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공성 심재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2초

알루미늄 폼 코어 복합재료의 저충격 실험에 관한 연구 (Study on low impact experiment of aluminum foam core)

  • 김성수;김세환;조재웅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646-648
    • /
    • 2012
  • 본 연구에서 다루는 복합재료는 알루미늄 폼으로써 다공성 구조체로 고체 알루미늄 금속에 비하여 비중이 1/10 정도로 작고, 충격에너지 흡수가 우수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심재를 갖는 복합재료 알루미늄 폼 코어의 충격실험을 실시하여 기계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시험편은 알루미늄 폼 코어를 갖는 복합재료로써 시험편에 50J의 저 충격에너지를 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실험에서 스트라이커가 상부면재 통과 시 최대하중이 나타났고, 이때의 최대하중 값은 약 5.5 KN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대 하중 발생 시간은 50J일 때 약 4.2 ms가 나왔다. 최대 하중이 발생한 후, 즉 상부 면재 통과 후에 실험에서는 약 10 mm정도를 더 뚫으면서 심재에 까지 손상을 주었지만 하부 면재에는 손상을 주지 못하였다. 이로써 스트라이커가 알루미늄 폼 코어 샌드위치 복합재료를 통과 할 때 상부면재 통과 시 최대 하중이 발생하고 심재를 지나며 서서히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천연섬유질과 다공성 세라믹볼을 심재로 사용한 복합단열재의 물성 (Physical Properties of Insulating Composite Materials Using Natural Cellulose and Porous Ceramic Balls as a Core Materials)

  • 황의환;조성준;김진만
    • 공업화학
    • /
    • 제22권5호
    • /
    • pp.501-507
    • /
    • 2011
  • 친환경 복합단열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천연섬유질과 다공성 세라믹볼을 심재로, 활성황토를 결합재로 사용하였다. 물/결합재비 및 심재/결합재비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공시체를 제작하였으며, 공시체의 제 물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압축강도, 휨강도, 흡수성, 내열수성, 세공분석, 열전도율 및 SEM에 의한 미세조직 관찰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대 압축강도는 물/결합재비와 심재/결합재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휨강도는 심재/결합재비가 증가될수록 물/결합재비에 관계없이 높게 나타났다. 내열수성시험 후에 측정한 압축 및 휨강도는 내열수성시험 전에 측정한 값에 비하여 압축 및 휨강도 모두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내열수성시험 후에 측정한 세공분석에서 결합재의 수화반응이 촉진됨으로서 세공의 평균직경, 총세공량 및 공극률은 감소되었으나 밀도는 증가되었다. 열전도율은 심재/결합재비가 증가될수록 낮아졌다. 복합단열재의 단열성과 기계적강도가 우수하여 실용화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지붕재

  • 전국보일러설비협회
    • 보일러설비
    • /
    • 12호통권143호
    • /
    • pp.143-150
    • /
    • 2005
  • 주택외간의 품격을 좌우하는 요소인 지붕에 주로 사용되는 자재는 기와이다. 과거에는 주로 재래식 한식기와가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거의 사용되지 않고 양식기와인 스패니시 기와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이유는 외장재로 많이 사용되는 자재들과 가장 잘 어울리기 때문이지만 외벽에 돌이 사용된 경우에는 천연슬레이트가 더 적합하다. 최근에는 컬라아스팔트 슁글이 지붕재로 각광을 받고 있는데 미려한 외관을 만들 뿐만 아니라 방수효과도 뛰어나기 때문이다. 또 한 장두장 이상 겹쳐져 시공되기 때문에 내구성도 강하고, 강인한 글래스매트나 다공성 원지를 심재로 특수개질 아스팔트를 합쳐 채색된 돌입자로 표면을 처리하여 내후성 · 내변색성도 강하다. 무게도 기와의 1/5이 안돼 구조체의 하중부담을 줄여 안정성을 기할 수 있다. 이외의 지붕재로 금속제품, 유리, 태양열 주택의 집열판 등 부분적인 지붕으로 사용되는 것으로가 한때 유행했던 콘크리트 슬라이브 등을 들 수 있다.

  • PDF

샌드위치패널심재로 활용한 St/BA 개질 다공성 경량 콘크리트의 특성 (Properties of St/BA Modified Cellular Lightweight Concrete as Sandwich Panel Core)

  • 강내민;노정식;도정윤;문경주;소양섭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3년도 학술.기술논문발표회
    • /
    • pp.31-34
    • /
    • 2003
  • Sandwich panel is composed of the facing sheets which support the external load, the cellular core with the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adhesive agent to bond them. The cellular core was produced by binding lightweight cellular aggregates with cement and two types of acrylic base St/BA emulsion were added with a view to improving the workability ion due to high absorption of light weight aggregate and to develope more strength, respectively. This investigation is to comprehend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two types of St/BA on thermal conductivity, calorific value and exhaustion content of noxious gas in addition re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Flexural strength of the specimen made with St/BA-2 ranged 20kgf/cm2 to 25kgf/cm2 and was about 50% to 100% as high as that of the non-fiber specimen. Thermal conductivity was recorded from 2.0 to 3.0 kcal/mh$^{\circ}C$ and calorific value of St/BA modified specimen was much lower than that of commercial sandwich panel core of EPS and urethane. Careful caution has to be taken because generation of noxious gas such as CO, NO and SO2 tend to increase with addition of polymer cement ratio.

  • PDF

양생온도에 따른 다공성 경량골재를 활용한 샌드위치 패널심재의 강도 특성 (Strength Properties of Sandwich Panel core using Cellular lightweight Aggregate according to Curing Temperature)

  • 노정식;김대규;도정윤;문경주;소양섭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3년도 학술.기술논문발표회
    • /
    • pp.35-3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nufacture of light weight concrete panel using the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as a part of the substitution of foamed styrene and polyurethane because of narrow allocable temperature Bone in use. The experimental parameter of this study is 40, 60 and 8$0^{\circ}C$ of curing temperature at 100% relative humidity and the type of admixture such as cement, 6mm glass fiber and St/BA emulsion. Testing item is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and strength of specimen cured at standard condition is compared to that of specimen cured at 40, 60 and 8$0^{\circ}C$ of curing temperature at 100% relative humidity. As a result or this, it was revealed that the maximum or strength is developed in 6$0^{\circ}C$ or cure temperature at 100% relative humidity in case of the most of the specimen. Specimens modified by St/BA emulsion show the highest development of strength dependent on the curing tmeperature. So, it seems to be effective that evaporation curing method shoud be considered to curing the specimen as the panel core.

  • PDF

다공성 경량골재를 충전재로 활용한 샌드위치 패널 심재의 발열량 및 유해가스 배출특성 (Heating Value and Noxious Gases Generation of Sandwich Panel Core using Artifical Lightweight Aggregate)

  • 노정식;도정윤;문경주;조영국;소양섭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61-266
    • /
    • 2003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eating value and noxious gases generation such as CO, NO and $SO_2$ known as dangerous gas for human from specimen made of cement and lightweight aggregate. The most quanity of CO gas is generated in EPS(Expanded Poly Styrene), core of commercial sandwich panel. Although specimens mainly composed of cement discharged the relatively less CO gas than organic core such as EPS, specimens which SBR was added discharged the very much amount of CO gas similar to EPS and especially, specimens including foaming agent, gas foaming agent or redipersible powder of VA/VeoVa showed the good properties in the generation of CO gas. From the standpoint of the generation of NO and $SO_2$ gas, both the core of commercial sandwich panel such as EPS, Glass wool and specimens made with polymer dispersion such as St/BA and SBR discharge the very much amount of NO and $SO_2$ gas in comparison of the other specimens. From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organic materials such as core of commercial sandwich panel dischared much more noxious gas than specimens composed of cement and inorganic lightweight aggregate.

  • PDF

샌드위치 복합재료의 압축 특성에 관한 시뮬레이션 해석 (Simulation Analysis on the Compression Property of Sandwich Composite)

  • 방승옥;국정한;김세환;조재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78-48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심재를 갖는 샌드위치 복합재료의 압축해석을 수행하였다. 알루미늄 폼 및 허니컴 코어 샌드위치 복합재료의 유한요소모델은 솔리드 요소를 적용하였다. 알루미늄 폼 코어의 경우에는 유효등가손상모델을 적용하였다. 면내 압축해석에서 알루미늄 폼 및 허니컴 코어 샌드위치의 압축 최대하중이 비슷했다. 그러나 알루미늄 허니컴 코어 샌드위치의 하중 지지구간이 더 길었다. 면외 압축에서는 알루미늄 허니컴 코어 샌드위치의 압축 최대하중이 알루미늄 폼 코어 샌드위치보다 높게 나왔다. 시뮬레이션 해석을 통하여 샌드위치 복합재료의 압축 거동을 얻을 수 있었다.

발포 알루미늄으로 된 경사진 이중외팔보 시험편의 접착면에서의 전단 실험 및 시뮬레이션 해석 (Shear Experiment and Simulation Analysis at Bonded Surface of Specimen Tapered Double Cantilever Beam with Expanded Aluminum)

  • 손홍붕;전성식;조재웅
    • Composites Research
    • /
    • 제27권6호
    • /
    • pp.248-25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발포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접착 구조물에서의 접합면에 대한 파괴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도를 변수로 정하고 TDCB 시험편을 설계하였다. 이 시험편들은 길이는 200 mm이고 시험편에 대한 접착면의 경사 각도는 $6^{\circ}$, $8^{\circ}$, $10^{\circ}$$12^{\circ}$인 네 가지로 모델링을 하였다. 이 시험편들의 실험 및 해석을 분석한 결과, 경사면 각도가 $6^{\circ}$, $8^{\circ}$, $10^{\circ}$$12^{\circ}$인 경우에 시험편들의 최대 하중은 각각 약 120 N, 137 N, 154 N과 171 N으로 발생하였다. 해석의 결과 값이 실험치에 가까워져 많은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 대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접착제로 접착된 알루미늄 폼으로 된 재료의 전단 거동에 관한 물성치를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