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문화 태도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6초

보육교사의 문화적 공감과 문화적 역량에 대한 다문화 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Multicultural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in Child Care Teachers)

  • 오원옥;박일태;송민주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214-222
    • /
    • 2019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multicultural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in child care teacher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277 child care teachers at private and public daycare centers in G and S districts of Seoul. The survey instruments included a cultural empathy questionnaire, a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and a cultural competence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and AMOS program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analyses were performed. Bootstrapping was implemen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odel developed herein. Results: Positive correlations among cultural empathy, multicultural efficacy, and cultural competence were noted. Multicultural 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However,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Conclusion: In order to enhance the cultural competence of child care teach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rategy that can promote their cultural empathy and multicultural efficacy. Furthermore, these results will ultimately enhance the role of child care teachers, thus contributing to the normal growth and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children.

가치구조와 환경소비주의에 관한 타 문화간 비교연구: 한국과 미국 소비자사례 (A Cross-Cultural Study of Value Structure and Environmental Consumerism: The Case of Korean and United States Consumers)

  • 김연신;최세정;노라 리폰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0권4호
    • /
    • pp.35-64
    • /
    • 2009
  • 친환경구매행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소비자에게서 나타나는 환경의식과 실제 행위간의 차이를 좁히기 위한 노력으로, 본 논문은 소비자들의 차별적 환경태도 및 행위의 원인을 소비자의 가치구조와 연결시켰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치구조와 친환경소비주의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포괄적 연구모형을 제안하고 한국과 미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두 나라는 문화적 측면에서 이질적이며, 따라서 소비자들의 친환경성향과 관계 있는 가치체계도 다를 것이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각 나라에 거주하는 대학생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각 나라별 그리고 다중 집단 수준(multi-group level)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특정 가치체계와 환경태도 및 친환경구매행위의 중요한 관련성이 발견되어진 반면, 구체적으로 고려된 세 가지 가치체계, 태도, 행위의 관계유형들이 두 나라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의 가치체계가 그들의 친환경태도 및 소비행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만 어떤 가치체계가 어떻게 구매행위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그 나라의 문화적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글로벌 친환경마케팅을 시도하는 국제 마케터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중문화 수용태도, 자아존중감, 사회적 위축의 순차적 다중 매개효과 -2016년 다문화 청소년패널조사 이용-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Sequent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Using the 2016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 김수미;김현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24-340
    • /
    • 2022
  • Purpose: This study determined acculturative stress'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ased on Roy's Adaptation Model and some earlier studies. Further, it examined the sequent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on life satisfaction.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1,163 multicultural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ixth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A hypothesis test was conducted using Hayes' Process Macro Model 81. Results: Life satisfaction increased with a decline in acculturative stress. Each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had a singl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sequent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nd self-esteem were confirmed significant after their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was analyze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nd social withdrawal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sequential multipl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as well. Conclusion: This study's results demonstrate that acculturative stress reduction is critical to improving multicultural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have a single mediating or sequential multipl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dolescents'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findings, which highlight mediating effects, indicate that by increasing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nd self-esteem, and reducing social withdrawal, multicultural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분할함수 성장모형을 활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성취 변화 추정 및 예측요인 탐색 (Estimating the Longitudinal Change in Academic Achievement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y Piecewise Growth Modeling)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370-37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분할함수 성장모형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시기와 중학교 시기의 학교급 전환기를 거치는 과정에서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성취 변화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개인, 친구 변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의 1차년도(2011년, 초4)부터 6차년도(2016년, 중3)까지의 6년 동안의 자료를 사용하여 분할함수 성장모형 분석을 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취는 초등학교 6학년 시기를 기준으로 하여 초등학교 시기(초4-초6), 중학교 시기(초6-중3)로 변화율을 다르게 추정하는 분할함수 성장모형이 무변화, 선형변화, 이차변화 성장모형보다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조건 분할함수 성장모형 분석 결과,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성취는 초등학교 시기와 중학교 시기 모두 감소하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중학교 시기의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건 분할함수 성장모형 분석 결과, 학업성취 초기치(초4)는 부모효능감, 자아존중감, 친구의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방임적 양육태도, 문화적응스트레스 수준이 낮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화율 1(초등학교 시기)에는 초등학교 4학년 시기의 자아존중감과 친구의 지지가 학업성취의 감소 패턴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화율 2(중학교 시기)에는 초등학교 4학년 시기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중학교 시기의 학업성취 감소 패턴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 잠재프로파일의 종단적 변화 및 영향 요인 (Longitudinal Transition of Adolescents' Psychological Character Profiles and its Predictors in Multicultural Families)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64-17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인 자아존중감, 문화적응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위축을 활용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기의 잠재프로파일 및 전이 과정을 탐색하고, 전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의 2차년도(2012년)와 6차년도(2016년) 자료의 1,188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초등학교 시기(2차년도 자료)와 중학교 시기(6차년도 자료)의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두 시점 모두 '안정형 집단', '사회적 위축형 집단', '불안정형 집단'의 세 개의 잠재집단이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집단의 전이 과정을 확인한 결과, 심리적 특성의 안정적인 양상도 나타나지 만, 긍정적 변화 및 부정적 변화 또한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방임적 양육태도, 부모효능감, 가족의지지, 친구의지지가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친구의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불안정형 집단에 계속 머무르기보다는 안정형 집단으로 전이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질 경우 다문화 가정 청소년이 더 안정적인 심리적 특성을 갖는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인전류 영역(英譯) 양상과 번역 태도 (The aspect and attitude toward translation of a prodigy man story - in The Classical Novels of Korea)

  • 최윤희
    • 동양고전연구
    • /
    • 제49호
    • /
    • pp.461-486
    • /
    • 2012
  • 이 논문은 한국고전문학의 영역(英譯)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영역(英譯)에 대한 논의 범주를 소설에서 확장하여 인물전 작품의 영역(英譯) 양상과 번역 태도를 살피고자 하였다. 논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The Classical Novels of Korea"는 한국문화예술진흥원에서 발행한 한국문화예술에 대한 소개 시리즈 총서의 두 번째 책이다. 이 책에 5개의 작품이 영역되어 있는 데 그 가운데 이인전류 <장생전>, <검승전>, <오대검협전>을 논의하였다. 이들의 영역(英譯)은 번역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반적 양상과 동일하였다. 생략과 첨가, 의역과 오역 현상이 나타났다. 보다 주목할 점은 이인전에 대한 번역 태도에 있다. 사건의 나열과 포폄의식으로 특징지어지는 전의 양식적 특징은 약화되고 이야기성이 강화되는 방향에서 서사성이 원텍스트 보다 더욱 강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한국문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고자 하는 "The Classical Novels of Korea"의 번역 목적에는 부합하는 것이다. 다만, 학습 및 연구 목적을 두고 이인전류가 영역(英譯)될 때는 전(傳)의 양식적 특징과 주제의식이 드러날 수 있도록 되어야 할 것이다.

문화적 역량 비판 담론에 관한 사회철학적 분석 (Social Philosophical Analysis of Critical Discourses on the Cultural Competence)

  • 김기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3호
    • /
    • pp.239-26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비판적 사회복지 이론을 이론적 도구로 하여 문화적 역량 개념에 대한 비판담론을 분석하는 것이다. 부연하자면 다문화사회의 사회복지사라면 당연히 갖추어야 할 것으로 간주되어 왔던 다문화 역량 개념에 대한 비판담론들이 주장하는 내용을 명확히 하고 그 타당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역량에 대한 비판담론들이 급진적 비판 사회복지이론, 특히 푸코와 데리다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은 포스트모던 계열의 비판사회복지이론에 지적 기초를 두고 있음을 밝힌다. 비판담론들은 인식론적 측면에서 문화적 역량의 지식적 토대의 근거와 정당성을 문제시하는 동시에, 윤리적 측면에서는 문화적 사회복지실천이 가진 억압과 통제를 지적한다. 그 결과 문화적 역량이 별도의 실체로서 간주될 수 있는 것으로 보기 보다는 일반사회복지의 한 가지 태도로 간주하려 한다. 그러나 문화적 역량에 대한 비판담론들이 포스트모더니즘에 근거하고 있는 이상 이들이 가진 사회철학적 한계 역시 분명하다. 이들 담론들은 사실과 규범에 대한 인식적 구별을 하지 않으며, 전문직 관계의 억압을 과도하게 철폐하는 과정에서 도덕적 상대주의나 급진적 자유주의로 흐를 수 있고,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와의 권력적 제휴나 연합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등의 실천적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 PDF

다문화 가정을 위한 의무 음악교육의 필요성 (The Necessity of Mandatory Music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 유현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229-235
    • /
    • 2019
  • 현재 한국 사회는 1990년대 중반부터 국제결혼이 급속도로 증가하며 학령기를 맞이하는 그 자녀들의 수치도 최근 들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우리 사회에서 다양한 사회, 문화적 배경의 부모를 가진 학생들이 점차 늘어나는 가운데 이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은 우리가 관심을 가지고 해결해야 할 새로운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은 부모의 출신국적과 사회, 경제적 지위, 자녀 양육태도 등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저학년 때에는 언어장벽, 고학년 때에는 학습장벽, 중학교에 진학해서는 교우관계 장벽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학교는 '축소된 사회'라고 하는데 이 시기에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일반학생들과 서로 잘 어울리지 못하고 서로간의 거리감을 좁히지 못할 때 이들이 장차 성인이 되어 사회에 진출하게 되었을 때에는 서로 분리되어 사회적 갈등까지 야기 시킬 수도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다문화 가정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The Attitudes of Nurses Toward Multi-cultural Families)

  • 이나윤;이은남;박은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41-250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 The Q-methodology which provides a method of analyzing the subjectivity of each item was used. Thirty nurses classified the 34 selected Q-statements into a normal distribution using a 9 poin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Quanl PC program. Result: Four types of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dentified. The first type(value-neutral acceptance) considered multi-cultural families as individual's choice so they accepted it as one type of families and they persisted that nobody can oppose or blame for it. The second type(inevitable acceptance) considered multi-cultural families as a necessary evil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old bachelors' seeking marriage. The third type (NIMBY: Not in my backyard) understood various advantage of multi-cultural families but they opposed their own family's intermarriage. The fourth type(negative prejudice) considered intermarriage as trading for the benefit of each other and they had strong antipathy against multi-cultural famili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different approaches of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 four types of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 families are recommended.

국내 다문화가정의 자아존중감, 신체만족도 및 주변관계만족도가 의복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필리핀, 베트남 가정을 중심으로- (A Study of Cloth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Self-Esteem, Body-Cathexis and Personal-Relationship in Multicultural Families -Forcing on the Chinese, Filipinos and Vietnamese-)

  • 김태미;최인려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79-18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loth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self-esteem, body-cathexis and personal-relationship in multicultural families. 19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version 18.0). Self-esteem, body-cathexis, personal-relationship, clothing attitude were examined through 5-point likert scale. 3 factors including clothing interest, social approval and clothing conformity were used as clothing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self-esteem, body-cathexis, personal-relationships, clothing attitude in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self-esteem had positive influences on body-cathexis and personal-relationship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the Chinese were that body-cathexis had positive influences on social approval. The Filipinos were that personal-relationships had positive influences on clothing interest and social approval. The Vietnamese were that personal-relationships had positive influences on clothing interes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