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기적 운영

Search Result 27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경기변동(景氣變動)과 GDP갭

  • Kim, Jun-Il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8 no.1
    • /
    • pp.217-270
    • /
    • 1996
  • 실제(實際)GDP와 잠재(潛在)GDP의 차이로 정의되는 GDP갭의 변화는 경기변동(景氣變動)을 반영하는 동시에 실물경제의 흐름과 물가압력을 연계하는 거시경제변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의미의 GDP갭은 경기변동의 근원적(根源的) 요인(要因)(sources of business cycle) 에 대한 설명력이 결여되어 있음을 감안하여 본고(本稿)에서는 주로 경제의 총수요(總需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GDP갭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GDP갭의 변화패턴이 경기변동의 정점(頂點)및 저점(底點)과 거의 일치(一致)하는 동시에 과거 경제운영 과정에서의 주요 정책변화(政策變化)와 일관성(一貫性)을 보이고 있어 현실경제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評價)된다. 또한 추정된 GDP갭은 수요봉인(需要奉引)에 의한 물가상승(物價上昇)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총통화(總通貨) 및 금리(金利)의 변화(變化)와도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경기변동(景氣變動)의 요인(要因)을 수요(需要)측면과 공급(供給)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수요변화는 단기적인 성장효과에도 불구하고 장기적(長期的)으로는 물가(物價)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공급측면의 변화는 장단기(長短期) 모두에 있어서 성장(成長)과 물가(物價)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물가안정을 위한 총수요긴축(總需要緊縮)에 수반되는 단기적인 성장둔화(成長鈍化) 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우리 경제의 높은 해외의존도(海外依存度)로 인하여 해외(海外)로부터의 공급충격에 따른 실물부문(實物部門)의 경기변동이 적지 않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의 시사점은 (1) 물가안정에 수반되는 경제적(經濟的) 비용(費用)이 크므로 처음부터 물가압력(物價壓力)이 확대되지 않도록 경제(經濟)를 안정적(安定的)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 자본자유화(資本自由化) 등의 진전으로 실물부문뿐만 아니라 금융부문(金融部門)도 해외(海外)로부터의 공급충격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임금(賃金) 등의 요소비용(要素費用) 안정과 함께 구조조정(構造調整) 및 경쟁(競爭) 촉진(促進) 등을 통하여 경제의 체질(體質)을 개선(改善)하는 노력이 요구된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 PD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Evaluation Guidelines for ITS Projects (국내 지능형교통체계(ITS) 사업평가체계 도입방향(한국.미국.유럽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Lee, Yong-Taek;Nam, Du-Hui;Park, Dong-J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3 s.74
    • /
    • pp.215-226
    • /
    • 2004
  • 본 연구는 한국 미국 유럽의 ITS 사업평가방법론을 비교분석(Comparative Analysis)하여 과학적인 국내 ITS사업평가지침 도입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ITS사업평가의 문제점 및 국외 선진평가방법론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국내 ITS평가지침을 제도화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언하였다. 국내 외 사례(미국 유럽 한국) 비교분석결과, 국내에서도 중 장기적인 ITS 투자재원의 효율적 배분과 단기적인 시스템운영의 효율화를 위해서 과학적인 ITS평가지침(ITS Evaluation Guideline)의 도입이 제도화되어야 한다. 또한 세부추진방안으로 ITS사업을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ITS사업평가체계의 도입, ITS 서비스의 효과척도(MOE)를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평가기법(운영성능평가, 경제성평가, 사전 사후비교분석, 시뮬레이션분석)정립, ITS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평가기법 도입(위험도분석, 행태분석, 시뮬레이션분석) 및 기타 정책적 활용을 위한 지원(평가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 한국형 ITS평가용 시뮬레이터개발, ITS사업효과 계량화 등)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 Business Model for Electronic Journal Licensing Consortia in an Emerging Scholarly Communication Environment : The KESLI Case (새로운 학술커뮤니케이션 환경과 미래형 전자저널 컨소시엄 운영모형 : KESLI를 중심으로)

  • Lee, So-Yeon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9 no.1
    • /
    • pp.1-25
    • /
    • 2008
  • As scholarly information environment rapidly changes, library consortia for electronic journal licensing come to require strategies to better address service needs of member institutions as well as to take parts in more progressive initiativ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ore future-oriented and progressive business model for electronic journal licensing consortia. The model is based on three pillars: strategies for responding to immediate needs; long-term strategies for leading change; and organizational infrastructure.

펨토셀 통신 시장 진입과 스펙트럼 공유 기술(Spectrum Sharing Scheme) 결정

  • Jeon, Eon-Ji;Park, Jae-O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12
    • /
    • pp.90-96
    • /
    • 2013
  • 본고에서는 신규 통신사업자가 펨토셀 시장에 진입할 것인지 여부와 진입한다면 어떤 펨토셀 공유 기술(Spectrum Sharing Scheme)을 선택할 것인지를 장기적인 문제로 분석한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신규 사업자의 가격 결정 전략과 사용자의 펨토셀 통신 서비스 가입 결정을 각각 중기, 단기적인 문제로 분석한다. 신규 사업자가 펨토셀 시장에 진입하여 독점사업자로 운영하는 경우와 기존의 통신사업자와 복점으로 경쟁하는 경우를 고려하고, 각 시나리오에서 이윤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신규 통신사업자의 최적 의사결정에 대해 논한다.

Development of Rainfall-Runoff Model on Han River(I) - Data setting - (한강수계 유역유출 분석 모형 구축(I) - 자료구성을 중심으로-)

  • Maeng, seung-jin;Chanda, trivedi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784-787
    • /
    • 2008
  • Growing need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urge the joint operation of dams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whole basin. As one of the tools for supporting above tasks, this study aims to constitute a hydrologic model that can simulate the streamflow discharges at some control points located both upper and down stream of dams. One of the currently available models is being studied to be applied with a least effort in order to support the ongoing project of KWATER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Establishment of integrated operation scheme for the dams in Han River Basin".

  • PDF

Study on the data structure design for the integration of water management database (물관리 데이터베이스 통합을 위한 데이터 구조 설계에 관한 연구)

  • Jung, Ji Won;Jung, Seung Kwon;Kang, Hyun Joong;Gwon, Yong 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37-637
    • /
    • 2015
  • 2009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스마트워터그리드의 개념이 도입된 이후로 국내외 국가 기관뿐만 아니라 민간 기업에서도 스마트워터그리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스마트워터그리드는 IBM의 진출을 시작으로 Veolia, Suez 등 다국적 물관리 기업들이 사업을 추진 중이다. 국내의 ICT기술과 수자원시스템의 융합을 통하여 용수 수요 공급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관리하여 수자원의 지역적 시간적 격차를 해소하는 스마트워터그리드 연구가 국내에서도 진행 중이다. 물관리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글로벌 물기업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개별플랫폼을 구축 활용하여 신규기업의 물산업 진출을 가로막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외 물산업 시장 진출을 위하여 통합플랫폼 개발 및 체계적인 데이터 구조 설계가 필요하며, 본 연구는 스마트워터그리드를 운영하기 위해 여러 곳에 분산되어 관리 운영되어지고 있는 수자원 및 물관리 데이터의 통합을 위한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조설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터그리드 도메인 내에 주력하고 있는 통합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외부 데이터 마이닝과 연계하여 확장하는 구조로 현실적이고 단기적인 데이터 통합효과를 위해 ETL/데이터웨어하우스방식을 적용하여 데이터 통합을 추진하였다. 지자체간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간의 연동은 관련 법제도 및 지자체간 협의 등 다양한 문제가 연루되어 있어 단기적으로는 B2B 데이터 연동방식을 응용하여 구성하였다. 광역 중앙 제어를 위한 통합데이터베이스는 가상DB 방식을 고려하였으며, 이는 지자체별로 구성된 통합DB에 대한 인터페이스 및 Wrapper 플랫폼을 적용하였다. 이 플랫폼간의 연동은 WaterML2.0을 적용함으로써 단기간내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호운용성에 문제를 해결하며, 실시간 데이터 연계를 추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궁극적으로는 수자원 및 물관리 데이터의 통합을 위해 해당플랫폼에서 스키마 맵핑, 프로토콜 변환 정합 등을 실시하며, 실시간 데이터 마이닝 및 통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향후 스마트워터그리드의 빅데이터 플랫폼 개발까지 확장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Forecasting Container Throughput with Long Short Term Memory (LSTM을 활용한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

  • Lim, Sa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617-618
    • /
    • 2020
  • 우리나라의 지리적인 여건상 대륙과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해상운송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해상운송에 있어 항만시설의 확보가 필요하며 대외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항만시설은 장기적인 항만수요예측을 통해 대규모 인프라투자를 결정하며 단기적인 예측은 항만운영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항만의 경쟁력을 제고하는데 기여하므로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모델 중에 하나인 LSTM(Long Short Term Memory)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주요항만의 컨테이너 물동량 단기예측을 수행하여 선행연구들에서 주류를 이뤘던 ARIMA류의 시계열모델과 비교하여 예측성능을 평가할 것이다. 본 논문은 학문적으로 항만수요예측에 관한 새로운 예측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으며 실무적으로 항만수요예측에 대한 정확성을 개선하여 항만투자의사결정에 과학적인 근거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Reflective Practice Experience of a Home Economics Teacher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perator (가정과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자의 성찰적 실천 경험에 관한 실행연구)

  • Lee, Gyeong Suk;Yoo, Taemyung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9 no.2
    • /
    • pp.1-2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are the experience of reflective practice of a Home Economics teacher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PLC) operator and to share better suggestions through reflection on PLC operation. All conversation in the 18 sessions of the PLC totally from May 31st 2013 to May 19th 2014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All materials of PLC activity were qualitatively analysed. Its themes were grounded on its coding and categorization scheme.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The experience of learning the PLC for a year has found that it is the power to keep the PLC alive: courage and anxiety to face anxiety and anxiety about new challenges, the importance of theme selection, a teacher with a reckless challenge, shares of becoming a leader. Through reflection, I learned that concerns require attention to other teachers and the need for a 'New Round' for ongoing meetings. I, as a operator, did not fully consider participant's different interest as well as a program for a new round due to the lack of management experience. It led to the low participations in latter sessions of PLC. Suggestions are put as solutions to improve these problems; (1) grouping participants by school levels when collecting participants, (2) setting operation period and program applying participants' opinions, and (3) operating short-term PLC with certain themes to immerse reaching goal and satisfaction in short time.

Development of an incident impact analysis system using short-term traffic forecasts (단기예측기법을 이용한 연속류 유고영향 분석시스템)

  • Yu, Jeong-Whon;Kim, Ji-H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2 no.4
    • /
    • pp.1-9
    • /
    • 2010
  • Predictive information on the freeway incident impacts can be a critical criterion in selecting travel options for users and in operating transportation system for operators. Provided properly, users can select time-effective route and operators can effectively run the system efficiently. In this study, a model is proposed to predict freeway incident impacts. The predictive model for incident impacts is based on short-term prediction. The proposed models are examined using MARE. Th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the models are accurate enough to be deployed in a real-world. The development of microscopic models to predict incident effects is expected to help minimize traffic delay and mitigate related social costs.

A Comparative Study on Low-Carbon Port Management of Busan and LA/LB - On the Basis of Port Management Cost - (LA/LB항과 부산항의 저탄소 항만운영에 관한 비교연구 - 비용부담을 중심으로 -)

  • Cho, Dong-O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6 no.2
    • /
    • pp.223-228
    • /
    • 2010
  • In the midst of worldwide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e advanced ports including LA/LB(Los Angeles/Long Beach) has started to reduce carbon emission from port area which has not been targets of interests in the worldwide cooperation. Recently, the Port of Busan has started to reduce carbon emission from the port area under the Green Port Strategy in Korea. However, the low-carbon port management increases the cost of port management and negatively impacts the port competitiveness in the short term. Therefore, the Busan Port Authority is carrying out the low-carbon projects directly and has not transfer the cost to the port users, such as shipowers, cargo owners and terminal operators. However, the Port Authority of LA/LB has transferred the cost at low-carbon port management to customers of port. In this study, comparative analysis on cost of low-carbon port management at Busan and LA/LB is carried out for sustainable port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