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중 전압

Search Result 335,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A Low power Scheduling and Allocation Algorithm for Multiple Supply Voltage (다중 공급 전압을 이용한 저 전력 스케쥴링 및 할당 알고리듬)

  • 최지영;박남서;안도희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7 no.2
    • /
    • pp.79-86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a low power scheduling and allocation algorithm for multiple supply voltage. The proposed supply voltage scheduling algorithm determines the control step to execute a possible the operation experimentally using another supply voltage level. Also, the switching activity using component library. and the supply voltage allocation method uses the graph coloring technique for low power, the proposed algorithm Proves the effect through various high level benchmark examples to adopt a multiple supply voltage scheduling algorithm for low power.

  • PDF

A Design of Wide Input Range Multi-mode Rectifier for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넓은 입력 범위를 갖는 무선 전력 전송용 다중 모드 정류기 설계)

  • Choi, Young-Su;Lee, Kang-Yo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9 no.4
    • /
    • pp.34-42
    • /
    • 2012
  • In this paper, a wide-input range CMOS multi-mode rectifier for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is presented. The output voltage of multi-mode rectifier is sensed by comparator and switches are controlled based on it. The mode of multi-mode rectifier is automatically selected by the switches among full-wave rectifier, 1-stage voltage multiplier and 2-stage voltage multiplier. In full-wave rectifier mode, the rectified output DC voltage ranges from 9 V to 19 V for a input AC voltage from 10 V to 20 V. However, the input-range of the multi-mode rectifier is more improved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full-wave rectifier by 5V, so the rectified output DC voltage ranges from 7.5 V to 19 V for a input AC voltage from 5 V to 20 V.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multi-mode rectifier is 94 % in full-wave rectifier mode. The proposed multi-mode rectifier is fabricated in a $0.35{\mu}m$ CMOS process with an active area of $2500{\mu}m{\times}1750{\mu}m$.

Derivations Of Formulas For Electromagnetic Inductive Potentials In The Communication Line By The Fault Of Multi-Grounding Distribution System (다중접지배전선로 고장에 기인한 인근 통신선로 전자유도전압의 계산공식의 유도)

  • Young Moon Park
    • 전기의세계
    • /
    • v.20 no.6
    • /
    • pp.22-28
    • /
    • 1971
  • 3상 4선식 다중접지배전선로에서 고저압혼촉이나 1선지락이 발생하면 인근 통신선로에 전자유도전압이 유기되는데 이 유도전압의 정확한 예측은 전자유도장해의 방지책을 강구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 유도전압을 계산하는 이론식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Multiple Supply Voltage Scheduling Techniques for Minimal Energy Consumption (에너지 소모 최소화를 위한 다중 전압 스케줄링 기법)

  • Jeong, Woo-Sung;Shin, Hyun-Chu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6 no.9
    • /
    • pp.49-57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ultiple voltage scheduling method which reduces energy consumption considering both timing constraints and resource constraints. In the other multiple voltage scheduling techniques, high voltage is assigned to operations in the longest path and low voltage is assigned to operations that are not on the longest path. However, in those methods, voltages are assigned to specific operations restrictively. We use a simulated annealing technique, in which several voltages are assigned to specific operations flexibly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on the longest path. In this paper, a post processing algorithm is proposed to further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In some cases, designers may want to reduce the level shifters. To make tradeoff between the total energy and the number (or energy) of level shifters weighted term can be added to the cost function. When the level shifter energy is weighted six times, for example, the number of level shifters is reduced by about 24% and their energy consumption is reduced by about 20%.

DC Voltage Balancing Control Scheme for a Cascade Multilevel Inverter (직렬 연결형 다중 레벨 컨버터를 위한 DC전압 평형화 기법)

  • Song O.S.;Lim J.S.;Nam K.H.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3.07a
    • /
    • pp.341-344
    • /
    • 2003
  • 직렬연결형 다중레벨 컨버터(cascade multilevel converter)는 각기 절연된 DC전압원과 H-bridge 인버터가 한 단위를 이루고, 각 단위 인버터의 출력을 직렬 연결한 구조로서, 부하(전동기)에 정현파에 가까운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각 H-bridge인버터의 DC전압원으로는 배터리 또는 커패시터등이 사용되는데, 일반적인 경우 각 H-bridge 컨버터의 입출력 파워가 틀려지게 되며, 따라서 DC전압간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DC전압간 불균형이 발생하면 원하는 전압벡터를 정확하게 발생시킬 수 없게 되고, 고조파 하모닉이 만들어질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DC전압원측에과 전압 또는 저전압 폴트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은 N개의 H-bridge 인버터의 DC전압을 측정하지 않고, 전체 상출력 전압만을 측정하여 각 DC전압을 추정하고, 스위칭 패턴을 변경하여 DC전압을 평형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모의실험을 통해서 알고리즘의 동작여부를 검증하였다.

  • PDF

Feed-Foward Differential Power Processing Converter for Photovoltaic Systems using Multi-Output Flyback Converter Change Balancer (다출력 전압 밸런싱 회로를 적용한 태양광 발전용 피드포워드 차동전력조절기)

  • Jeon, Young-Tae;Kim, Kyoung-TaK;Park, Joung-H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11a
    • /
    • pp.46-47
    • /
    • 2015
  • 본 논문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차동 전력 조절 방식 중 Feed-Foward 방식을 적용한 다중 출력 플라이백 컨버터를 이용하여 DC_Link 다중 출력 전압을 균등화 하는 회로에 대한 내용이다. DC_Link가 여러 단으로 되어 있을 경우, 전압을 일정하게 맞추어 줄 필요가 있는데, 이를 차동 전력 조절기(Differential Power Processing converter)를 통해서 DC_Link 출력 전압을 균등화 할 수 있다. 스트링 컨버터인 부스트 컨버터의 스트링 전류를 제어 하여 부스트 컨버터의 전력과 DPP역할을 하는 다중 출력 플라이백 컨버터로 전달되는 전력을 조정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전압 균등화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고, 각 DPP 컨버터는 PV 전압 제어를 하여 MPPT 동작을 하게 된다. PSIM 시뮬레이션과 150W급 하드웨어 프로토타입을 제작해 실험을 통하여 검증 하였다.

  • PDF

Dynamic Characteristic Analysis of Multi-bridge SSSC (다중브리지로 구성된 SSSC의 동특성 분석)

  • 한병문;박덕희;백승택;김희중;소용철;김현우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5 no.3
    • /
    • pp.229-23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멀티브리지 인버터로 구성된 SSSC를 제안하였다. SSSC의 동적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1기 무한모선 전력계통에 SSSC를 연결한 것을 가정하고 EMTP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축소모형 실험으로 그 특성을 확인하였다. 다중브리지 SSSC는 한 상당 6개의 단상 풀브리지 인버터로 구성되었고, 13-레벨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다. 다중브리지 SSSC는 전압 주입을 위한 연계 변압기가 필요하기 않고, 전력계통에서 요구되는 동작전압에 따라 브리지 수를 가감하여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 PDF

Phase Shift Controlled Clamp Mode Forward Multi-Resonant Converter (위상 변위 제어 클램프 모드 포워드 다중공진형 컨버터)

  • Kim, Hee-Il;Kim, Chang-Sun;Kim, Hee-J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5.07a
    • /
    • pp.191-194
    • /
    • 1995
  • 소프트 스위칭 능동 클램프 회로와 위상 변위 제어회로를 이용하여 위상 변위 제어 클램프 모드 포워드 다중진공형 컨버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컨버터는 일정한 스위칭 주파수에서 동작하므로 설계가 용이하고 주 스위치의 전압 스트레스를 입력 전압의 2-3배로 줄일 수 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회로의 이론적인 동작 파형을 확인하였으며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1MHz, 5V, 50W 위상 변위 제어 클램프 모드 포워드 다중공진형 컨버터를 제작하여 실험한 결과 주스위치의 최대 전압 스트레스는 입력전압의 3배로 저감하였고, 부하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주스위치에 걸리는 전압 스트레스와 전류 스트레스가 감소하며, 최고 84.2%의 효율을 얻었다.

  • PDF

Inverter Output Voltage Regulation based on P+Resonant Control (P+공진 제어기를 활용한 인버터 출력 전압 제어 방식 연구)

  • Lim, Kyungbae;Choi, Jaeho;Jang, Juyoung;Moon, Sangho;Kim, Jaesi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11a
    • /
    • pp.249-251
    • /
    • 2013
  • 본 논문은 LCL 필터를 가진 계통연계형 인버터 기반 마이크로그리드가 독립 운전 모드에서 동작할때의 인버터 출력 전압 제어 방식에 대해 다루고 있다. 분산 전원 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가 독립 운전 모드로 전환될 경우 마이크로그리드는 분산 전원만으로 전체 지역적 부하를 담당해야 하는 의무를 지니게 된다. 따라서 이때 마이크로그리는 전압원으로 가정되며 이를 위해 전압 제어가 수행되어져야 하며 담당하고 있는 부하가 불평형 또는 비선형 부하 일 경우 역상차, 영상차, 특정 차수의 고조파가 발생되기 때문에 기존의 전압 제어 방식을 사용할 경우 출력 전압에 높은 THD 가 발생하게 되며 이는 부하의 성능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PI 제어기 대신 특정 주파수에서 높은 제어 게인을 갖게하는 P+ 다중 공진제어기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특정 고조파 별로 다중으로 제어함으로써 비선형-불평형 부하 연결에 의한 악영향에 대처하고자 하였다. P+ 다중 공진제어에 의한 출력 전압 THD 개선 효과는 PSIM Simulation 을 통해 검증되었으며 기존의 PI, Advanced PI 제어기와 그 성능이 비교 분석되었다.

  • PDF

Cell Balancing using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Boost-Forward Converter (불연속모드 부스트-포워드 컨버터를 이용한 셀 밸런싱)

  • Kim, Kyoung-Tak;Park, Joung-H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255-25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새로이 제안되는 불연속모드 양방향 부스트-포워드 컨버터를 사용하는 셀 밸런싱 방법을 제안한다. 이 컨버터는 다중입력과 다중출력의 양방향 배터리 충방전을 다루고, 다중직렬 배터리의 전압 셀 밸런싱에 초점을 두었다. 여러 입력 배터리의 전압 차가 나지 않을 때는 부스트 컨버터가 작동하고, 레퍼런스가 되는 입력 배터리와 다른 입력 배터리의 전압이 불균형이 생길 때 포워드 컨버터가 작동하여 밸런싱을 맞추는 새로운 불연속모드 부스트-포워드 컨버터 토폴로지를 제안한다. 전압 불균형 에 따른 밸런싱 조건에 대한 식을 증명하였고, 실제로 80W급 하드웨어를 제작하여 제안된 회로를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