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물체동역학 교육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초

RecurDyn 솔버에 적용되어 있는 유연 다물체 동역학에 대한 해석기술 (Analysis Method for Multi-Flexible-Body Dynamics Solver in RecurDyn)

  • 최주환;최진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3권2호
    • /
    • pp.107-115
    • /
    • 2015
  • 유연 다물체 동역학은 실제 시스템을 가능한 유사하게 수치화하여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동역학 연구에 대한 차세대 주제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유연 다물체 동역학에 대한 해석 기술은 리커다인이라는 상용 소프트웨어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어 있는데, 특히 강체와 유연체를 통합하여 하나의 솔버에서 해석을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리커다인의 유연 다물체 동역학 솔버의 기술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리커다인의 유연 다물체 동역학 해법은 동시회전 기법을 사용하는 증분 유한요소 정식화를 기존의 순환공식을 이용한 동역학 정식화에 결합함으로써 구현되어 진다. 이 과정에서 강체와 유연체 사이의 조인트나 힘 요소 등의 효율적 처리를 위해 가상 바디와 유연체 조인트 개념이 사용된다.

Multibody2003와 2003 ASME DETC의 논문들을 통해본 다물체동역학 연구의 세계적 연구추세 (Recent Trends in Multibody Dynamics Researches reviewed from the papers presented in the Multibody2003 and in the 2003 ASME DETC)

  • 유완석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14-1717
    • /
    • 2003
  • ECCOMAS Thematic Conference Multibody 2003 was held at IST (Instituto Superior Technico), Lisbon, Portugal from July 1 to July 4. 2003. And MBDV(Multibody Dynamics and Vibration) in the 2003 ASME DETC was held at Chicago, U.S.A. from September 2 to September 6. In this paper, the presented papers in these conferences were reviewed and the trends in the multibody dynamics are summarized. The session titles in these conferences include Flexible Multibody Dynamics, Vehicle Dynamics, Contact, Biomechanics, Real-time Challenges, Spatial manipulator and Control, Multidisciplinary Applications, and Advanced Education. The poster session was also organized for more discussions in the Multibody2003 conference.

  • PDF

제조 공정용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효율적 다물체 동역학 해석 모델링 기술 개발 (The Efficient Dynamic Modeling of a Manipulator Robot System)

  • 송인호;류한식;최진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3권2호
    • /
    • pp.155-164
    • /
    • 2015
  • 기존의 자동차 생산라인의 경우 샤시를 중심으로 양측에 일렬로 배치된 로봇들이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길고 넓은 공장 부지가 필요하다. 하지만 일렬이 아닌 이열 삼열로 로봇을 배치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면, 생산 공장 부지를 최대 절반이하로 줄일 수 있고, 생산 설비를 보다 적은 면적에 설치함으로 로봇 구동 에너지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좁은 공간에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려면 여러 작업 기구 장착이 가능한 모듈형 로봇과 원거리에서도 작업이 가능한 가늘고 긴 형태의 로봇 매니퓰레이터를 개발해야만 한다. 이때 로봇을 가상의 공간에서 사전에 모델링해서 가장 최적의 로봇 형태에 대한 성능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면 로봇 개발시 개발 시간의 단축과 개발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데 이러한 평가 작업에 CAE기법들이 활용된다. 특히 로봇의 동역학적 거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물체 동역학 기법이 활용되는데, 이때 기존 모델링 기술보다 더 효과적이고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효율적인 로봇 동해석 모델링 기술에 대하여 연구 진행되었다.

Micro SIM Card Socket에 사용된 Push-Push Type 기구의 다물체동역학 해석 (Multibody Analysis of a Push-Push Type Mechanism for Micro SIM Card Socket)

  • 최찬규;김주철;윤주영;심정길;유홍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1권1호
    • /
    • pp.1-6
    • /
    • 2013
  • SIM card socket은 USIM 카드를 휴대폰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많이 사용되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push-push 기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Push-push 기구는 하트-캠 구조에 의해 작동되며 사용자가 USIM 카드를 한번 눌러주면 삽입이 되면서 locking, USIM 카드를 다시한번 눌러주면 토출이 되면서 unlocking이 되는 기구이다. Push-push 기구는 주 스프링에 의해 구동되는데 주 스프링에 의해 캠 슬라이더와 캠 스틱에 응력이 발생하여 기구가 파손되기도 한다. 따라서 push-push 기구 동작 시 발생하는 응력을 반드시 고려한 기구 설계가 필요하다. 기존의 기구 설계 방식은 정적인 응력해석 결과만 사용한 방식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기구 특성상 동작 시 충격력이 반드시 발생하기 때문에 충격력에 의해 발생하는 동응력을 해석하고 기구 설계에 반영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push-push 기구 동작 시 발생하는 동응력 해석을 위하여 push-push 기구의 유연 다물체 동역학 모델을 개발하고 기구 동작 시 발생하는 동응력을 해석하였다.

실험 계획법을 이용한 진공 차단기의 동특성 최적화 (Dynamic Responses Optimization of Vacuum Circuit Breaker Using Taghchi Method)

  • 조준연;안길영;김성태;양홍익;김규정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3권2호
    • /
    • pp.141-14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진공 차단기(Vacuum circuit breaker)의 동적 특성을 모사하기 위해 리커다인을 이용한 다물체 동역학 해석 모델이 개발 되었다. 진공 차단기는 VI(Vacuum interrupter)를 포함한 3 개의 주회로 부와,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한 기구부로 구성된다. 이 해석적 모델의 검증을 위해, 해석 결과와 실측을 통한 실험적 결과를 비교 하였다. 일반적으로, 원활한 사고 전류 차단을 위해서는 0.9~1.1m/s 의 차단속도(Opening velocity)가 필요하다. 차단 속도의 향상을 위해, 다구찌 기법을 이용하여 진공 차단기의 설계 변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또한 향상된 차단기의 동적 특성을 검증하기 위해, 해석 결과와 개선된 샘플의 실험적 결과를 비교 분석 하였다.

4-Post Road Simulator 를 이용한 농용 트랙터의 유연 다물체 동역학 해석 (Flexible Body Dynamics Analysis of Agricultural Tractor Using 4-Post Road Simulator)

  • 박지수;이강욱;조종윤;윤지원;신재윤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3권2호
    • /
    • pp.83-88
    • /
    • 2015
  • 농용 트랙터는 일반적인 도로 주행이 아닌 논 또는 밭과 같은 험지에서 작업용으로 사용한다. 때문에 정적 하중 뿐만 아니라 동적 하중이 고려된 구조 해석이 진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동적 입력 하중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작업기와 하중조건을 모사해야 하기에 실제 측정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이러한 노력들을 줄이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상용 자동차와 동일하게 농용 트랙터를 위한 4 축 도로하중 시뮬레이터(4-Post Road Simulator) 모델을 개발하였다. 입력하중을 검증하기 위해 사내 험로 시험장에서 차축의 가속도 값과 바디프레임의 변형률(strain)을 측정하였다. 가속도 값은 동역학 모델의 입력 하중으로 사용하고 모드 중첩 법을 포함한 동역학 해석을 수행하여 변형률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험로 프로파일과 유사한 거동을 나타내는 4 축 도로하중을 구할 수 있었으며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헬리콥터 진동 하중 저감을 위한 능동 뒷전 플랩이 장착된 SNUF 블레이드의 유연보의 설계 및 해석 (Design and Analysis of Flexbeam in SNUF Blade Equipped with Active Trailing-Edge Flap for Helicopter Vibratory Load Reduction)

  • 임병욱;은원종;신상준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6권7호
    • /
    • pp.542-550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헬리콥터의 전진비행시 발생하는 허브 진동 하중 저감을 위해 설계된 능동 뒷전 플랩이 장착된 SNUF 블레이드의 무베어링 주 로터 적용 설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EDISON의 박벽 복합재료 회전보 진동해석 프로그램(CORBA77_MEMB)을 이용하여 유연보의 단면 설계가 이루어졌다. 다물체 동역학 해석 프로그램 DYMORE를 이용하여 단면 설계에 따른 블레이드 동특성 및 능동 뒷전 플랩을 이용한 하중 제어의 특성을 예측하였다.

RecurDyn 을 이용한 압축기 및 배관 진동 해석 (Vibration Analysis of Compressor and Pipe Using RecurDyn)

  • 권승민;손영부;하종훈;유홍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3권2호
    • /
    • pp.117-124
    • /
    • 2015
  •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가정용 에어컨의 보급률이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눈높이 또한 점점 높아지고 있다. 과거에 소비자의 요구는 제품의 효율성에 집중되었지만 점차 저진동/저소음에 대한 부분으로 확장되고 있다. 에어컨의 압축기는 제품의 효율을 결정하는 주요한 부분이면서 동시에 진동/소음의 주된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압축기에서 발생한 진동/소음은 압축기 케이스와 배관을 통해 주위 구조물로 전달되고 이들은 다시 구조기인 소음이나 2 차적인 진동을 유발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RecurDyn 을 이용해 압축기의 진동/소음에 영향을 미치는 모터의 가진력이 고려된 MFBD(Multi Flexible Body Dynamics) 해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압축기의 진동/소음 특성을 조사하고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계산하여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모노스키 유압 완충장치 특성에 따른 탑승 안락감 평가 (Comfort Analysis of Mono-ski with Hydraulic Absorber)

  • 조현석;박진국;김규석;문무성;김창부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3권2호
    • /
    • pp.131-140
    • /
    • 2015
  • 하반신 마비환자가 스키를 탈 수 있도록 고안된 모노스키는 스키 플레이트 위에 좌석이 설치된 형태의 썰매이다. 스키를 탈 때 설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은 정상인의 경우 다리관절의 거동에 의하여 흡수되지만 모노스키의 경우에는 좌석에 탑승한 인체에 그대로 전달된다. 상용화된 대부분의 모노스키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스키 마운트와 시트 간에 링크 메커니즘과 충격완충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압 실린더가 장착된 모노스키의 주행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불규칙한 표면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 충격 가속도를 분석하여 탑승자의 안락감을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안락감 평가방법은 국제 규격인 BS6841 을 사용하였다. 개발 모델을 이용하여 유압 완충장치의 노즐조절에 따른 안락감을 평가하였다.

인간동력항공기의 붙임각 변화에 따른 날개 끝단 굽힘변위 최소화 연구 (Minimization of the Bending Deflection of the Human-powered Aircraft Wing Induced by Change of an Incidence Angle)

  • 이창배;임병욱;주현식;신상준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98-106
    • /
    • 2019
  • 인간동력항공기의 날개는 고세장비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 큰 굽힘변위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세장비 형상의 날개가 가지는 구조적인 한계를 붙임각을 변경함으로써 개선하고자 하였다. 날개의 익형 및 단면형상을 고정시킨 후 동일 수준의 양력 발생을 만족시킨다는 전제하에 붙임각의 변경에 따른 날개 끝단의 굽힘변위 변화 경향을 관측하였다. 이를 위해 유한날개의 양력, 항력, 모멘트 하중을 날개의 각 섹션에 분포시켰다. 그리고 EDISON의 "geometrically exact beam (GEB)" 프로그램과 "Variational Asymptotic Beam Sectional Analysis (VABS)" 단면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경된 설계안의 구조 안전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다물체 동역학 해석 프로그램 DYMORE를 이용하여 본 논문에서 예측한 날개의 끝단 변위 예측값을 비교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