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변량 분산분석

Search Result 14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Market Segmentation of Home Meal Replacement Consumers (가정식사대용식(Home Meal Replacement) 소비자의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 Kim, Hyun-Jung;Kim, Dong-Jin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19 no.2
    • /
    • pp.52-64
    • /
    • 2013
  •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1) to identify the market segments of home meal replacement(HMR) consumers based on purchasing selection attributes and (2) to investigat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urchasing behaviors unique to each segmented market. A total of 266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19.0. Data analyse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MANOVA, and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showed four important dimensions in selection attributes: food quality, design,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The results of the cluster analysis identified two HMR market segments, namely, highly involved HMR consumers and lowly involved HMR consumers. Highly involved HMR consumers considered all the selection dimensions more important than lowly involved HMR consumers. In addition, these two groups showed differe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urchasing behaviors.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 PDF

Effects of cooperative Blended learning in secondary science instruction (중학교 과학 수업의 온.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 효과)

  • Kim, Sung-Wan;Kwon, So-Y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249-252
    • /
    • 2011
  • 이 연구는 중학교 과학 수업의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에 대한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과 관련된 문헌 고찰을 통해 연구의 수행에 필요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중학교 1학년 과학 내용 중에서 연구 단원을 선정하여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김포시에 위치한 'K'중학교 1학년 학생들 중에서 사전 학업성취도 검사와 학습태도 검사에 의해 동질집단으로 확인된 2개 학습 79명이다. 연구대상 중 1개 학습 40명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여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의 실험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기존의 면대면 협동학습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 변화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 Ver.12.0을 이용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하였고, 학습태도는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한 연구의 결과 첫째,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면대면 협동학습과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 실험집단이 면대면 협동학습 통제집단보다 학업성취도의 하위 영역 중 기억 영역에 그 효과성이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면대면 협동학습과 학습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첫째,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료 수집, 분석, 정리 단계에서 정보의 공유를 통해 적극적으로 학습을 유도하였다고 예측할 수 있다. 이는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이 면대면 협동학습보다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학습자의 학습태도에 효과적이라고 확신할 수 없다. 따라서 학습자의 교과에 대한 학습태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교수 학습방법을 다각화하고 교과와 학습목표에 맞는 적절한 학습방법의 지속적 활용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Small Sample Characteristics of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for Categorical Repeated Measurements (범주형 반복측정자료를 위한 일반화 추정방정식의 소표본 특성)

  • 김동욱;김재직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5 no.2
    • /
    • pp.297-310
    • /
    • 2002
  • Liang and Zeger proposed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GEE) for analyzing repeated data which is discrete or continuous. GEE model can be extended to model for repeated categorical data and its estimator has asymptotic multivariate normal distribution in large sample sizes. But GEE is based on large sample asymptotic theory. In this paper, we study the properties of GEE estimators for repeated ordinal data in small sample sizes. We generate ordinal repeated measurements for two groups using two methods. Through Monte Carlo simulation studies we investigate the empirical type 1 error rates, powers, relative efficiencies of the GEE estimators, the effect of unequal sample size of two groups, and the performance of variance estimators for polytomous ordinal response variables, especially in small sample sizes.

Apache Storm based Query Filtering System for Multivariate Data Streams (다변량 데이터 스트림을 위한 아파치 스톰 기반 질의 필터링 시스템)

  • Kim, Youngkuk;Son, Siwoon;Moon, Yang-S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561-564
    • /
    • 2018
  • 최근 빠르게 발생하는 빅데이터 스트림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빅데이터 전체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것은 매우 비경제적이므로, 데이터 스트림 중 필요한 데이터를 걸러내는 필터링 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아파치 스톰(Apache Storm)을 사용하여 데이터 스트림의 질의 필터링 시스템을 구축한다. 스톰은 대용량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한 실시간 분산 병렬 처리 프레임워크이다. 하지만, 스톰은 입력 데이터 구조나 알고리즘 변경 시, 코드의 수정과 재배포, 재시작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파치 카프카(Apache Kafka)를 사용하여 데이터 수집 모듈과 스톰의 처리 모듈을 분리함으로써 시스템의 가용성을 크게 높인다. 또한, 시스템을 웹 기반 클라이언트-서버 모델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언제 어디에서든 질의 필터링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웹 클라이언트를 통해 입력한 질의를 자동적 분석하는 쿼리 파서를 구현하여 별도의 프로그램의 수정 없이 질의 필터링을 적용할 수 있다.

Dynamic Linkages : Stock Markets, Construction Industries, and Construction Firms (한국 건설주가의 동태적 국내외 연계성에 관한 실증분석)

  • You, Tae-Woo;Jang, Won-Ki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0 no.1
    • /
    • pp.125-162
    • /
    • 2003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hort- and long- run relationship among Korean, U.S. and Japanese construction indices. We conducted the Johansen's cointegration tests on the hypotheses that the construction indices of three countries we related in the long-run as well as in the short-run.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re exists no long-run relationship among three countrie's construction indices. In addition, the cointegrating relation did not exist for three countrie's stock market indices and five major Korean construction firms. It fumed out that the U.S. indices Granger-causes Japanese and Korean indices.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re may exist international diversification benefit through forming a portfolio from these indices.

  • PDF

The Dynamics of Intraday Price Transmission Across the Stock Index Futures Markets: The Standard & Poor's 500, the New York Stock Exchange Composite, and the Major Market Index Futures (주가지수선물시장 상호간의 가격정보 전달구조에 관한 연구)

  • Kim, Min-Ho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2 no.2
    • /
    • pp.239-271
    • /
    • 1995
  • 본 연구는 현재 미국에서 거래되고 있는 세 가지 주가지수선물 상호간의 일중(intradaily) 가격선도(price leadership)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이다. 본 연구가 기존의 연구와 다른점은, 기존의 연구가 주가지수선물과 그 기준이 되는 현물 가격사이의 가격 선도 관계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반하여 본 연구는 주가지수선물 시장 사이에서 존재하는 가격 선도관계를 분석하고 있다는 점이다. 실증 분석의 대상이 된 주가지수선물들은 Chicago Mercantile Exchange의 Standard and Poor's 500 Index(S&P 500), New York Futures Exchange의 New York Stock Exchange Composit Index (NYSE), 그리고 Chicago Board of Trade의 Major Market Index(MMI)이다. 만약 이들 시장들이 정보의 전달에 있어서 효율적(informationally efficient) 이라면 이들 가격간에 선도-지연(lead-lag) 현상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어느 한 시장이 새로운 정보를 선물가격에 반영하는데 다른 시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다면, 이들 시장 상호간에는 가격의 전이(transmission)현상이 존재하게 될 것이다. 이들 선물간의 일중 가격선도 관계 연구는 이러한 시장의 효율성 문제를 밝히는데 의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시장간의 단기적 가격 괴리를 이용하려는 차익거래자들에게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위에서 언급한 각각의 주가지수선물들이 가격 선도성을 가질 수 있는 이유와 관련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가설은, 가격의 선도성은 거래량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즉, 이들 주가지수선물 중 가장 거래량이 많은 S&P 500 선물이 다른 선물을 선도할 것이라는 가설이다. 둘째, 가격의 선도성은 주가지수를 구성하는 주식의 수에 비례한다는 가설이다. 다시 말하면, 보다 않은 수로 구성된 주가지수일수록 정보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가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 포함된 주가지수선물 중 가장 많은 수의 주식을 대상으로 하는 NYSE 선물이 다른 선물을 선도할 것이다. 마지막 가설은 정보의 처리는 대형주 혹은 기관선호주(institutionally-favored)들이 주도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주로 이와 같은 주식들로 구성 된 MMI 선물이 선도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위의 가설들을 검증하고 시장간의 가격 선도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vector autoregressive(VAR) 모형을 이용하여 충격-반응 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s)를 계산하고, 분산분해(variance decomposition)를 수행하였다. 또한 가격 상호간에 존재할지도 모르는 공적분(cointegration)관계를 Johansen(1991)과 Jokansen and Juselius (1992) 등이 제시한 다변량 공적분 검정(multivariate cointegration test)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간은 1986년 1월부터 1990년 7월까지이며, 각 주가지수선물들의 5분 간격 data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충격-반응 분석은 어느 한 시장에서의 충격(shock)은 다른 시장으로 매우 빠르게 전달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충격의 지속정도는 그 충격의 진원지에 따라 달랐다. 즉, NYSE나 MMI 선물로부터 발생 한 충격은 다른 시장의 가격에 5분 안에 반영을 끝냈지 만 S&P 500 선물에서 발생한shock은 그 이상 지속되었다. 또한, 분산분해 결과 S&P 500 선물이 자기자신 뿐만 아니라 다른 시장의 예상하지 못했던 움직임(unexpected movements)을 설명하는데 가장 큰 설명력(explanatory power)을 가지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S&P 500 선물이 다른 선물을 약 5분 간격으로 선도하였다. 이는 가격의 선도가 거래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 PDF

The Effects of Teachers' DAP Beliefs and Teacher Efficacy on Conflict Resolution Attitudes (보육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실제(DAP)에 대한 신념 및 교사효능감이 갈등해결태도에 미치는 영향)

  • Choi, Insuk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8 no.2
    • /
    • pp.81-99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eachers' DAP beliefs and teacher efficacy on the conflict resolution attitudes of teachers. The study was based on the survey data from 128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day care centers in the Incheon area. The valuables were all measured by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anova and Logistic Re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laborating and avoiding types of conflict resolution attitudes according to only age among demographic variables. Secondly, teachers' DAP beliefs and teacher efficacy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collaborating type but negatively related to avoiding and competing types of conflict resolution attitudes. Finally, teachers' DAP beliefs and teacher efficacy had positive effects on cooperative conflict resolution attitudes after controling for demographic variables. Our findings indicate that teachers' DAP beliefs and teacher efficacy have effects on their conflict resolution attitudes during preschoolers' peer conflicts.

A Study on Market Segmentation of American Family Restaurants Based on Relational Benefits (관계혜택에 따른 미국 패밀리 레스토랑의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 Kim, Hyun-Jung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20 no.4
    • /
    • pp.266-279
    • /
    • 2014
  •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segment the American family restaurant market based on relational benefits and to compare each group's demographics, dining characteristics, relationship quality(consumer identification, switching costs, satisfaction, commitment), and relational outcomes(positive word-of-mouth intentions and share of purchases). 510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American family restaurant customers and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EFA, reliability test, cluster analysis, MANOVA, discriminant analysis, chi-square 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found three different types of relational benefits: confidence, special treatment, and social benefits.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identified three market segments, namely, high relational benefits consumers, medium relational benefits consumers, and low relational benefits consumers. The three groups were different in terms of age(p<0.05) and level of education(p<0.05). In addition, high relational benefits consumers showed a higher level of relationship frequency(p<0.001), relationship quality(p<0.001), and relational outcomes(p<0.001), followed by medium and low relational benefits consumers. Overall, the results indicated that family restaurants need to deliver excellent relational benefits to customers in order to achieve desired relationship quality and relational outcomes.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The Effect of Sports Elastic Compression Stockings on Lower Extremity Edema by High Intensity Exercise (스포츠용 탄력압박스타킹이 최대 운동 시 하지의 부종에 미치는 영향)

  • Jung, hy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383-384
    • /
    • 2013
  • 본 연구는 스포츠용 탄력 압박 스타킹(Essential compression calf sleeve, SKINS, Australia)을 착용하고 최대 운동을 하였을 때, 하지 부종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 대상자는 젊은 성인 남녀 30명으로(남자 15명, 여자15명) 근 골격계 및 심혈관계에 특이 병력이나 사고에 의한 외상 등이 없었으며,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자는 제외하였다. 대상자들의 신체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자동 신장계(BSM330, Biospace, Korea)를 사용하였다. 부종정도를 알기위해서 줄자로 운동 전후의 장딴지 근(종아리)의 둘레와 체성분 분석기(InBody 720, Biospace, Korea)를 사용하여 하지의 부종 수치를 측정하였다. 최대의 운동은 호흡가스 분석기와 연결된 트레이드밀(CPEX-1, IRS, Japan)을 사용하여 변형된 BRUCE Protocol TR-3에 따라 호흡 교환율(R) 값이 1.15이상 되거나 all-out 될 때까지 하였다. 실험 대상자들은 동일 집단으로 전이효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주일의 간격을 두고 스포츠 탄력 압박 스타킹 착용 유무에 따른 동일한 실험을 두 번 하였다. 측정은 최대 운동 전후의 장딴지 근(종아리)의 둘레와 부종 수치를 하였다. 스포츠용 탄력 압박 스타킹 착용 유무와 운동 전후를 비교하기 위하여 MANOVA(다변량 분산분석)를 사용하였고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탄력 압박 스타킹을 착용한 상태에서 최대 운동 전후의 부종 정도를 측정한 결과 스타킹을 착용하지 않았을 때 운동 전후의 둘레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스타킹을 착용 하였을 때 운동 전후의 둘레가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p>0.05). 부종 수치(세포외액/전체체액)는 탄력 압박 스타킹을 착용하였을 때 오른쪽 다리는 유의하지 않게 감소하였고(p>0.05), 왼쪽 다리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탄력 압박 스타킹을 착용하고 운동할 경우 하지의 부종 경감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 PDF

Analysis of Factors that Influence Job Choices and Start-ups of Youth - Comparative Study among 7 Countries - (청년층 직업선택과 창업의 영향요인 분석 - 7개국 국가 간 비교연구 -)

  • Oh, Se-Ho;Nam, Ju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11
    • /
    • pp.268-280
    • /
    • 2020
  • This research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ocess of job choices and start-ups among the youth.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n 6 countries with adequate career systems and booming startup industries (China, Indonesia, the UK, Germany, Israel, the US.). The statistical sample is based on the Global Entrepreneurship Trend Ratio and covers a total of 7,082 youth across 7 countries. Multivariate variance analysis and correlational analysis were conductedto compare the average figures among different countries and analyze the regulation effect of parental influence. Job satisfaction, parental influence, and willingness to change future job were selected as the factors that influence job choices. Korea's job satisfaction was the lowest among 7 countries and a willingness to change future job was the highest. Meanwhile, Korea's parental influence was at a medium level among 7 countries. It was proven that job satisfaction had a quasi-control effect on the process of influencing willingness to change future job. Entrepreneurial education, willingness to start-up, job satisfaction, and parental influence were chosen as the factors that influence start-up. Two-way ANOVA were conducted to comparatively analyze each country's average, mutual influence among different factors, and analyze the regulation effect of parental influence. In all countries, start-up education has the effect of raising the willingness to start-up. Also, it was verified that parental influence had a quasi-control effect in the process of career satisfaction influencing the willingness to start-up. The research results will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government and educational institutes including universities when designing policy directions to guide overall career for the youth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