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공률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32초

황토를 포함한 다공성 식생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및 내약품성에 미치는 보강섬유의 효과 (Effect of Reinforcing Fiber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Chemical Resistance of Porous Concrete with Hwang-toh)

  • 이진형;박찬기;박종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2A호
    • /
    • pp.105-113
    • /
    • 2011
  • 본 연구는 보강섬유의 종류(마섬유, 펄프섬유, PVA섬유, 나이론섬유) 및 혼입률(0.0%, 0.1%, 0.2%, 0.3%)이 다공성 식생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과 내약품성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시험은 섬유의 종류 및 혼입률의 변화에 따른 다공성 식생콘크리트의 압축강도, 공극률, pH, 휨강도 및 내약품성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섬유의 종류 및 혼입률은 다공성 식생콘크리트의 압축강도, 공극률 및 내약품성에 영향을 미쳤다. 섬유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 휨강도 및 공극률은 증가하였다. 그렇지만 다공성 식생콘크리트의 pH 값과 내약품성은 섬유의 종류 및 혼입률의 변화에 큰 영향이 없었다.

다공성 흡음재의 흡음률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관한 고찰 (An Experimental Study on Sou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Porous Materials)

  • 김현태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7권 2호
    • /
    • pp.53-56
    • /
    • 1998
  • 다공성흡음재의 흡음률에 미치는 요소를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흡음재의 두께, 밀도, 공기층, 표면처리, 흡음재의 조합 등에 따른 흡음률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공기층을 두고 시공하면 저역.중역에서의 흡음률이 현저히 증가하며, 유공판, 판상흡음재 등과 적절히 조합하면 보다 넓은 범위에서 좋은 흡음률을 갖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최대흡음률을 갖는 두께가 λ/4로 예상되지만, 흡음재의 구조에 따라 음의 경로의 유효길이가 늘어나 그보다 작은 두께일 것으로 예상된다.

  • PDF

바텀애시와 천연 잔골재를 혼입한 다공성 콘크리트의 단위질량과 열전도도의 상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Unit Weight and Thermal Conductivity in Porous Concrete Containing Natural Fine and Bottom Ash Aggregates)

  • 정승태;양인환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542-551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바텀애시 골재에 천연 잔골재를 혼입한 다공성 콘크리트의 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바텀애시 골재에 천연 잔골재를 사용하여 각 골재의 재료 특성을 파악 한 후, 다공성 콘크리트의 골재로 사용하였다. 물-바인더 비는 0.25으로 고정하여, 가압다짐을 0.5, 1.5 및 2.5 MPa 수준으로 지정하여 다공성 콘크리트 시편을 제작하였다. 단위질량, 총 공극률 및 열전도도 실험을 진행하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가압다짐 수준이 증가하고, 천연잔골재 혼입률이 증가하면 단위질량과 열전도도 값은 증가하였으며, 총 공극률 값은 감소하였다. 또한, 다공성 콘크리트의 단위질량과 총 공극률, 열전도도 상관관계 그래프를 제시하여 해외 실험 사례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후 실험 결과에 대한 회귀 분석을 진행하여 상관계수(R2) 값을 분석하였다.

최대입경, 공극률, 그리고 온도가 다공성 아스팔트 혼합물의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Maximum Aggregate, Porosity, and Temperature on Durability of Porous Asphalt Mixtures)

  • 유인균;이수형;박기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227-233
    • /
    • 2020
  • 다공성 아스팔트 혼합물을 이용한 도로포장은 수막현상의 저감으로 교통사고가 줄고 교통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기 때문에 수요는 점점 늘어가고 있다. 그러나 다공성 아스팔트 혼합물은 혼합물 속에 20%정도의 공극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골재의 탈리 등 내구성에 대한 우려 때문에 적용이 지연되고 있다. 따라서 다공성 아스팔트혼합물의 내구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공성 아스팔트 혼합물의 최대입경, 온도 그리고 공극률이 혼합물의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공성 아스팔트혼합물의 내구성 척도를 칸타브로 손실률로 설정하고 공극률이 20%로 동일하고 최대입경이 13mm, 10mm, 8mm인 혼합물에 대하여 상온과 저온에서 칸타브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최대입경 10mm인 동일한 재료로 공극이 20%와 22%인 혼합물에 대하여 칸타브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공극률은 20%로 동일하고 최대입경의 변화가 있는 경우 내구성의 척도인 칸타브로 손실률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실험온도에 대해서는 상온과 저온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공극률의 변화에 대해서는 20%와 22% 사이에 2% 차이 이지만 내구성에서는 분명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상되었던 결과이기는 하지만 시험과 통계적 분석에 의해 정량적으로 제시되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앞으로 다공성 아스팔트 혼합물을 위한 고점도 아스팔트 바인더를 포함한 다공성 아스팔트 혼합물의 내구성에 미치는 요소들이 정량적으로 평가되어 내구성을 향상시켜 나가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분자동역학을 이용한 다공성 물질 건조공정 멀티스케일 시뮬레이션(1부 : 균질화법 해석)

  • 금영탁;오진원;백성민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67-67
    • /
    • 2004
  • 다공성 물질을 건조하거나 습한 환경에 노출시키면 열과 수분이 외부로 전달된다. 열 및 수분 전달로 인한 은도 및 습도의 변화는 물질 체적을 변화시켜 습열 응력을 유발시킨다 즉 다공성 제품의 품질은 외양뿐만 아니라 건조 공정 시의 온도, 수분함유량, 응력, 변형률 등의 공정변수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최근까지도 다공성 물질의 생산 공정은 다수의 공정변수를 갖는 복합공정이기 때문에 이들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매우 까다로워 현장 경험에 기초한 기술자의 노하우에 의존해 왔다.(중략)

  • PDF

Hydroxyapatite 다공체의 제조 (Preparation of porous hydroxyapatite ceramics)

  • 송종택;류동우;최상흘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84-293
    • /
    • 1994
  • 분말상의 유기물인 나프탈렌, 파라핀 및 과산화수소 그리고 과산화수소와 함께 염화파라핀을 사용하여 hydroxyapatite 다공체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검토하였다. 나프탈렌 분말 입자의 양과 크기에 따라 다공체 기공의 크기와 제어가 가능했다. 또한 나프탈렌의 함량이 많아짐에 따라 기공률은 증가하지만 강도는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H_20_2$를 사용한 경우에는 해면상의 다공체를 얻을 수 있었지만, 기공률 및 성형체의 모양을 제어하기가 어려웠다. 염화파라핀 $H_20_2$를 함께 사용한 경우, 해면상의 다공체는 물론 50% 이상의 높은 기공률의 제어가 가능하였다.

  • PDF

정지수체로 방류된 연직다중\ulcorner㈏\ulcorner최소희석률 (Minimum Dilution of Vertical Multijet Discharging into Stagnant Water)

  • 김홍식;서일원;유대영;서용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2호
    • /
    • pp.153-162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정지수체에서 다공확산관을 통해 방류된 연직다중의 혼합 및 희석 특성에 대해 규명하였다. 3차원 실험수조에서 실험을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다공확산관의 병합과정을 살펴보면 흐름의 안정조건에 따라 병합거리가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 { z}_{ } }}}}/{{{{ {l}_{ } }}}}가 대략 3인 지점부터 병합이 시작되어 그 이후에는 평면부력?의 거동에 서서히 가까워짐을 알 수 있다. 최소희석률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방류운동량이 지배적인 영역, 천이영역, 그리고 부력이 지배적인 부력류영역으로 나누어 희석률 특성을 표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 다공확산관의 경우 부력류영역의 희석률 상수가 평면확산관에 비해 15% 더 높게 나왔다. 그 이유는 다공확산관의 경우 병합 이전에는 개별의 경계면에서 주변수의 포획이 발생하여 희석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 PDF

원형방풍팬스를 이용한 저층건물의 풍압저감을 위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crease of Pressure of Low-rise Building using Circle Porosity Fence)

  • 전종길;김성현;유장열;유기표;김영문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11-115
    • /
    • 2006
  • 방풍팬스의 설치에 의한 저층건물 주변의 풍압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풍압실험을 실시하였다. 방풍팬스의 다공율은 0%와 20%을 중심으로 하였다. 방풍팬스와 저층건물의 거리는 1H-9H까지 범위안에서 측정을 하였다. 사용된 풍속은 6m/s로 일정하게 하였다. 저층건물의 측압공 위치는 정면과 측면 후면을 중심으로 총 54개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다공률 20%일때는 측정거리 1H-3H일 때 다공률 40%일 때는 측정거리 4H-6H일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최대입경, 공극률, 온도가 다공성 아스팔트 혼합물의 균열저항성 및 수분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ximum Aggregate, Porosity, and Temperature on Crack Resistance and Moisture Susceptibility of Porous Asphalt Mixtures)

  • 유인균;이수형;박기수;윤강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611-619
    • /
    • 2021
  • 다공성 아스팔트 포장은 혼합물 속에 포함된 20%정도의 공극으로 인해 도로의 수막현상을 억제하여 교통사고를 줄이고 교통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등 다양한 순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다공성 아스팔트 혼합물은 혼합물 속에 포함된 20% 정도의 공극 때문에 혼합물의 내구성이 취약하게 되며, 이러한 취약한 내구성이 다공성 포장의 적용을 확장하는데 제약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공성 포장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최대입경, 온도 그리고 공극률의 변화가 혼합물의 균열저항성 및 수분민감성 등 혼합물의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다공성 아스팔트 혼합물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간접인장강도를 균열저항성 및 수분민감성의 척도로 설정하였다. 공극률이 20%로 동일하고 최대입경이 13mm, 10mm, 8mm인 혼합물에 대하여 상온과 동결융해를 경험한 시료에 대하여 간접인장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최대입경 10mm인 동일한 재료로 공극이 20%와 22%인 혼합물에 대하여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공극률은 20%로 동일하고 최대입경의 변화와 온도의 변화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험온도에 대해서는 상온과 저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최대입경의 변화에 대해서는 상온에서 8mm보다 13mm가 분명히 높은 강도를 보이고 저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공극률과 온도의 변화에 대한 실험에서는 온도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20%와 22% 사이의 2% 공극 차이는 내구성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으며 서로간의 교호작용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다공성 아스팔트 혼합물의 내구성에 미치는 요소들의 정량적인 평가를 통해 보다 내구성 있는 다공성 아스팔트포장을 개발해 나갈 필요가 있다.

바텀애시를 활용하는 다공성 콘크리트의 열전도 특성에 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rmal Property of Porous Concrete Containing Bottom Ash)

  • 정승태;김범수;박지훈;양인환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625-632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화력발전소 산업부산물이 바텀애시의 활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공성 콘크리트를 제작하여 단열 콘크리트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입도의 골재를 사용하여 골재 특성을 파악한 후, 바텀애시를 다공성 콘크리트 골재로 활용하였다. 물-바인더 비를 0.25와 0.35로 사용하고, 컴펙션에 따른 다공성 콘크리트의 재료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0.5MPa, 1.5MPa, 3.0MPa로 콘크리트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후 28일의 수중양생을 진행한 후, 단위중량, 총 공극률 및 열전도율 실험을 수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측정된 실험 결과를 토대로 다공성 및 경량 특성을 갖는 바텀애시를 활용한 다공성 콘크리트의 단위중량, 총 공극률 및 열전도율과의 상관관계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