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누진 가입도 렌즈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2초

누진 가입도 렌즈의 규격 비교 (Comparison of Progressive Addition Lenses Standards)

  • 문병연;백선목;유동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7
    • /
    • 2009
  • 국산 누진가입도렌즈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누진가입도렌즈의 광학적, 기하학적 요소를 측정하고, 국제규격에 따른 품질을 평가하였다. 방법: 국내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국내외 브랜드의 누진가입도렌즈를 대상으로 굴절력, 중심두께, 프리즘 굴절력을 측정하여, 국제규격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국내 브랜드 제품들이 해외브랜드 제품과 대등한 품질을 보였으나, 국제규격의 허용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결론: 누진가입도렌즈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므로, 국산제품이 세계시장에서 더 높은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보다 엄격한 품질관리가 필수요소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가 대학생들의 양안시기능에 미치는 영향 비교 분석 (Comparison and Analysis for the Effects of Functional Progressive Addition Lenses on Binocular Vision of University Students)

  • 김창진;김현정;김재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05-116
    • /
    • 2010
  • 목적: 단초점렌즈를 착용했던 노안 이전의 젊은 사람에게 낮은 가입도로 설계된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를 2개월 동안 교체 착용하게 하여 기존의 단초점렌즈와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와의 임상적인 성능 차이와 양안시기능에 미치는 영향 및 개선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는 평균연령 24.03${\pm}$1.87세의 대학생 32명(남자 23명, 여자 9명을 대상으로 하여 단초점렌즈와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EYE-T, Chcmilens Co., Korea, 가입도 0.75D)를 2개월 동안 착용하게 하였다. 이에 타각적 굴절이상도, 폭주근점, 조절근점, 조절용이성, 원 근거리 사위검사를 실시하였고, 피로감, 편안함, 불편함, 전반적인 만족도, 선호도와 관련된 항목들을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결과: 폭주근점 및 조절근점은 단초점렌즈보다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가까워졌다. 조절용이성은 단초점렌즈보다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톨 착용하였을 때 증가하였다. 사위는 원거리의 경우 단초점렌즈와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비슷한 양의 외사위가 측정되었고, 근거리의 경우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보다 큰 외사위가 측정되었다. 설문조사를 통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착용 직후 및 작용 2개월 후 모두 근거리 관련항목에서는 단초점렌즈보다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만족도가 증가하였으나, 전반적인 만족도, 적응 용이성, 신속한 적응, 원거리 관련항목 들은 단초점렌즈에서 더 만족하는 경향이 있었다. 설문조사를 통한 선호도가 큰 순서 및 착용 직후와 착용 2개월 후의 변화를 보면,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근거리 작업관련이 75.00%에서 81.26%로, 시각적 피로감이 50.00%에서 65.63%로, 시각적 편안함이 47.75%에서 50.00%로, 전반적인 편안함이 31.25%에서 46.88%로 선호도가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단초점렌즈보다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근거리와 관련된 양안시기능이 증가되었고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거리 시각 활동에 관련된 자각적인 만족도와 선호도 모두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을 착용하였을 때가 높아 오랜 시간 근업을 하는 대상자에게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누진렌즈 안경 처음 착용자의 적응도 분석 (Analysis of Adaptation for The first-time Progressive Lenses Glasses Wearers)

  • 심준범;심현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7-122
    • /
    • 2011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누진렌즈 처음 착용자의 적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특별한 안질환이 없으며, 근거리 시력저하가 있는 41~78세의 노안환자로 2001년부터 2011년까지 광주광역시 A안경원에서 누진렌즈 안경을 처방받은 46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별, 연령별, 원거리 굴절상태, 가입도, 누진렌즈 디자인, 과거 안경착용상태 및 유무, 난시종류, 굴절부등 등에 따른 적응도를 각각 분석하였다. 적응도 상을 착용 후 누진안경 재구매군으로, 적응도 중을 가끔 착용하는 군으로, 적응도 하를 착용 실패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전반적인 적응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02), 노안가입도(p=0.05), 누진렌즈 디자인(p=0.02)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적응 요소 중 연령별, 원거리 굴절상태, 과거 안경착용상태 및 유무, 난시상태, 굴절부등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누진렌즈를 처방할 때 성별, 노안가입도, 누진렌즈 디자인 등은 적응을 위해 고려해야 할 상황으로 사료된다.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와 단초점렌즈의 근거리 대비감도 비교 (Comparison of Contrast Sensitivity at Near Between Functional Progressive Addition Lenses and Sigle Vision Lenses)

  • 김창진;김현정;김재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81-388
    • /
    • 2010
  • 목적: 단초점렌즈를 착용했던 노안 이전의 젊은 사람에게 낮은 가입도로 설계된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를 2개월동안 교체 착용하게 하여 기존의 단초점렌즈와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와의 근거리 시각적 능력을 평가하는 대비감도 검사를 비교 분석하여 임상적인 성능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는 평균연령 24.03${\pm}$1.87세의 대학생 32명(남자 23명, 여자 9명)을 대상으로 하여 단초점렌즈와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EYE-T, $Chemilens^{(R)}$ Co., Korea, 가입도 0.75D)를 2개월 동안 착용하게 하였다. 이때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 착용 직후(1차)와 착용 2개월 후 (2차)에 원, 근거리 교정시력 측정, 근거리 대비감도 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기능성 누진가입도 렌즈 착용 전과 착용 2개월 후에 측정하여 비교한 근거리 대비감도는 모든 공간주파수 영역에서 우안, 좌안, 양안 모두 단초점렌즈보다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근거리 대비감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결론: 근거리에 관련된 시각적 능력과 질을 평가하는데 대비감도 검사가 유용하고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연령별 노안 가입도 경향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n Tendency of Addition Power with Age)

  • 김미연;김재광;김태훈;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1-135
    • /
    • 2006
  • 본 연구는 누진다초점렌즈 착용경향에 관하여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40세부터 65세까지의 중 장년층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타각적, 자각적 굴절검사를 시행하여 굴절이상을 측정하여, 노안안경 착용자의 노안 안경 가입도 분포 및 누진 다초점 착용경향에 관해 조사, 분석하였다. 가입도는 +0.75D에서 +3.00까지 검출되었고 40대 평균 가입도는 +1.18D, 50대 초반 평균가입도는 +l.55D, 50대 후반 평균 가입도는 +1.97D 그리고 61세 이상의 평균 가입도는 +2.38D로 검출되었다. 원용시력은 원시안 및 원시성 난시가 43%, 근시안 및 근시성 난시가 36%로 7% 높게 나타났고, 누진다초점렌즈 장용자중 무리한 근거리 작업으로 실내전용 다초점 렌즈를 부가적으로 사용하는 남성은 20%, 여성은 19%로 나타났다.

  • PDF

누진렌즈 안경 처음 착용자의 가입도 분석 (Analysis of Addition Power for New Wearer of Progressive Addition Lenses)

  • 주석희;심현석;심준범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47-251
    • /
    • 2013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누진렌즈 안경 처음 착용자의 가입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2001년부터 2013년까지 광주광역시 소재의 안경원을 방문한 41~78세의 노안인 사람 중에 안질환이 없고 누진렌즈 안경을 처음 처방받은 636명을 대상으로 굴절상태와, 성별, 연령대에 따른 가입도를 각각 분석하였다. 결과: 성별에 따른 가입도 차이는 남성이 1.71 D, 여성이 1.67 D로 나타났고, 굴절이상에 따른 가입도는 정시안이 1.67 D, 근시안이 1.74 D, 원시안이 1.90D로 나타났으며 연령대에 따른 가입도는 41~44세는 1.26 D, 45~49세는 1.48 D, 50~54세는 1.72 D, 55~59세는 1.84D, 60~64세는 2.10 D, 65세 이상은 2.43 D로 나타났다. 근시안의 분류에 저도근시는 1.58 D, 중등도근시는 1.48 D, 고도근시는 1.67 D로 나타났고 난시안의 분류에는 직난시는 1.80 D, 도난시는 1.64 D, 사난시는 1.65 D이었다. 결론: 누진렌즈의 가입도는 굴절이상과 난시의 종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누진렌즈안경 착용자의 가입도와 굴절이상 변화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Change of Refractive error and Addition in Progressive Eyeglasses Lens Wearers)

  • 주석희;심문식;심준범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99-404
    • /
    • 2013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누진렌즈 안경 착용자의 굴절이상 변화를 연구하였다. 방법: 2003년부터 2013년까지 광주광역시 소재의 안경원을 방문한 43~69세의 노안인 사람 중에 안질환이 없고, 누진렌즈 안경을 처방받은 244명을 대상으로 원거리 굴절상태와 연령대에 따른 원용굴절력과 가입도의 굴절이상 변화를 각각 분석하였다. 결과: 굴절이상에 따른 원용굴절력의 변화는 정시안 +0.10 D, 근시안 +0.07 D, 원시안 +0.23 D로 나타났고(p=0.000), 가입도의 변화는 정시안 +0.22 D, 근시안 +0.29 D, 원시안 +0.17 D로 나타났다(p=0.003). 연령대에 따른 굴절력 변화는 43~49세의 경우 원용굴절력 +0.08 D, 가입도 +0.30 D로 나타났고, 50~59세의 경우 원용굴절력, +0.17 D, 가입도 +0.20 D로 나타났으며, 60~69세의 경우는 원용굴절력 +0.15 D, 가입도 +0.14 D로 나타났다(p=0.046, p=0.006). 결론: 누진안경 착용자의 원용굴절력과 가입도의 변화는 모든 굴절상태와 연령대에서 점점 (+)방향으로 증가됨을 나타내었다.

파면굴절력 교정을 위한 자유형상 누진가입도렌즈 개발 (Development of Free-form PALs for Correcting Wavefront Refraction)

  • 박상배;정미숙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50-59
    • /
    • 2010
  • In this paper, two kind of free-form progressive addition lenses (PALs) were designed with Zernike polynomial surface and anatomically accurate finite presbyopic schematic eyes which have aspheric cornea, aspheric GRIN crystalline lens, aspheric retina, and Gaussian apodization factor. Geometrical and diffraction MTFs were used for the optimization process in sequence. 5th orders of Zernike polynomials were used for the evaluation of progression zones of the two examples. The target MTF was set as 0.22 at 100 lp/mm which satisfies the standard visual resolution. These examples were fabricated with a CNC diamond turning machine controlled by slow tool servo (STS). After polishing process, the wavefront aberrations were measured with a laser interferometer on the ten test points across the progression zones and then compared with three current commercially available PALs on the optical performance. Astigmatic aberrations of the examples are very lower than the three selected PALs and have more increased stabilized progressive intermediate zones and near zones. It is expected to give better clear and comfortable distance, intermediate and near visions than other conventional PALs and to improve the adaptability of presbyopic patients to PALs.

거주지별(충청남도와 경기도) 노안의 근거리 시력교정안경 착용 실태 (A Study on the Wearing Status of the Near Vision Refractive Error Correction Device for Presbyopia in Each Residential District (Chungcheongnam-do and Gyeonggi-do))

  • 김정희;이영일;강수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3-108
    • /
    • 2009
  • 목적: 사회생활이 비교적 많을 것으로 추정되는 시 지역과 사회생활이 비교적 한정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농촌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읍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의 근거리 시력교정안경 착용실태를 비교,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읍 지역과 시 지역에 위치한 안경원을 방문한 노안의 연령과 성별분포, 가입도의 크기, 노안 교정안경 종류를 각각 조사하여 거주지별 노안교정안경 착용실태를 백분율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읍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연령에 따른 노안의 시력보정안경 착용률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누진다초점안경의 착용률은 감소하고, 이중초점안경은 70대에서 가장 선호하였으며, 단초점안경은 50~60대가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안의 연령별 시력교정안경 착용률은 이중초점안경을 착용하는 사람은 한 명도 없었고, 누진다초점안경은 40~50대에서 주로 착용하였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단초점안경은 40~50대가 착용률이 높았고 70대에서 착용하는 사람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누진다초점안경의 착용률은 읍 지역이나 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안 모두 시력교정안경 가운데 가장 높았으며, 특히, 초기 노안인 40~50대에서 선호도가 높았다. 이와 같이 초기 노안에서 누진다초점안경의 착용률이 높다는 것은 향후 누진다초점안경의 착용률 향상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므로 누진다초점안경에 관한 교육의 기회가 증대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기능성누진렌즈 구매고객의 구매동향 및 양안시기능값 상관성 분석 (The Purchasing Trends of Purchase of Functional Progressive Addtions Lense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Binocular Function Value)

  • 김동민;이기영;박현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55-261
    • /
    • 2015
  • 목적: 기능성누진렌즈 구매자의 구매실태 및 동향을 파악하고, ADD 결정에 필요한 양안시기능값의 변수 상관성을 분석하여 향후 판매와 처방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법: 2011년부터 2014년까지 기능성누진렌즈를 처방받은 298명의 처방전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SPSS(Ver. 20.0)를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결과: 구매고객은 평균 나이 $27.66{\pm}11.55$ 세이며, 가입도는 $+0.73{\pm}0.36D$, ADD $+0.75{\pm}0.28D$의 처방을 받아 사용한 고객이 132명(44.33%)으로 가장 높았다. 폭주근점은 대부분이 10 cm 이내로 276명(92.62%)였다. 조절근점이 10 cm 이내로 검사된 고객의 수는 134명의 44.97%, 11~15 cm 이내는 122명의 40.94%로 두가지 검사 모두 정상 범위가 대다수이나 폭주근점에 비하면 조절근점의 측정거리가 먼 경우가 많았다. 이는 대부분의 고객들이 조절이 부족하기 보다는 조절에 도움을 요구하는 구매자들이 많았음을 시사한다. FCC(Fused cross cylinder)검사값과 ADD(가입도)검사 값은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며(p=0.00), NPC와 NPA도 p=0.001로, NPC(Near Point of Convergence)와 ADD의 상관관계는 p=0.003으로, 또한 NPA(Near Point of Accommodation)와 ADD도 p=0.005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조절근점과 허성상대조절력, 실성상대조절력과의 상관관계는 모두 p=0.00로 유의하게 조사 되었으며, ADD에 따른 근거리 관련 변수인 NPC, NPA, 나이 역시 서로 편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 대상자들의 양안시기능값은 서로 높은 상관성을 보여 정확한 검사에 의한 처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나이가 젊은 사람들이 주로 근업에 불편감을 느껴 낮은 ADD값을 처방받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초기 노안자나 조절이 부족한 경우 외 정상적인 조절을 가지고 있지만 잦은 근업으로 인해 피로도를 느끼는 고객에게 기능성누진렌즈의 설계에 따른 기대효과, 특징의 정확한 고지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