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양한 메뉴

Search Result 32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Menu Customization on Mobile Phone - Focused on designing UI of "My menu" in Mobile phone for children (휴대폰에서의 사용자 맞춤형 메뉴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아동사용자를 위한 My메뉴의 UI 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

  • Jo, Shin-Ah;Kim, Hyun-J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345-352
    • /
    • 2007
  • 오늘날 휴대폰은 20~30대의 젊은 사용자 층뿐 아니라, 고령사용자 및 아동사용자들로 확대되면서 다양한 사용자층을 포함하게 되었다. 이렇게 사용자층은 다양해지고 있으나, 휴대폰 제조사들은 다양한 사용자 계층의 인지능력과 요구사항을 반영하진 못한 채, 20~30대의 젊은 주 사용자 층을 기준으로 디자인하고 있다. 특히, 하드웨어적인 디자인 측면에서는 다각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나, 소프트웨어 측면에서의 시도는 거의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용자 계층에 따른 유동적 인지능력 및 요구사항, 감성에 맞는 맞춤형 My메뉴(Menu)를 설정할 수 있는 휴대폰 UI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주 사용자 층과는 다른 사용패턴을 보이는 어린이들을 위한 개인화된 My메뉴를 설정하는 인터랙션 UI 디자인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먼저, 문헌과 사례분석으로 통해 기존 휴대폰 제조사와 서비스 사업자들의 메뉴 개인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어린이들의 사용 패턴과 메뉴의 사용 빈도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자 조사 방법을 두가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우선 2006년 7월말부터 8월 10일까지 2주에 걸쳐, 만 9세~12세의 초등학교 아동사용자 남여 10명을 대상으로 휴대폰 사용의 전반적인 특성과 사용행태을 파악하고, 환경설정 및 주 사용메뉴를 조사하기 위한 심층인터뷰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1차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이번 설문에서는 주 사용메뉴가 무엇이며 사용빈도는 어느 정도 되는지 선호하는 메뉴형식과 용어의 어려움은 없었는지를 파악했다. 또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대기화면에 가져다 놓고 싶은지를 물어 직접적인 휴대폰 대기화면의 사용여부를 파악하였다. 2006년 12월 일주일동안, 1차 인터뷰의 아동사용자와 동일한 연령대의 아동사용자 남여 총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더욱 정량화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 연령과 성별에 따라 기본 디폴트 My메뉴(Menu)를 제공하는 방법, My메뉴의 항목과 우선순위, 테마를 설정하여 개인화하는 UI 디자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사용자를 대상으로 휴대폰의 소프트웨어 UI 중 메뉴를 사용자 맞춤형으로 설정할 수 있는 방법과 인터랙션을 디자인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소프트웨어적인 UI 개인화 시도는 다양한 사용자 계층의 요구사항을 반영하는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써 사용자 만족과 사용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Restaurant Menu Management System with Smart Device Application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식당메뉴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

  • Yeo, Seung-Min;Park, S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213-214
    • /
    • 2011
  • 스마트 기기 시장의 대중화와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들의 일상생활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 iPad, Smart TV 등 다양한 기기와 스마트 기기와의 정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식당정보를 획득하고, 필요시 사용자가 메뉴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는 식당메뉴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이는 식당의 메뉴를 찾아가지 않고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미리 파악하고, 해당 메뉴에 대한 맛 평가를 하여 보다 더 좋은 식단 메뉴를 선택 할 수 있게 한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각각의 식당서버에 접속하여 메뉴를 검색하고, 각 음식에 대한 정보들을 공유 및 업데이트 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A Study on Menu Analysis using Goal-Value Analysis - A Case of a Wine Restaurant - (목표 가치 분석을 이용한 메뉴 분석에 관한 연구 -와인 전문 레스토랑 사례-)

  • Kim, Dong-Jin;Kim, Dong-Seok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18 no.4
    • /
    • pp.641-650
    • /
    • 2008
  •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 success of a food service organization. As a matter of fact, menu functions as a list of product restaurant and a communication tool that facilitates the communication between a restaurant and its customers. Accordingly, many scholars and practitioners have suggested various for menu analysis. Among others, menu analysis methods proposed by Miller, Kasavana & Smith, and Pavesic have been frequently and repeatedly published in the academic literature. However, methods common limitation utilize a two-dimensional approach quadrants. Focusing on this problematic of traditional menu analysis methods, Hayes & Huffman suggested a new menu analysis method goal value analysis. The of this study to the menu analysis technique suggested by Hayes & Huffman using goal value. In this research, the goal value analysis adopted wine restaurant.

  • PDF

Usability evaluation of navigation aid for searching menu items on mobile phone (휴대전화를 위한 메뉴검색 지원도구의 사용성 평가)

  • Park, Won-Kyu;Han, Sung-H.;Chae, Byung-Kee;Cha, Joo-Hyoung;Kim, Se-Na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169-174
    • /
    • 2006
  • 최근의 휴대전화는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메시지 및 이메일 송/수신, 사진/동영상 촬영 등 다양한 종류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기능이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화면 공간의 제약으로 인한 메뉴 항목명의 축약, 메뉴 항목수의 증가, 메뉴 구조의 복잡화 등의 원인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이 메뉴검색에 불편함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메뉴 네비게이션을 통한 검색 방식, 하위 메뉴항목 제시 방식 이외에, 키워드 검색방식 및 유사 키워드 검색 방식을 개발하고 4가지 메뉴 검색방식의 사용성 평가실험을 수행하였다. 사용성 평가 실험 결과, 수행도 측면에서는 메뉴 검색 방식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지만, 사용자 만족도 측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4가지 메뉴 검색 방식 중 유사 키워드 방식은 사용자 만족도 측면에서 가장 선호되는 방식으로써, 추후 실제 휴대전화에 적용될 경우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chool Dietitians' Perception and Performance on a School Foodservice Menu Evaluation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메뉴평가에 대한 인식과 시행 현황)

  • Choi, Mi-Kyung;Ahn, Sun-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0 no.8
    • /
    • pp.1172-117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a school foodservice menu evaluation and the perception of the school's dietitian on menu evaluatio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48 school dietitians with an official letter, and a total of 292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More than 90% of the respondents stated that a menu evaluation for the school foodservice was necessary. The major barriers to menu evaluation were "excessive workload" and a "lack of know-how", and the expected benefits were "increased satisfaction of customers" and "increased foodservice efficiency". The menu evaluation for "student preferences", "health improvement", and "ease of quality management" categories were performed in more than 45% of schools. The proportion of subjects who answered that "customer satisfaction" and "increased efficiency of foodservice" were expected benefits of menu evalu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enu evaluation group (p<0.05).

The Effect of Menu Quality of Cold Noodle Restauran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Focused on Seoul·Kyunggi Area- (냉면전문점의 메뉴품질이 고객만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 Jun, Jin-Young;Yoo, Young-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2
    • /
    • pp.132-14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menu quality of cold noodle restauran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Eventually the study aims to be used as a baseline data for future researches on menu development for cold noodle restaurants.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nu quality consists of taste of food, creativity, variety and price of menu. Among menu quality, taste of food, creativity, variety and price of menu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custome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purchase intention. Third, customer satisfaction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menu quality and repurchase intention. The conclusion section suggested strategic implications to induce menu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 findings.

A Usability Evaluation of Adaptive Split, Adaptive Style, and Adaptable Menus for Desktop PCs (데스크탑 PC를 위한 적응형 메뉴의 사용성 비교 평가)

  • Park, Jung-chul;Han, Sung-H.;Park, Yong-S.;Cho, Young-Seo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419-424
    • /
    • 2006
  • 본 연구는 데스크탑 PC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적응형 메뉴 인터페이스의 사용성을 평가한다. 선택 빈도에 따라 자동으로 변화하는 2가지 방식의 Adaptive menu와 사용자가 메뉴 내에서 원하는 항목의 위치를 직접 변경하는 Adaptable menu의 사용성을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Traditional menu와 비교하기 위해 사용자를 동원한 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Adaptive menu에는 선택 빈도가 높은 메뉴 항목이 메뉴의 상단으로 이동하는 Adaptive split menu와 자주 선택되는 항목이 굵은 글씨로 표현되는 Adaptive style menu가 포함된다. 각 방식의 적응형 메뉴가 자주 선택되는 메뉴 항목의 변화에 따라 얼마나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지 비교하기 위해, 두 개의 각기 다른 선택 빈도 분포가 이용되었다. 각 실험 조건 별로 사용자가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데 걸린 시간과 오류 회수를 측정하였으며, 피실험자로 하여금 시인성, 효율성, 전반적 선호도 등의 주관적인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각각의 종속 변수들은 분산 분석(ANOVA), Chi-square test, Friedman test 등의 기법을 이용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Adaptable menu가 다른 방식의 메뉴들에 비해 수행도와 만족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daptive split menu는 상대적으로 현실적인 조건 하에서 큰 효용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daptive style menu는 수행도 측면에서는 일반적인 메뉴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자주 선택되는 항목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해 주고, 선택 빈도의 변화에도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들에게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데스크탑 PC의 적응형 메뉴 설계에 대한 이용될 수 있으며, 추후 휴대용 정보기기의 적응형 메뉴에 대한 사용성 연구의 기초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f the effect on the usability for mobilephone main menu navigation (모바일폰의 메인메뉴 네비게이션 방식이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Oh, Young-Jae;Lee, Hyun-Ju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327-332
    • /
    • 2007
  • 모바일폰의 컨버전스가 가속화됨에 따라 사용자가 습득해야 할 정보량이 증가하였고, 사용자들이 이를 이용하기 위하여 학습과 숙련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부담이 발생하게 되었다. 모바일폰의 주 사용자층인 20-40대 외에 10대와 50대 이상의 이동전화 이용률이 꾸준히 증가하여 실버폰과 키즈폰 시장이 형성될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제조사에서는 획일적인 인터페이스 디자인만을 제공하여 다양한 사용자 층의 요구와도 서로 맞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폰의 휴먼인터페이스 요소 중 메뉴요소에 해당하는 메인메뉴의 네비게이션 방식에 중점을 두어 각 사용자 유형별로 사용성을 측정하였다. 국내외 모바일폰 제조사에서 2006년 출시된 제품에서 메인메뉴 네비게이션 방식을 추출하여 8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플래시 기반의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여 사용성 측정에 이용하였다. 모바일 사용성 평가를 위한 요인을 중심으로 10대부터 60대 이상의 다양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시뮬레이터 사용을 관찰하여 분석하였으며 또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모바일폰 기종을 고려하여 설문지로 사용성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는 방식도 병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유형별로 사용성이 높은 인터페이스를 선별하고 사용자의 개성과 선호도를 고려한 선택적인 UI 개발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Effect that Number of Meals and Dietitian's Individual Special Quality Get in Efficiency of Menu Information System (급식소 식사제공수와 영양사의 개인특성이 메뉴관리 정보시스템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 Lee Sang-Mi;Choi Sang-Cheo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5
    • /
    • pp.170-17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efficiency of menu management of information system on the institutional restaurant according to the academic background, working career, and times of meal serving.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20 units. A total of 116 questionnaires were usable. First, result that is significant to menu management factor at meals manager's work career and food information system operation analyzed that is. Second, analyzed that difference of meals subdivision meal number is not significant to menu management factor at food information system operation. Third, manager's attainments in scholarship which operate food information system analyzed that practical use degree is significant to menu management factor at food information system operation.

  • PDF

Usage based mobile menu optimization (사용량 기반의 모바일 메뉴 최적화 - 요일제 메뉴 개발을 통한 모바일 서비스 이용 활성화)

  • Kim, Hyun-Ho;Kim, Sang-Woo;Jung, Myoung-Sook;Yun, Kwang-H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376-379
    • /
    • 2008
  • People are experiencing severe navigation problems in mobile site Relatively limited research, however, has been conducted on mobile site navigation compared to web site navigation.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efficient mobile site navigation aids for timely preferred contents. It proposed timely menu system based on statistic data, and evaluates its efficiency through commercial beta test. We conducted a beta test in the fourth quarter of the year 2007. The total number of user is 12,000. The average number of PV (page view) by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creased to 10% more than control group. Our results indicate that timely menu system helps people navigate mobile menu system more eff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