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목적 공간

Search Result 15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Noise and Rooms Acoustic Control in Multi-Purpose Space (다목적 공간의 소음 및 실내음향 제어)

  • Jeong, Jeong-Ho;Kim, Jung-Joong;Cho, Cha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8.04a
    • /
    • pp.42-45
    • /
    • 2008
  • 다목적 공간 및 공연장은 공연 또는 강연을 위한 공간뿐만 아니라 상점, 식당 및 체육 공간 등 다양한 용도의 공간이 인접되고 있다. 다양한 공간이 인접할 경우 기존의 다목적 공연장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던 다양한 소음 진동 문제들이 발생한다. 본 연구는 강연 및 공연을 위한 다목적 공간 상부에 식당 및 체육 시설로 활용되는 공간이 배치되어 바닥충격음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바닥충격음의 강당으로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기본 구조체에 대한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측정하여 적절한 저감 대책을 수립하였다. 저감대책으로는 상층부 철골 슬래브와 강당의 철골 구조의 구조적 분리, 유연한 마감재 적용, 슬래브로의 충격진동 차단을 위한 제진재 적용, 이중천장 구조 및 천장내부 흡음구조 형성 등의 종합적인 대책을 수립하였다. 이를 통해 경량충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였다. 또한 강당 공간은 강연 및 집회의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적절한 잔향시간 및 음성 명료도 확보가 필요하다. 플러터 에코, 과도한 잔향시간, 음의 사각지대 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측벽 형태 개선, 천장 반사판 형태를 개선하였다. 또한 측벽에서 진동 등의 영향으로 발생되는 떨림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측벽 내부를 흡음재로 충전하는 등의 대책을 수립하여 적용하였다.

  • PDF

Analysis of Recognition of the Multipurpose Space Utilization in Middle School Cafeteria Space (중학교 식당의 다목적 공간 활용 인식 분석)

  • Yoon, Hong-Geun;Lee, Yong-Hwan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7 no.3
    • /
    • pp.46-53
    • /
    • 2018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chool dining space on the learning environment, such as study activity space, student self-government space, student communication and community building, as well as to suggest ways to utilize them.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research were conducted. In the literature review, the understanding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he study of the school facility space, the understanding of the school lunch, the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 middle schools, 90 middle schools, and 65 non-cooking transportation middle schools in Jeollabuk - do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status and standards of the Cafeteria dining spac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re will be a follow-up study on application of public design according to the usage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school dining space.

A Development of Multipurpose Platform for Acquisition of Subsurface Spatial Information (수중공간정보 획득을 위한 다목적용 플랫폼 개발 연구)

  • Choi, Byoung-Gil;Cho, Kw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14-416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중의 다양한 공간정보를 무인으로 획득할 수 있는 다목적용 플랫폼을 개발하는데 있다. 다목적용 플랫폼은 GPS, 음향측심기, 사이드스캔소나, 지층탐사기 등을 탑재하고 자동제어에 의한 방법으로 내수면 및 연안의 수중공간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무인 원격 수중 공간정보 획득장비를 개발함으로써, 기존의 측량선을 이용하기가 어려운 저수지, 댐 등의 지역 및 오염으로 인해 사람이 접근하기 불가능한 지역의 각종 수중정보 취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하나의 플랫폼에 다중 에코사운더, 영상센서, 수질측정 센서 등 사용목적에 맞는 센서의 장착하여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내수면과 관련된 정보의 획득을 필요로 하는 거의 모든 산업분야에서의 경제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site selection criteria and discharge capability evaluation for the multi-purpose use of a double-deck tunnel in a great depth (대심도 복층터널의 다목적 활용을 위한 입지선정 및 통수성능 평가)

  • Moon, Hoon-Ki;Kil, Ki- Oh;Song, In-Cheol;Lee, Hye-Yoo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8 no.3
    • /
    • pp.283-290
    • /
    • 2016
  • Recent, the construction of the multi-purpose double-deck tunnel is required to solve the flood protection and congested area at urban city. The multi-purpose double-deck tunnel is desperately needed for the introduction of efficient utilization of underground space in addition to the main feature of road capabilities. A basic review was performed for site selection to consider the control capability and features of road tunnel at the same time, and the processable flow in accordance with tunnels cross section of double deck tunnel. Site Selection Criteria for multi-purpose use of the double-deck tunnel has been proposed through the site selection criteria by use of the tunnels review. Also the estimation processable flow was performed to review the versatility of double-deck tunnel due to design of tunnel cross-section. Site Selection of double-deck tunnel from this study can be seen the need for a complex consideration through a variety of analyzes.

한국형다목적헬기(KMH)개발사업

  •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 Aerospace Industry
    • /
    • v.84
    • /
    • pp.4-9
    • /
    • 2004
  • KMH, 즉 한국형 다목적헬기의 개발사업이 시작되었다. 지난 10여년동안 500MD 후속기, 경전 헬기, 소형다목적헬기 등 다양한 이름으로 획득방안이 거론되었지만, 이제야 가시적인 모습을 갖추고 사업을 준비중에 있다. 사업의 소개의 앞서 한국형 다목적헬기라 명명하게 된 배경을 알아보면 한국형은 우리의 고유브랜드로 개발하고 개발된 헬기의 주사용여건이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이어진 산악과 계곡, 수시로 변하는 계곡속의 골바람, 계곡의 협소한 기동공간에서도 원활한 비행이 가능한 규모 및 기체구조 등을 고려하여 개발한다는 의미로 사막이나 대평원에서 운용하는 헬기와는 크기, 엔진추력 등 많은 부분이 상이한 특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붙여졌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maintenance methods of the multi-purpose double-deck tunnel (다목적 터널의 기능별 유지관리 방법에 대한 고찰)

  • Moon, Hoon-Ki;Song, In-Cheol;Kim, Jae-Won;Lee, Hye-Yoo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9 no.1
    • /
    • pp.83-93
    • /
    • 2017
  • Recently, the development of multi-purpose tunnel that has functions of roads and waterways has been attention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underground space. However, there is no study on the multi-functional tunnels behavior for the convert of iterative function and change of water pressure. In this study, the vulnerable section was analyzed due to repeated functional change. A basic review was implemented for the operation of the multi-purpose double-deck tunnel. Also, the vulnerable section for convert of iterative function of multi-functional tunnel has been analyzed by simulation. Management of multi-functional tunnel should considered in various analyzed and some problems. The criteria for management of multi-functional tunnels is proposed.

Behavior of double deck tunnel due to feature change and variation of ground water table (다목적 복층터널의 기능전환과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거동분석)

  • Park, No-Hyeon;Kim, Ho-Jong;Shin, Jong-Ho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8 no.6
    • /
    • pp.581-591
    • /
    • 2016
  • Several attempts to construct multi-purpose tunnel for both road and waterway have been made. The multi-purpose tunnel is mainly used as a road tunnel, however it is transferred to waterway to control flood during rainy season. The planning of the multi-purpose tunnel is recognized as cost-effective way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In case of the multi-purpose tunnel constructed beneath groundwater table, seasonal fluctuation of groundwater table and repeated flow in the tunnel may cause long-term deterioration of the tunnel system. In this study, the behavior of multi-purpose tunnel in view of groundwater table or flow in the tunnel is investigated using model test and numerical modeling method. The results have shown that rising of groundwater table caused buoyant force to the tunnel and the fluctuation of rainwater in the tunnel generated loosening of surrounding ground. It is recommend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long-term water pressure variation in the design of a multi-purpose tunnel.

Planning Feature of Open Classroom in Open Elementary School - Focused on the Open Space - (초등학교(初等學校) 열린교실(敎室)의 계획방향(計劃方向)에 관(關)한 연구(硏究) - 다목적(多目的) 공간(空間)(Open Space)을 중심(中心)으로 -)

  • Oh, Deog-Seong;Ryu, Ho-Du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6 no.4
    • /
    • pp.5-15
    • /
    • 1999
  • This study aims to suggest guidelines of open classroom in open elementary school. It consists of following three parts. The first part takes a theoretical review of open education and open classroom. And the second makes analysis of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open classroom as case studies which are analyzed in terms of modul, function and ratio of open space, etc. The last part is user need analysis of the open space.

  • PDF

MTF Compensation for KOMPSAT-1 EOC Images (다목적 실용위성 1호 EOC 영상에 대한 MTF 보상)

  • 강치호;최해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22-25
    • /
    • 2003
  • EOC(Electro Optical Camera)는 한반도 및 전 세계 육지 영역 관측용으로 설계되었다. EOC는 1999년 12월 21일 발사된 다목적 실용위성 1호에 탑재되어 가시광 대역(510 ~730nm)으로 입사하는 복사 정보를 수집해 왔다. 획득된 EOC 영상 자료는 다목적 실용위성 1호의 탑재체 자료전송 시스템(Payload Data Transmission System, PDTS)을 통해 지상으로 전송되며, 수신된 자료에 대한 방사 보정 및 기하 보정 등의 일련의 전처리(Pre-processing) 과정을 거쳐 EOC 표준 영상이 생성된다. EOC 영상에 대한 MTF 보상은 방사 보정 후 수행될 수 있으며, 다목적 실용위성 지상국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EOC 영상에 대한 MTF 보상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제공한다. MTF 보상은 EOC의 점 확산 함수(Point Spread Function)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현재 Wiener 필터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있다. 본문에서는 현재 다목적 실용위성 1호 영상처리시스템의 EOC 영상에 대한 MTF 보상을 소개하고, EOC의 점 확산 함수에 기초하여 역 필터(Inverse Filter) 및 의사 역 필터(Pseudo Inverse Filter)를 제작, EOC 영상에 대한 MTF 보상 수행 후 그 결과를 Wiener 필터를 이용한 결과와 비교, 분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