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n incident impact analysis system using short-term traffic forecasts

단기예측기법을 이용한 연속류 유고영향 분석시스템

  • 유정훈 (아주대학교 환경건설교통공학부) ;
  • 김지훈 (아주대학교 환경건설교통공학부)
  • Received : 2009.01.21
  • Accepted : 2010.05.11
  • Published : 2010.12.15

Abstract

Predictive information on the freeway incident impacts can be a critical criterion in selecting travel options for users and in operating transportation system for operators. Provided properly, users can select time-effective route and operators can effectively run the system efficiently. In this study, a model is proposed to predict freeway incident impacts. The predictive model for incident impacts is based on short-term prediction. The proposed models are examined using MARE. Th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the models are accurate enough to be deployed in a real-world. The development of microscopic models to predict incident effects is expected to help minimize traffic delay and mitigate related social costs.

본 연구는 유고로 인한 대기행렬, 통행시간과 같은 혼잡정보를 예측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것은 교통시설 이용자와 운영자 모두에게 효율적인 대안선택 및 운영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 활용된다. 이러한 예측된 사고영향 정보의 제공으로 인하여, 이용자는 유고 구간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인지하여 지체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운영자는 현재 유고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류 본선구간에서 단기예측기법을 적용한 유고영향 예측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은 MARE를 통하여 상대적인 오차를 비교분석하여, 예측력이 뛰어난 모형을 정립하였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미시적인 사고영향 예측 모형이 개발된다면 사고발생 시 지체를 최소화하고 사회적인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정규(1997), "도시고속도로 교통류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 15권 1호.
  2. 김민석(2002), 돌발상황으로 인한 교통영향 산정방법론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3. 김상신(1999), 고속도로 교통축에서의 교통우회시스템의 개발, 한양대학교 대학원.
  4. 김상옥(1996), KALMAN-FILTERING 모델을 이용한 고속도로상에서의 교통량 추정, 아주대학교 대학원.
  5. 김태형 외(1998), "도시고속도로 교통류 관리를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16권 1호.
  6. 심소정(2002), Kalman Filter를 활용한 대기행렬 예측, 아주대학교 대학원.
  7. 신치현(2001), 돌발상황 처리시간 예측알고리즘 개발, 2000년도 ITS 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
  8. 유병석(1999), 유고를 고려한 고속도로 교통축의 동적통합제어모형 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9. 이승재, 장현호(2003), CA 모형을 이용한 단기구간통행시간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1권 1호.
  10. 장현호(2002), CA모형을 이용한 대규모 가로망 링크통행시간 예측을 위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11. 장현호(2002), CA모형을 이용한 대규모 가로망 링크통행시간 예측을 위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12. Al-Deek H. M., Garib. A.M., and Radwan A. E.(1995)", New methods for estimating freeway incident congestio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494.
  13. Bruce Hellinga and Liping Fu(1999), Assessing the expected accuracy of probe vehicle travel time reports.
  14. Cohen H., Southworth F.(1999), "On the measurement and valuation of travel time variability due to incidents on freeways", Journal of transportation and statistics.
  15. H. M. Zhang(1999), "A Mathematical Theory of Traffic Hysteresi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6. Nam, D.H. and Drew, D.R.(1998), "Analyzing Freeway Traffic under Congestion", A Traffic Dynamic Approach.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Vol. 124, No. 3.
  17. Nam, Doohee and Fred Mannering(2000)", An Exploratory Hazard-Based Analysis Highway Incidents Dur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A Vol. 34, No. 2, pp85-1.
  18. TRB (1994)", Highway capacity manual: special report 209", Washington, D. C.,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ational Research Counc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