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면회전방법

Search Result 78,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Study on Determination Principal Direction for Composite Rotor Blades (복합재료회전익의 주축계 결정화에 관한 연구)

  • 유용석;이종범;정경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a
    • /
    • pp.354-359
    • /
    • 1995
  • 회전익의 소재로 복합재료를 선택하게 됨에 따라 헬리콥터의 유지, 보수 및 성능에서 유리하게 되었지만 허브 형태의 간소화로 인하여 해석상의 어려움은 확대 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회전익의 단면특성은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회전익의 단면특성을 결정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각 방향운동의 연성항을 소거하는 것이 계산상 유리하고 따라서 관성주축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회전익의 익형이 대칭형이 아니고 복합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효율의 극대화를 위하여 축방향을 따라 비틀림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관성주축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회전익을 그 연구 대상으로 회전익 단면의 등가강성행렬을 추출하고 외팔보의 공학이론과 회전행렬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관성주축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해석방법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엄밀해를 알고 있는 간단해 단면을 갖는 외팔보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관성주축방향을 결정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이라는 부담을 최소화 하였을 뿐 아니라, 해석방법 자체가 가지는 간편성으로 인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을 줄일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Heat Transfer for a Rotating Heat Pipe with a Trigonal Cross Section (삼각 단면을 갖는 회전 열파이프의 열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

  • 이진성;김철주;김윤제;최영준;홍성은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7.10a
    • /
    • pp.114-121
    • /
    • 1997
  • 회전 열파이프의 열전달 성능은 액막 두께 및 증발부로 귀환되는 응축 액막 유동율에 의해 결정된다. 그 동안 응축액 유동율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용기 내벽에 groove, 테이퍼 및 나선형 코일을 삽입하여 유동율을 높이는 방법들이 연구되었다. 본 연구도 회전 열파이프의 내부 관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삼각 단면을 갖는 회전 열파이프의 열전달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삼각 단면을 갖는 회전 열파이프는 고속 회전 영역에서 모서리 부분으로 액막이 집중되어 관 내벽에 형성되는 액막 두께를 줄일 수 있으나 증발부에서 국부적인 과열이 발생되어 불안정한 작동 상태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선방안으로 증발부에 부분적으로 원형관을 접합하였으며, 그 결과 dry-out의 억제와 함께 삼각 유동 단면에 의한 액막 두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었다. 회전체 발열부 냉각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앞으로 최적의 기하학적 형상에 따른 충전율 및 액막에서의 열전달에 대한 정량적인 해석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Study on the change of shape of the flume cross section for the control of bottom shear stress distribution of an annular flume (환형수조의 바닥전단응력 균일화를 위한 수조단면의 형상변화에 대한 연구)

  • Yang, Su-Hyun;Im, Ik-Tae;Hwang, Kyu-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77-177
    • /
    • 2011
  • 환형수조는 점착성 퇴적물의 침/퇴적실험을 위한 실험장치로서, 수조내부의 수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상부링(top ring)의 마찰력에 의해 흐름이 생성되며, 시간의 제약없이 흐름조건을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환형수조는 원주유속의 속도차이 및 원심력으로 인한 2차 순환류가 형성되어 바닥전단응력이 불균일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환형수조를 이용한 침/퇴적실험 수행시 수조의 외벽부근에서 더 큰 침식이 발생한다. 따라서, 2차 순환류의 발생을 줄이고 바닥전단응력의 분포를 균등하게 하기 위해 양방향 회전(환형수조의 몸체를 상부링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환형수조가 고안되었는데, 이러한 방법으로 2차 순환류의 크기를 저감시키고, 바닥전단응력을 균일하게 만들 수 있다. 한편, 환형수조의 양방향 회전(counter-rotation)은 현장용 환형수조에는 적용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현장실험에서는 바닥면이 없는 현장용 환형수조를 해저면에 거치시켜 자연상태의 비교란 퇴적물 시료를 저면으로 형성시키는데, 바닥면이 존재하지 않는 환형수조 본체는 회전시킬 수 없으므로 양방향 회전을 통한 2차 순환류의 저감 및 바닥전단응력 균일화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환형수조의 양방향 회전은 단지 실내실험용 환형수조에만 적용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형수조 본체를 회전시키지 않고 수조의 측벽과 상부링의 각도 조절을 통해 수조단면의 형상을 변화시켜 2차 순환류를 저감시키고 바닥전단응력을 균등하게 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방법은 본체의 회전이 필요 없으므로 현장용 환형수조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험장치의 구조가 단순해져 실험장치의 제작비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원주속도에 수직한 단면에서 속도구배가 감소되어 2차 순환류가 저감됨과 동시에 바닥전단응력이 균등하게 됨으로서 양방향 회전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Inverse Reconstruction of Sectional Area in Nonuniform Ducts by Using the Acoustical Measurement (음파를 이용한 덕트 내 불균일 단면적의 역문제적 재구성)

  • 김회전;이정권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0 no.6
    • /
    • pp.9-16
    • /
    • 2001
  • This paper deals with the inverse reconstruction of sectional area in nonuniform ducts by using the acoustical measurement. There have been many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on the duct area reconstruction. In this research, the method using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area reconstruction algorithm was employed because of its mathematical and experimental simplicity. Based on the study results on the drawback of conventional impulse excitation method, a new measurement method is proposed, that uses the random noise source and the discrete inverse Fourier transform. It is found that the reconstruction errors of the present method is small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A random error analysis i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reconstruction error and to clarify the applicable data range for area reconstruction.

  • PDF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SNF(Spent Nuclear Fuel) Disposal Canister with the SNF Basket Section Shape Change for the Pressurized Water Reactor(PWR) (고준위폐기물다발의 단면형상 변화에 따른 가압경수로(PWR)용 고준위폐기물 처분용기의 구조해석)

  • Kwon, Young-Joo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5 no.1
    • /
    • pp.37-49
    • /
    • 2012
  • A structural model of the SNF(spent nuclear fuel) disposal canister for the PWR(pressurized water reactor) for about 10,000 years long term deposition at a 500m deep granitic bedrock repository has been developed through various structural safety evaluations. The SNF disposal baskets of this canister model have the array type whose four square cross section baskets stand parallel to each other an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anister section. However, whether this developed structural model of the SNF disposal canister is optimal is not determinable yet. Especially, there is still a problem in weight-reduction of the canister. The cross section shape of the SNF basket should be changed to solve this problem. There are two ways in changing the cross section shape of the SNF basket; the one is to rotate the cross section itself and the other is to change the cross section shape as other shape different from the square cross section. The previous study shows that the canister with $30{\sim}35^{\circ}$ rotated basket array is structurally more stable than the canister with un-rotated parallel basket array. However, whether this canister with rotated basket array is optimal is not either determinable as yet, because it is not revealed that the canister with other cross section different from the square cross section is structurally more stable than other canisters. Therefore,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SNF disposal canister with other cross section shape which is also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canister center planes is very necessary.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canister with various cross section shape basket array in which each basket is array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planes is carried out in this paper.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SNF disposal canister with circular cross section shape baskets locat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anister section is structurally more stable than the previously developed SNF disposal canister with the parallel basket array.

Chaotic Phenomenon in Rolling Mill Bearing (압연기 베어링에서의 카오스 현상에 관한 연구)

  • 배영철;김주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1.05a
    • /
    • pp.157-160
    • /
    • 2001
  • 회전체 베이링 상태진단에 신뢰성을 갖기 위하여 여러 가지 진단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때 이용하는 변수는 온도와 소음, 진동 그리고 윤활유가 있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온도추이분석, 소음분석, 진동분석, 윤활제 분석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압연기 베어링의 상태진단의 변수로 베어링의 진동 신호를 선택하고 이 진동신호에서 비선형성이 강한 신호 즉 카오스적 거동이 있음을 타켄스의 매립법과 포엔카레 단면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 PDF

Chaotic Phenomenon of Vibration signal in Rolling Mill Soaring (회전 기기에서의 카오스 현상에 관한 연구)

  • 배영철;김주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1.05a
    • /
    • pp.374-377
    • /
    • 2001
  • A diagnosis system that provides early warnings regarding machine malfunction is very important for rolling mill so as to avoid great losses resulting from unexpected shutdown of the production line. But it is very difficult to provide early warnings in rolling mill. Because dynamics of rolling mill is non-linear. This paper shows a chaotic behaviour of vibration signal in rolling mill using embedding method. Not only phase plane and Poincare map are implemented but also FFT and histogram of vibration signal in rolling mill is presented by embedding method.

  • PDF

Acoustical Measurement of Sectional Area in Nonuniform Ducts (음파를 이용한 덕트 내 불균일 단면적 측정에 관한 연구)

  • Kim Hoi-Jeon;Ih Jeong-Gu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71-274
    • /
    • 2000
  • 음파를 이용하여 덕트 내 길이 방향으로의 불규일 단면적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러한 역문제적 단면적 재구성은 덕트내의 비파괴 검사 및 인간 기도의 형상 조사 등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음파를 이용하여 덕트내의 단면적을 재구성하는 과정은, 충격응답을 구하는 과정과 충격응답을 면적 재구성 알고리즘에 대입하여 덕트 내 단면적을 구하는 과정으로 나누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랜덤소스와 역푸리에 변환을 사용하여 덕트 내 충격응답을 구하였다. 예제를 통해 제안된 방법에 의해 덕트 내면적 재구성이 매우 정도 높게 실현 가능함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the Strength Rating of Continuous Composite Plate Girder Bridges by ALFD (ALFD방법에 의한 연속합성판형교의 강도평가에 대한 연구)

  • Han, Sang Cheol;Chung, Kyung 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1 no.2 s.39
    • /
    • pp.213-222
    • /
    • 1999
  • Elastic-plastic methods have been used for the better prediction of the actual behavior of continuous-composite plate girder bridges in the overload and maximum load analysis. The structural evaluation using ALFD(Alternate Load Factor Design) uses the elastic-plastic analysis. The plastic rotations that remain after the load is removed can be occurred by the yielding locations of the maximum moment section. This situation can occur due to the residual stresses even if the moment is below the theoretical yield moment. The local yielding causes positive automoments that assure elastic behavior under subsequent overloads. In this study, the automoments at the piers occurred due to the unit plastic rotations and other locations were calculated by the conjugate-beam method and three-moment equation, using the nine design span with progressively smaller pier sections. The automoments were determined by the developed computer programs in this study in which the moments and plastic rotations from the continuity and moment-inelastic rotation relationships must be equal. And also the ratings of 3-span continuous composite plate girder bridges with non-compact section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Korean Highway Bridge Specification.

  • PDF

Stability Analysis of Unsymmetric Tapered Thin-walled Beams (비대칭 선형 변단면을 갖는 박벽 공간 보의 안정성 해석)

  • 김성보;구봉근;한상훈;정경섭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1 no.4
    • /
    • pp.197-207
    • /
    • 1998
  • 전단변형 효과를 무시하는 경우에 비대칭 선형 변단면을 갖는 박벽 공간 보의 안정성 해석을 위한 일반이론을 유도한다. 비대칭 선형 변단면의 임의점을 통과하는 부재축과 단면의 주축의 방향과 무관하고 부재축과 직각을 이루는 두 개의 좌표축을 도입하여 직각좌표계를 정의한다. 정의된 좌표축을 기준으로 유한한 회전각의 2차항을 고려하는 변위장을 도입하여 연속체에 대한 가상일의 원리로부터 탄성변형에너지, 그리고 초기응력에 의한 포텐셜에너지를 유도한다. 이를 이용하여 비대칭 선형 변단면을 갖는 박벽 공간 보의 안정성해석을 위한 평형방정식을 제시한다. 3차 Hermitian 다항식을 변위파라미터의 형상함수로 사용하여 박벽 공간 보의 탄성강도 및 기하강도행렬을 상정할 뿐만 아니라, 단면의 좌표축에 상관없이 임의의 위치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하중보정강도행렬(load-correction stiffness matrix)을 제시한다. 본 이론 및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문헌의 결과 및 쉘요소를 사용한 해석결과와 비교하여 본 이론의 정당성을 입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