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이아몬드입자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2초

구상흑연 주철과 고압처리된 Ni-C 합금에서 구상화 흑연의 성장 기구 (Growth Mechanisms of Graphite Spherulites in the Nodular Cast Iron and the High-pressure-treated Ni-C alloy)

  • 박종구;안재평;김긍호;김수철
    • 분석과학
    • /
    • 제13권2호
    • /
    • pp.200-207
    • /
    • 2000
  • 구상흑연 주철과 고압처리된 Ni-C 합금에서 SEM, HRTEM, EELS 등을 이용하여 구상흑연 입자의 성장 기구를 연구하였다. 두 시료로부터 추출된 각각의 구상흑연입자의 내부 미세조직 및 격자상이 서로 비교되었으며 EELS를 이용하여 각 구상흑연 입자 내부에서 흑연결합을 하는 $sp^2$와 다이아몬드 결합을 하는 $sp^3$의 비가 측정되었다. 구상흑연 주철에서의 구상흑연 입자는 뚜렷한 결정립계면 및 조대한 결함을 갖고 있었다. 반면에 고압처리된 Ni-C 합금 내부에 생성된 구상흑연 입자는 구상흑연 주철의 것에 비해 미세조직 내부의 결함이 현저히 적었으며 안정한 다이아몬드 결합을 하는 $sp^3$ 결합을 다량 함유하고 있었다. 본 실험에서의 구상흑연 입자 내부의 미세조직 및 결합 특성상의 차이는 고압처리된 Ni-C 합금에서의 구상흑연 입자가 구상흑연 주철에서의 구상흑연 입자와는 다른 기구에 의하여 성장하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 PDF

다이아몬드 입자 전착드릴에 의한 탄소섬유 에폭시 복합재료의 드릴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rilling Characteristics of Carbon Fiber Epoxy Composite Materials by Diamond Grit Electroplated Drills)

  • 김형철;김기수;함승덕;김홍배;남궁석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2권8호
    • /
    • pp.27-38
    • /
    • 1995
  • For solving troubles happened during the drilling process with carbon fiber epoxy composite materials(CFRP) by using HSS drill, a few types of diamond gift electroplated drills are manufactured, and machinability of these drills is experimented with a variety of cutting speed and feed rate. These drills have some advantages of good wear resistant and the conception of grinding process. As a result, using of these drills improves both troubles being caused by tool wear and damage of exit surface depending on fiber stacking angle. It is desirable that cutting conditions for the cutting thickness per revolution must be set under 0.01mm when the size of a diamond grit is # 60 .approx. 80.

  • PDF

다이아몬드 기구로 삭제한 와동에서 2단계 접착제의 미세누출 비교 (MICROLEAKAGE OF 2-STEP ADHESIVE SYSTEMS IN DIAMOND-PREPARED CAVITY)

  • 이명구;조권환;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5호
    • /
    • pp.437-444
    • /
    • 2007
  • 이 연구는 거친 입자와 미세한 입자의 다이아몬드 포인트로 형성한 5급 와동에서 서로 다른 2단계 접착시스템 사용시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에서의 미세누출 차이를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40개의 발거한 대구치의 협면 치경부에 각각 $106-205\;{\mu}m$의 거친 다이아몬드 포인트 (EX-41)와 $53-63\;{\mu}m$의 미세한 다이아몬드 포인트 (TF-21F)를 이용하여 20개씩 5급 와동을 형성한 후 사용된 접착시스템과 복합레진에 따라 다음과 같이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1군은 EX-41 포인트로 형성한 와동에 Single Bond와 Z 250을 사용한 군, 2군은 TF-21F 포인트로 형성한 와동에 Single Bond와 Z 250을 사용한 군, 3군은 EX-41 포인트로 형성한 와동에 Clearfil SE Bond와 Clearfil AP-X를 사용한 군, 4군은 TF-21F 포인트로 형성한 와동에 Clearfil SE Bond와 Clearfil AP-X를 사용한 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은 $5^{\circ}C$$55^{\circ}C$의 증류수에서 500회 열 순환한 후 2% methylene blue용액에 1일 동안 침적하였다. 각 군의 치아를 협설로 절단하여 광학 입체현미경 하에서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에서의 색소침투 정도를 관찰하여 미세누출 점수를 평가하고, 각 군 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를 종합하면, 5급 와동에서 Single Bond는 이 연구에 사용한 다이아몬드 포인트의 종류에 따른 변연 미세누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learfil SE Bond는 거친 다이아몬드 포인트 보다는 미세한 다이아몬드 포인트를 사용하는 것이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 모두에서 낮은 미세누출을 보였다.

다이아몬드 휠 특성에 따른 연삭성능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inding Performance Comparison of Diamond Wheel Characteristics)

  • 차승환;하병철;양동호;박상현;이종찬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05-110
    • /
    • 2020
  • Alumina, a typical ceramic material used for semiconductors and display parts, is the subjec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efforts for mineral material processing. Alumina is extremely difficult to process since it is brittleness to either fine ceramics material. We have studied the shape of diamond particles and their use in machinability for alumina processing. Our study was carried out under various processing conditions, including cutting speed, table speed, and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work piece. We also analyzed the wear characteristics of the tool by total cutting.

나노다이아몬드의 화학적 처리에 따른 분산 특성 (Dispersion of nanodiamond by Chemical treatment)

  • 박종순;김홍;강순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999-1004
    • /
    • 2011
  • 폭발법으로 얻어진 나노다이아몬드가 용매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고, 일정 시간 침강이 이루어지지 않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표면에 카르복시기, 하이드록시기, 아민기 등의 기능기를 형성시킴으로써 나노다이아몬드의 활용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화학반응을 통하여 표면에 형성된 기능기, 입자의 크기 모양 등의 확인은 적외선흡수 스펙트럼과, X레이회절, 전자현미경, 원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용매의 종류에 따른 분산 특성을 조사하였다.

금속 황화물 윤활제의 표면 부식처리가 다이아몬드 블레이드의 기계적 특성 및 절삭 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ching Treatment of Tungsten Sulfide Lubricant on S trength and Life of Diamond Micro-blades)

  • 김송희;장재철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24-325
    • /
    • 2012
  • 다이아몬드 마이크로 블레이드의 절삭 효율을 향상시키고 소결 공정 중 윤활제의 유동성과 젖음성이 다이아몬드 마이크로 블레이드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Cu/Sn 금속 결합재에 표면을 부식시킨 $WS_2$와 부식을 시키지 않은 $WS_2$ 윤활제를 각각 동일한 체적 분율로 첨가하였다. 윤활제의 표면 개질에 따른 마이크로 블레이드 결합재의 내마모성과 굽힘 강도 시험을 행하였고, 실착 절삭 시험을 위한 마이크로 블레이드 시편을 제작하여 수명 및 효율을 평가하였다. Cu/Sn 금속 결합재 파면에서의 $WS_2$ 입자 방향 분석을 통해 표면 개질 과정을 거친 $WS_2$가 압축소결 공정 중 압축 방향에 수직하게 위치하려는 경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소결체의 강도와 경도를 향상시켰다. 마이크로 블레이드의 절삭 효율 및 수명을 평가하기 위한 실착 절삭 시험 결과, 윤활제 표면 부식처리는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절삭성능은 비슷하게 관찰되었으나 결합재와의 계면 결함을 줄이므로써 블레이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었다.

  • PDF

초음파 다이아몬드 기구로 형성된 치근단 역충전 와동의 정화도 및 와벽형태 (CLEANLINESS AND WALL MORPHOLOGY OF ROOT-END RETROGRADE CAVITY MADE BY ULTRASONIC DIAMOND INSTRUMENTS)

  • 김성교;임춘희;권태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3권1호
    • /
    • pp.515-524
    • /
    • 1998
  • 치근단 역충전 와동 형성을 위한 초음파 다이아몬드 기구의 임상적 적용의 타당성 및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다이아몬드 기구로 형성된 치근단 역충전 와동의 와벽 형태 및 와동 정화도를 관찰하여 스테인레스 스틸 기구의 것과 비교하였다. 초음파 기구로 형성된 와동의 와벽형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발거된 상악 제 1 대구치 치근에서 근관을 형성하고 gutta-percha로 충전한 다음 근단 3mm부위를 치아 장축에 직각되게 절제하고 초음파 다이아몬드 기구 및 초음파 스테인레스 스틸 기구로 역충전 와동을 형성하였으며, 형성된 치근단 역충전 와동내벽의 정화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와벽의 잔존 잔사 및 도말층의 양을 측정,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다이아몬드 기구로 형성된 와동의 와벽 형태는 다이아몬드 입자에 의해 긁힌 자국이 선명한 양상을 특정적으로 보인 반면, 스테인레스 스틸 기구로 형성된 와동의 와벽은 계단식의 층을 특정적으로 보여 주었다. 다이아몬드 기구로 형성된 와동에서는 스테인레스 스틸 기구 와동에 비해 내벽 도말층의 량이 유의하게 많이 나타났다 (p<0.01).

  • PDF

기판 온도가 다이아몬드 박막의 Morphology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bstrate Temperature on the Morphology of Diamond Films by MPCVD)

  • 박영수;김상훈;김동호;이조원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85-392
    • /
    • 1994
  • Microwave플라즈마 화학 증착법으로 다이아몬드 박막을 증착하여 morphology변화를 관찰하였다. 기판 온도가 $550^{\circ}C$에서 $75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다이아몬드 박막의 표면 morpholoty는 {111}에서 {100}, cauliflower형태로 변화하는 것과 함께, 증착층내의 nondiamond성분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증착 층 내에 존재하는 nondiamond성분은 다이아몬드 입자의 입계에 분포하고 있음을 마이크로 Raman분석으로부터 추측할 수 있었다. 증착층의 texture orientation 을 X-선 회절 분석기로 확인한 결과, $550^{\circ}C$에서는 증착층의 texture orientation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100>에서 <110>으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보론-도핑된 다이아몬드 박막의 전계방출 특성 (Field emission properties of boron-doped diamond film)

  • 강은아;최병구;노승정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0-115
    • /
    • 2000
  • 열-필라멘트 CVD 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아몬드 박막의 증착 조건을 최적화시켰다. $B_4C $ 고체 펠렛을 사용하여 보론두핑된 다이아몬드 박막을 제조하여 그 질적 특성을 알아보고, 전류전압 특성과 전계 방출 측정을 통해 박막의 전계방출소자(field emission display (FED)로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보론 도핑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다이아몬드 결정의 평균 입자 크기가 조금씩 감소하지만 다이아몬드의 질은 소량 도핑인 경우에 크게 바뀌지 않았다. Al/Diamond/p-Si 소자의 전류전압 특성을 조사한 결과 도핑된 다이아몬드 박막의 전류는 도핑되지 않은 박막의 전류에 비해 $10^4$~$10^5$배 정도 증가하였다. 전계방출 특성을 조사한 결과 보론-도핑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낮은 전기장에서 전자를 방출하며, 또한 높은 방출 전류를 나타냈다. 전자가 방출되기 시작하는 onset-field는 펠렛의 수가 2개일 때 15.5 V/$\mu\textrm{m}$, 3개일 때 13.6 V/$\mu\textrm{m}$, 4개일 때는 11.1 V/$\mu\textrm{m}$. 체계적으로 감소하였다. 도핑의 강도가 세어짐에 따라 Fowler-Nordheim 그래프의 기울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로서 보론 도핑으로 인해 유효 장벽 에너지가 감소되어 전자 방출 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