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양한 해결 방법

Search Result 3,640,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One-class Least Square Support Vector Machines (단일부류 최소제곱 서포트 벡터 머신)

  • 우상호;이성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559-561
    • /
    • 2002
  • 서포트 벡터 머신은 얼굴인식이나 문자인식과 같은 다양한 패턴인식 문제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Quadratic Programming(QP) 문제에 관하여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용량의 QP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계산비용이 요구되며, QP 기반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이다. 또한 대규모 데이터의 처리 시에는 입출력을 맞추기 또한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단일부류 문제를 최소제곱 서포트 벡터 머신을 기반으로 하여 해결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QP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없이 단일부류 문제를 표현하여 최소제곱 방법을 이용하는 알고리즘이다. 제안된 방법으로 쉽고, 계산 비용을 줄이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서포트 벡터 영역 표식자에 확장 적용하여 선형방정식으로 구현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효율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패턴인식 분야 중에 얼굴 인증 방법과 바이오인포매틱스 분야 중에 전립선 암 분류 문제에 적용하였다. 우리의 실험결과는 적합한 성능과 좋은 Equal Error Rate(EER)를 보여준다. 제안된 방법은 알 수 없는 물체의 분류 방법의 효율성을 증대시켰고, 실시간 응용분야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PDF

New genetic crossover operators for sequencing problem (조합최적화 문제를 위한 새로운 유전연산자)

  • 석상문;안병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61-63
    • /
    • 2003
  • 지난 10년 동안 유전 알고리즘은 어렵고 복잡한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인식되어왔다. 이러한 유전 알고리즘의 성능은 알고리즘 내에 구현되는 여러 연산자들에 좌우된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이 새로운 연산자 개발에 관심을 가져 왔었다. 특히, 가장 널리 알려진 조합최적화 문제 중에 하나인 알려진 traveling salesman problem (TSP)의 경우 NP-hard문제로 분류되어 현재까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유전 연산자들이 개발되어 왔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TSP 문제를 test problem로 이용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유전 연산자 특히 교차 (Crossover Operator) 연산자들을 제안하고 기존의 다양한 연산자들과 비교를 통해서 성능을 입증한다.

  • PDF

Knowledge-Based vs. Constraints-Based Scheduling : A Case Study of Gate Allocation Problem (스케줄링 문제 해결을 위한 지식 기반 기법과 제약 만족 기법의 비교 연구)

  • 양종윤;조근식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4 no.2
    • /
    • pp.45-59
    • /
    • 1998
  • 다양한 산업영역에서 수행되는 스케줄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AI분야에서는 지식을 기반으로한 방법이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CSP(Constraints Satisfaction Problem) 개념이 소개되어 그 효율성이 입증되고 있으며 스케줄링 응용 문제들이 CSP로 정형화되면서부터 지식 기반 기법과 제약만족 기법의 적용이 공존하고 있다. 지식을 기반으로 한 방법은 도메인 전문가(domain expert)의 지식을 습득하여 시스템에 반영하는데 이러한 지식은 문제해결에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제약조건을 기반으로 한 방법은 문제를 CSP로 정형화 한 후 제약조건에 따른 일관성 유지 및 휴리스틱 탐색 방법을 적용하여 문제의 해를 효율적으로 구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스케줄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식기반 기법과 제약만족 기법을 주기장 할당 문제에 적용하여 실제 항공사의 운항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험하고 분석 및 비교를 통해 제약 만족 기법이 시스템의 유지 및 보수 측면에서 효율적이며 근사해가 아닌 최적해를 통한 문제 해결이 가능함을 보였다.

  • PDF

A Data Value Heterogeneity Solving Method In A GSN Based DataBase Integration Model (GSN 기반 DB통합 모델에서의 data value 이질성 해결 기법)

  • 홍종하;박성공;이종옥;백두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31-333
    • /
    • 2001
  • 분산되고 이질적인 환경에서의 정보 소스들을 통합하려는 노력은 끊임 없이 계속되어 왔다. 이질적인 다중 정보소스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통합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은 인터넷 기반에서 다양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아주 흥미로운 일이다. 이러한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어서의 주된 문제점은 서로 다른 정보소스에 존재하지만 실제적으로는 같은 실세계의 개념을 가지고 있는 정보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표현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적 이질성을 해결하기 위해서 WordNet이나 Common Thesaurus 등을 이용한 개념 기반의 접근방법이 많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들은 스키마 이질성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 할 뿐, 데이터의 이질성을 해결 하는 방법은 보여주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GSN(Global Semantic Network)을 이용해서 스키마 이질성을 해결해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이질성의 예를 제시하고 이러한 데이터 이질성을 해결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 PDF

A Genetic Algorithm with Modified Mutation for the Traveling Salesman Problem (외판원 문제를 위한 변형된 돌연변이를 적용한 유전 알고리즘)

  • 김정숙;홍영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744-746
    • /
    • 1998
  • 외판원(Traveling Salesman Problem)는 계산 복잡도가 매우 높으므로 이를 해결하려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어 왔다. 최근에는 특히 휴리스틱(Heuristic) 에 기반한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에 위한 방법이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고, 이를 위한 다양한 교잡(Crossiver)연산자와 돌연변이(Mutation) 연산자들이 발표되고 있다. 돌연변이연산자는 지역해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유용한 유전 특성을 잃어버릴 위험이 있는 교잡 연산자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돌연변이 연산자를 개발하여 적용한 유전 알고리즘으로 외판원 문제를 해결한다.

  • PDF

A tabu search For High-School Timetabling Problems (Tabu Search를 이용한 고교 시간표 자동 작성 개발을 위한 연구)

  • 김광석;정태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125-127
    • /
    • 1999
  • 고등학교 시간표 작성 문제는 학생, 교사, 학교, 일반 교실과 특별 교실 자원등 복잡한 제약조건과 요구사항이 있기 때문에 단순한 방법으로는 해결하기가 어렵다. 학생들은 다양한 과목을 선택할 수 있기를 바라고 교사들은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수업하기를 바란다. 또한, 학교에서는 효율적인 인적 자원 활용과 일반 교실 및 특별실의 사용으로 인한 학교의 장학 능력과 경쟁력의 고양을 원한다. 따라서, 고등학교 수업 시간표를 작성하는데 있어서의 다양한 문제를 최적의 시간표를 최적 탐색 문제로 정의하고, 이 문제를 휴리스틱 접근법인 Tabu Search 방법을 이용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 PDF

피타고라스 세 수를 구하는 다양한 문제해결 방법 탐구

  • Kim, Dong-Keun;Yoon, Dae-Won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v.28 no.4
    • /
    • pp.419-433
    • /
    • 2012
  • In this paper, by using the inductive method, recurrence relation, the unit circle, circle to inscribe a right-angled triangle, formula of multiple angles, solution of quadratic equation and Fibonacci numbers, we study various problem solving methods to find pythagorean triple.

A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Ehnancing Problem Solving Ability Based on Open Source Software (공개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문제해결력 향상 교수학습 모형개발)

  • Kim, GilYong;Lho, YoungUh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05a
    • /
    • pp.499-502
    • /
    • 2009
  • 7차 교육과정은 응용소프트웨어를 얼마나 잘 다루는지와 같은 컴퓨터를 도구적 활용을 중점으로 구성되었다. 컴퓨터 과학의 기본원리를 적용하여 문제해결능력을 신장시키고 이를 구현하기 이한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문제해결방법과 절차라는 대영역이 포함되었다. 정보과목 문제해결방법과 절차 영역에서 다양한 문제를 이해 분석하여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구현하는데 있어 원활한 교수학습을 위한 다양한 방법과 도구들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 향상에 효과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상용소프트웨어들의 비용부담과 언어적 문법, 에러발생에 대한 해결에 비중이 높아 학습자가 겪는 인지적 부담을 감소 할 수 있는 EPl(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인 Scratch 프로그래밍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 PDF

Future Research Topics in the Field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Using Delphi Method (수학적 문제 해결 연구에 있어서 미래 연구 주제: 델파이 기법)

  • Kim, Jin-Ho;Kim, In-Kyung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4 no.2
    • /
    • pp.187-206
    • /
    • 2011
  •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have placed as one of the important research topics which many researcher have been interested in from 1980's until now. A variety of topics have been researched: Characteries of problem; Processes of how learners to solve them and their metaoognition;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Recently, the topics have been shifted to mathematical learning through problem solving and the connection of problem solving and modeling. In the field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where researcher have continuously been interested in, future research topics in this domain are investigated using delphi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