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중빔

검색결과 434건 처리시간 0.029초

다채널 광섬유 레이저 및 다중 빔 정렬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Multi-channel Fiber Laser and Beam Alignment Method)

  • 김영찬;류대건;노영철
    • 한국광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245-251
    • /
    • 2022
  • 타일형 결맞음 빔결합 연구를 위하여 시드 공유형 다채널 광섬유 레이저 및 출력단, 다중 빔 정렬 기술을 개발하였다. 광섬유 레이저는 7개의 채널을 갖고, 각각의 채널당 출력 10 W 이상으로 시드, 전치 증폭기, 광 분배기, 주 증폭기로 구성된 master oscillator power amplifier 구조이다. 레이저 빔 시준 및 정렬을 위하여 틸팅 기능이 가능한 출력단을 개발하였다. 출력단은 채움값을 높이기 위하여 원통형 구조로 제작하였으며, 광섬유 엔드캡의 결합이 가능하게 하였고, 출력단 내부에 PZT를 장착하여 틸팅 기능을 구현하였다. 다중 채널 레이저의 각 채널 빔을 표적의 한 점으로 정렬하기 위하여 stochastic parallel gradient decent (SPGD)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SPGD 알고리즘을 이용한 PZT 제어를 통해 다중 빔 정렬을 성공적으로 구현하였다. 다중 빔 정렬 기술을 이용한 결맞음 빔결합 기술 개발이 기대된다.

SeaBeam2000 다중빔 음향측심기를 이용한 해저면 맵핑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Seabed Mapping System using SeaBeam2000 Multibeam Echo Sounder Data)

  • 박요섭;김학일;이용국;석봉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29-145
    • /
    • 1995
  • 다중빔 음향측심기인 SeaBeam2000은 차세대 해저면 맵핑시스템으로써, 단일 탐사폭이 121개의 빔으로 구성되어 탐사선의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좌우 60도씩의 해저면을 탐사할 수 있 다. 이 장비는 현재 한국해양연구소의 온누리호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다른 해저면 탐사장 비에 비하여 짧은 기간 동안 넓은 해역에 대하여 고질의 해저 수심자료와 음압자료를 동시에 공 급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복합적인 다중빔 해저자료를 디지탈 신호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빔 음향측심 자료를 이용한 해저면 맵핑 시스템의 처리과정을 소개하고, 동해 일부해역(북위 37도00분 - 37도30분, 경도 129도40분 - 130 도40분)을 탐사하고 얻어진 다중빔 음향측심 자료를 개발된 시스템으로 처리한 결과를 2차원 및 3차원 영상으로 보여준다.

다중 빔 안테나를 이용한 한반도지형에서의 국소 지역 재밍 신호 제거 연구 (High resolution nulling limitations for a multi-beam antenna : A Case Study for Korean Peninsula)

  • 정치현;서종우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904-910
    • /
    • 2016
  • 일반적으로 위성에 탑재되어 재밍 신호 제거를 위해 널링 기능을 수행하는 안테나로 위상배열 안테나 또는 다중 빔 안테나를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 빔 안테나를 사용하여 한반도 지형에서의 널링 효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7개의 다중 빔으로 지구 전체를 커버하는 경우에 대하여 널링 성능과 그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다음으로 10개 및 19개의 다중 빔을 한반도에 적용하여 최적의 결과를 도출 및 비교하였다.

높은 조향 정확도 및 부엽 제어가 가능한 다중 빔 형성 연구 (Study on Multibeam Forming with Improved Accuracy of Steering Angle and Sidelobe Control)

  • 지상욱;이창현;이정해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449-456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파 무선전력전송에 적용될 수 있는 여러 다중 빔 형성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다중 빔 형성방법은 능동소자패턴(active element pattern: AEP)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시스템에 적용 시 의도한 빔 형성과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능동소자패턴의 평균을 고려하는 방법과, 변형된 푸리에 급수 방법을 통해 모든 능동소자패턴을 고려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또한, 부엽과 null 제어를 위하여 Dolph-Tschebyscheff 방법에 중첩의 원리를 적용하여 다중 빔을 형성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식을 사용하여 다중 빔 형성 시 의도된 빔 형성과의 오차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다중 빔 형성을 하며 부엽 제어를 동시에 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중 셀 환경에서 적은 복잡도를 갖는 준 최적 하향 빔형성 (Simplified Near Optimal Downlink Beamforming Schemes in Multi-Cell Environment)

  • 양장훈;김동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2C호
    • /
    • pp.764-773
    • /
    • 2011
  • 다중 안테나 전송은 단일 셀 환경에서 큰 성능 이득을 제공하는 반면에 다중셀 환경에서는 간섭에 의해서 다중 안테나의 이득이 많이 사라지게 된다. 또한, 다중셀 환경에서 효율적인 빔 형성 방법을 계산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문제중에 하나이다. 먼저 이 논문에서는 다중셀 환경에서 점근적으로 낮은 SNR과 높은 SNR에서 최적의 하향링크 빔행성 방법이 MRT 빔형성과 ZF 빔형성임을 보인다. 둘째, 이 점근적 최적 빔 형성 결과를 이용하여 쌍대 역방향 문제로부터 얻어진 MMSE 빔형성 형태를 갖는 두가지의 준최적 하향 빔형성 방식을 제안한다. 각 빔 형성 방식에 대해서 복잡도에 띠라서 세가지의 다른 부클래스 알고리즘을 고려한다. 모의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준 최적 알고리듬은 복잡도와 성능 사이에 트레이드 오프를 제공함을 보인다.

비정질 고체에 대한 X선의 다중 산란 강도 (The Intensity Scale of Multiple Scattering of X-rays in Non-Crystalline Solids)

  • 박성수;장윤식;류봉기;박희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9-113
    • /
    • 1997
  • 흡수계수가 매우 낮은 비정질 재료의 구조 해석을 하기 위하여 표준 X선 회절 기법을 이용했을 때, 시료의 측정된 X선 회절 강도에는 다중 산란에 의해 발생하는 X선 강도가 상당히 포함된다. 비정질 SiO2와 B2O3에서 사용되는 빔의 종류에 따라 발생하는 다중 산란 빔의 강도를 산출해 주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여러 종류의 X선 빔과 시료 SiO2와 B2O3의 조합을 작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도입하였을 때, 2$\theta$=0~180$^{\circ}$의 범위에서 시료 SiO2의 단일 산란 빔에 대한 다중 산란 빔의 강도 비는 CuK$\alpha$빔; 0.10~0.16%, MoK$\alpha$빔; 0.98~5.87%, AgK$\alpha$빔; 1.88~17.86%로 계산되어졌고, 시료 B2O3에 대한 단일 산란 빔에 대한 다중 산란 빔의 강도 비는 CuK$\alpha$빔; 0.27~0.54%, MoK$\alpha$빔; 2.30~19.69%, AgK$\alpha$빔; 3.96~53.83%로 계산되어졌다. 따라서, X선 회절 기법을 이용하여 비정질 SiO2와 B2O3의 구조 해석에 있어서는, MoK$\alpha$빔 및 AgK$\alpha$빔에서 측정된 X선 회절 강도는 다중 산란 효과에 대해서 반드시 교정하여야 한다.

  • PDF

회전, 각, 그리고 공간 다중화 방법을 결합 사용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크 메모리에서의 면적저장밀도 (Area storage density in holographic disk memories using rotational, angular, and spatial multiplexing methods in combination)

  • 장주석
    • 한국광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71-376
    • /
    • 2000
  • 디스크 형태의 저장 매체에 다중 홀로그램을 기혹함에 있어서, 우리는 저장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회전, 각, 그리고 공간 다중화를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간단하고 비용면에서 효율적인 방법을 연구한 바 있다. 회전다중과 각다중은 두 개의 쐐기 프리즘을 이용하여 기준빔을 직접 제어함으로써 얻고, 공간다중은 기록매질을 이동시킴으로써 얻었다. 본 논문에서는 저장밀도가 신호빔과 기준빔 경로상에 있는 렌즈들을 F/#(f number)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그 저장밀도가 신호빔 경로상에 있는 렌즈의 F/#가 기준빔 경로에 있는 렌즈의 F/#의 약 두 배가 될 때 최대로 얻어짐을 보였다.

  • PDF

상향링크 다중사용자 하이브리드 빔포밍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과 아날로그 빔 선택 방법 (Channel Estimation and Analog Beam Selection for Uplink Multiuser Hybrid Beamforming System)

  • 김명진;고영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3호
    • /
    • pp.459-46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AP가 다수의 사용자를 지원하는 상향링크 다중사용자 하이브리드 빔포밍 시스템을 고려한다. 상향링크 다중사용자 하이브리드 빔포밍 시스템의 성능은 채널에 아날로그 빔이 결합된 형태의 유효 채널에 의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시스템의 성능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채널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채널 정보를 이용해서 아날로그 빔을 적절히 선택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상향링크 다중사용자 하이브리드 빔포밍 시스템에 적합한 채널 추정 방법과 저복잡도 아날로그 빔 선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수학적으로 계산 복잡도 분석을 통해서 제안하는 저복잡도 아날로그 빔 선택 알고리즘이 최적의 아날로그 빔 선택 알고리즘에 비해서 복잡도가 훨씬 작은 것을 보여준다. 모의 실험 결과를 통하여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안된 저복잡도 아날로그 빔 선택 알고리즘이 최적의 아날로그 빔 선택 알고리즘에 비해 줄어든 계산 복잡도에 비하여 성능 면에서 열화가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한다.

압전소자률 이용한 다중빔 광디스크용 빔 회전 구동기 (Piezoelectric Beam Rotating Actuator for Multiple Beam Disk Drives)

  • 김병준;김수현;곽윤근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154-159
    • /
    • 2000
  • A multi-beam optical disk drive is presented as a method for improving the effective data transfer rate by increasing the beam spot number formed on an optical disk. The beam rotating actuator is necessary for putting multi-beam on more than one track. The beam rotating actuator is made up of piezoelectric material, high stiffness wire hinge and dove prism. The actuator has good frequency response above 1KHz and suitable operational range. The dynamic equation for the actuator is derived.

  • PDF

다중빔 위성 통신 시스템에서 빔간 직교 코드 공유 기법과 동적 무선 자원 할당 (Orthogonal Code Sharing and Radio Resource Allocation in Multibeam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s)

  • 임광재;김수영;오덕길;김재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3A호
    • /
    • pp.140-15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다중빔 정지궤도 위성을 이용한 이동 위성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 용량 증대를 위해 빔간 직교 코드를 공유하는 방법과, 제안된 시스템을 위한 무선 자원 및 전력 할당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하향 링크 용량에 대한 간단한 이론적 분석과 다중빔 위성 시스템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시된 시스템의 용량 증대 효과를 보인다. 기존의 확산 코드 사용 방법을 적용한 다중빔 위성 시스템에 대해 제안된 시스템은 약 2 배 이상의 용량 증대 효과를 보이며,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에 의해 기인하는 직교 코드 사이의 상호 간섭이 적을수록 그 효과는 증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