의 20%이며 가용화 상태로 축적되었다. 축적 발현단백질은 천연의 $\beta$-콘글리시닌과 동일항 트리머로 확인되었다. 정제는 황산암모늄 20~40% 분별침전, Q-Sepharose 이온교환크로마토그라피, Butyltoyopearl 소수성 컬럼크로마토그라피로 하였다. 이것은 콩 단백질의 특성을 규명하는데 필요한 대장균 대량 발현계를 확립하고 발현 단백질의 정제방법을 확립한 결과이다.

  • PDF

Repression of p21 Expression by Hepatitis B Virus X Protein via a p53-Independent Pathway

  • 안지영;장경립
    • 한국생명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명과학회 2000년도 제30회 학술심포지엄
    • /
    • pp.39-43
    • /
    • 2000
  • HBV는 인체에 감염하여 간염, 간경변 및 간암을 유발하는 hepadnaviruses의 일종으로써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한 바이러스이다. 그러나 이 바이러스에 의한 간암(HCC)의 발생 메커니즘은 아직 불확실하다. 최근에는 HBV의 X 단백질(HBx)이 간암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HBx 단백질은 전사 활성인자(transcriptional activator)로써 숙주세포의 유전자발현에 영향을 미치어 세포증식 및 분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HBx 단백질이 NIH 3T3 cell의 증식 및 형질전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HBx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주는 정상세포에 비하여 증식 속도가 2배 정도 빠르며, soft agar assay 결과에 의하면 대조군과 비교하여 더 많은 수의 colony를 형성하였다. 또한, 이들 HBx 발현 세포들은 접촉 저해 능력을 상실하여 HBx가 세포 형질 전환 능력을 가짐을 알수 있다 또한 HBx 발현 세포주에 있어서 p21의 RNA 및 protein수준이 정상세포에 비하여 낮으므로 HBx에 의한 증식 촉진 및 세포 형질 전환이 p21을 매개하여 이루어 짐을 알 수 있었다. HBx에 의한 p21 유전자의 발현 감소는 p21의 전사 수준에서 이루어지며 이는 p53-비의존적 경로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 PDF

대장균(JM 109)에서 효모 Thiol-Specific Antioxident 단백질의 발현 (Expression of Yeast Antioxidant Protein Gene in E. coil)

  • 김일한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4권
    • /
    • pp.1-10
    • /
    • 1991
  • 발현 Vector인 pKK223-3를 이용하여 효모 Thiol-Specific Antioxidant단백질 유전자를 대장균에 도입시켜 이 단백질을 발현시켰다. 이 단백질은 대장균 단백질의 약 1% 정도로 발현되었으며, 물리 및 화학적 특성은 효모의 것과 동일한 특성을 보였다.

  • PDF

위암 절제조직에서 nm23 단백질 발현의 임상적 의의 (The Clinical Eelevance of nm23 Protein Expression in Resected Gastric Cancer Patient)

  • 송선교;김홍진;김상운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43-51
    • /
    • 1999
  • 위암환자에서 nm23 단백질이 예후인자로서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위절제술로 얻어진 76명의 원발암 조직에 대해서 nm23 단백질의 단세포군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실시한 결과 nm23 단백질의 양성발현율은 53.9% (23/76)였다. 병리조직학적 소견들과의 비교에서 nm23 단백질의 양성발현율은 조기암보다 진행암에서, 림프절 전이 양성군에서, 그리고 암세포의 림프관 침습이 있을때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nm23 단백질의 발현유무가 재발과 관련이 있는지에 때한 분석 결과 재발율에서 차이가 없었다. nm23 단백질 발현 유무가 생존기간에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한 단변량 분석결과 생존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nm23 단백질의 양성발현 여부를 예후인자로 사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국내 수수 종자 분석을 위한 프로테오믹스-기반 바이오마커 개발 (Development of Proteomics-based Biomarkers for 4 Korean Cultivars of Sorghum Seeds (Sorghum bicolor (L.) Moench))

  • 김진영;이수지;하태정;박기도;이병원;김상곤;김용철;최인수;김선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8-54
    • /
    • 2013
  • 수수 종자의 품종 간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단백질을 동정하여 기능성 유전자를 확보하고 이들 유전자를 이용하여 수수의 기능성 강화 및 품종 판별 기술 개발을 위한 유용 유전자를 확보하고자 프로테오믹스 기법을 이용하여 수수 종자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단백질을 이차원전기영동후, colloidal CBB 염색을 통해 품종 별로 발현에 차이를 보이는 단백질을 분석하였다. 총 652 개의 spot들 중에 8개의 단백질 spot들이 발현 정도에 변화를 보였으며, 이들 단백질을 MALDI-TOF/TOF MS와 MASCOT database를 통해 동정한 결과, RNA metabolism (spot 1, spot 4) HSP (spot 2), 저장 단백질 (spot 3, spot 5, spot 6), 산화-환원 (spot 8) 관련 단백질 등이 동정되었다. 특히 동정된 단백질은 주로 흰찰수수 (WCS)에서 발현 정도가 높게 나오는 경향을 보였으며, 흰찰수수 (WCS)에서 유일하게 발현 되는 단백질로 Cupin family protein, Gloubulin 등이 동정되었다. DEAD-box helicase는 흰찰수수 (WCS)를 제외한 나머지 세 품종에서 발현되었다. Ribonuclease T2와 Aldo-Keto reductase는 대풍수수 (DPS)를 제외한 나머지 세 품종에서 발현되었다. HSPs는 토종수수 (TJS)에서만 발현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들 동정된 단백질들은 수수의 품종 별 특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예측된다.

Resveratrol에 의한 cysteine-rich angiongenic inducer 61 (CYR61) 유전자의 과대발현 조절 (Resveratrol Up-regulates Cysteine-rich Angiogenic Inducer 61 (CYR61)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 곽은희;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07-212
    • /
    • 2013
  • 파이토케미칼 resveratrol은 항산화, 항염증, 항암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resveratrol이 CCN family 중의 하나인 cysteine-rich angiogenic inducer 61 (CYR61)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할 수 있는지 연구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resveratrol은 3개의 다른 인간 대장암 세포주에서 CYR61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하였을 뿐만 아니라, HCT116세포주에서는 처리한 resveratrol 농도와 시간 의존적으로 CYR61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CYR61 단백질의 발현이 resveratrol의 어떤 생리활성과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몇 종류의 NSAIDs와 항산화제를 처리하여 CYR61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으나, 오직 resveratrol의 처리에 의해서만 CYR61 단백질의 발현이 유도되었다. 또한, CYR61의 발현은 암 억제유전자인 p53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Promoter assay를 통하여 프로모터 -732 ~ +54 사이에 조절부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파이토케미칼 Indole-3-carbinol이나 6-gingerol에 의해서도 CYR61의 발현이 유도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resveratrol에 의한 CYR61 유전자의 발현은 resveratrol특이적이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resveratrol만의 특이한 생리활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제초제저항성 GM 잔디에서 발현된 PAT 단백질의 알레르겐 유발 가능성 및 독성 평가 (Allergenicity and toxicity evaluation of the PAT protein expressed in herbicide-tolerant genetically modified Zoysia japonica)

  • 정혜린;선현진;강지남;강홍규;이효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316-323
    • /
    • 2020
  • 본 연구는 제초제저항성 GM 들잔디에서 발현된 PAT 단백질의 잠재적인 알레르기성 및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PAT 단백질의 in silico 분석에서 PAT 단백질은 알려진 알레르겐 또는 독성 단백질과 유사성을 보이지 않았다. PAT 단백질은 8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절편에 걸쳐 기지의 알레르겐과 35% 미만의 아미노산 서열 상동성을 보였고, 기지의 알레르겐과 연속한 8개의 아미노산에서 일치하는 서열도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제초제저항성 GM 들잔디에서 발현된 PAT 단백질은 펩신 존재 하의 인공위액에서 매우 빠르게 분해되었고, GM 들잔디에서 발현된 PAT 단백질은 번역 후 수식(glycosylation)도 일어나지 않았음이 확인되었다. 경구투여 독성 시험에서는 체중 1 kg 당 4,000 mg 을 투여한 실험구에서도 PAT 단백질 투여 후 마우스에서 사망이나 독성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들 결과는 제초제저항성 GM 들잔디에서 발현된 PAT 단백질이 잠재적 알레르겐이나 독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없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