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누적효과

Search Result 55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umulative Effects of Trade Liberalization : The Case of Korean Manufacturing (무역자유화의 동태적 누적효과: 한국 제조업)

  • Park, Soonchan
    • Economic Analysis
    • /
    • v.17 no.4
    • /
    • pp.30-51
    • /
    • 2011
  • Since the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s of trade liberalization implicitly assume that trade liberalization affects economic performance only in any point in time, they inevitably are static. Static evaluations fail to account for cumulative dynamic effects of trade liberalization that affect continuously economic performance. This paper tries to fill this gap of the previous studies in this field, estimating cumulative effects of trade liberalization on economic performance by employing an dynamic version of empirical model. One of important empirical issue is controlling bias from endogeneity. To re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employes system GMM that uses lagged first-differences as instruments for level equations and lagged levels as instruments for first-differences equations. It improves upon cross-section estimators because it controls for the potential bias induced by the omission of industry-specific effects and the endogeneity of all regresso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rade liberalization in Korean manufacturing for the period from 1988 to 2005 and finds that cumulative dynamic effects of trade liberalization are present and bigger than static effects.

The Impact of Cumulative Effcet of Cash Don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기업의 기부금지출의 누적효과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Kim, Hyoung-Gu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4
    • /
    • pp.147-153
    • /
    • 2012
  • This paper has investigated the impact of corporate donation expenditure which has recently drawn great attention in Korean society on businessl performance and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causal relations. In addition, concurrent effect has been analyzed using cross-sectional data between two variables (corporate donation expenditure and business performance) while sequential effect has been examined using panel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rporate donation expenditure had a positive impact on ROA and ROS. However, PER and ROE had no impact on corporate donation expenditure Second, cumulative effcet of corporate cash donation would have a bigger impact on short-term business performance than long-term performance.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 through cash donations in the social contribution to be more aggressive in carrying out social responsibilities.

과학자 연구성과에 대한 젠더, 코호트, 조직적 요인 효과: 생화학자를 중심으로

  • Park, Chan-Ung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0 no.1
    • /
    • pp.97-124
    • /
    • 2007
  • 국내 생화학 분야 학자들의 연구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특히 젠더는 연구성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항목에 초점을 두었다. 첫째 연구성과의 특징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연구성과를 학술지 유형에 따라 SCI논문과 비SCI논문으로 구분해서 비교분석했다. 둘째, 교육기간부터 경력기간별로 연구성과에 미치는 요인이 변화할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성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모델을 대학원 기간과 졸업 이후 경력 기간별로 구성했다. 셋째, 연구성과에 대한 이론적 요인으로서 사회인구학적 요인, 조직적 요인, 그리고 이전 연구업적의 누적효과를 음이항모델을 사용해서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CI논문성과의 경우 젠더 효과는 대학원 기간 동안에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경력 초기부터 다음 기간 연구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SCI학술지 연구성과의 경우 조직적 요인 중에서 외국 학위가 중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전 연구성과 역시 누적적으로 그 후 연구성과에 영향을 주었다. 비SCI논문 수를 분석한 결과, 대학원 기간과 졸업 후 3년간 기간에는 젠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고, 졸업 후 3-6년 기간에 젠더 효과가 발견되었다. 또한 대학원 기간의 비SCI논문의 누적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Cumulative Risk and Problem Behavioral of Divorced Family's Children (누적적 위험요인과 이혼가정자녀의 문제행동과의 관련성 연구)

  • Ju, So-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 /
    • no.26
    • /
    • pp.61-86
    • /
    • 2008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umulative Risk and Behavioral Problem of children's in divorced family. The cumulative risk was Summed for each children to creative an cumulative scores. Scores on the index ranged from 0 to 12. Cumulative Risk was associated with Behavioral Problem. Moreover the analyses revealed positive, linear associated between Cumulative Risk and Behavioral Problem. Cumulative Risk predicted Problem Behavioral of Divorced Family's Children. Finding indicate that the amount of risk in Divorced Family's childrens lives was useful for determining the extent to which cumulative risk exposure plays an etiological role in Behavioral Problem.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article provided some suggestions for promoting of children welfare.

자사주매입의 정보효과 - 매입한도 확대를 중심으로 -

  • Kim, Seong-Mi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9 no.1
    • /
    • pp.69-93
    • /
    • 2003
  • 본 연구는 자사주매입에 대한 공시가 기업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것이며 공시일 전후 주가반응이 자사주매입 한도 변경에 따라 시장에서 어떻게 반응할 것인지 그리고 아직 학계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미시적인 관점에서 실제 자사주매입 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관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자사주매입 공시일 전후 유의적인 양(+)의 비정상초과수익률을 나타내었으며, 한도확대 이후 누적비정상수익률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목표매입비율이 클수록 유의적으로 누적비정상수익률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자사주 취득에 대한 저평가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예기치 않은 현금흐름은 대체로 누적비정상수익률과 양(+)의 유의적인 관계를 보여 예기치 않은 현금흐름이 많은 기업일수록 자사주매입의 정보효과가 크게 나타나 Stephens & Weisbach(1998)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자사주매입 이후 1개월의 성과를 나타내는 누적비정상수익률은 실제 자사주매입 비율과 유의적인 부(-)의 관계를 보여 공시 이후 주가가 상승할수록 목표대비 실제 자사주매입액은 감소하여 경영자가 공시 이후 주가변화추이에 따라 자사주매입 수량을 조정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Analysis of reduction effect of non-point sources pollution facility in Juam dam watershed using HSPF model (HSPF 유역모형을 이용한 주암댐 유역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효과 분석)

  • Yi, Hye-Suk;Chong, Sun-A;Choi, Kwangsoon;Kim, Dong-Sup;Lee, Seu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98-498
    • /
    • 2016
  • 광역상수원으로 활용되는 주암댐 저수지 및 동복댐 저수지가 위치하고 있는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모형을 적용하여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따른 수지개선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암댐 유역은 보성강 수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체 유역면적은 약 $1,010km^2$으로 담양군, 보성군, 장흥군, 화순군 및 순천시에 걸쳐 위치하고 있다. 비점오염원 설치지점을 고려하기 위하여 소유역별 비점오염원 부하량 산정이 가능하고 BMPs 효과분석 모의가 가능한 HSPF 유역모델을 적용하여 2011~2012년을 대상으로 유량, BOD, TN, TP 재현성을 검증하였다. 29개 소유역별 비점오염원 부하량 평가를 통해 중점관리지역을 선정하였으며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설치 시나리오 4개를 적용하여 수질개선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BOD, TN, TP 모두 주암호 유역 상류에 위치하는 보성강댐 소유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점오염원 부하량이 유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TN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누적유출고와 배수면적을 고려하여 비점오염 저감시설로 저류지를 선정하였으며 누적유출고 5 mm/d와 전체유역면적을 고려한 시나리오 1, 누적유출고 5mm/d와 산림을 제외한 유역면적을 고려한 시나리오 2, 누적유출고 24.5 mm/d와 전체유역면적을 고려한 시나리오 3, 누적유출고 24.5 mm/d와 산림을 제외한 유역면적을 고려한 시나리오 4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BOD의 경우, 2011년 조건에서 시나리오 1은 각 소유역별 평균 13.1%, 시나리오 2는 3.7%, 시나리오 3은 15.8%, 시나리오 4는 4.4%의 비점오염원 부하량 저감효과가 나타났으며 2012년 조건에서는 각 시나리오별로 평균 13.1%, 3.6%, 15.7%, 4.3%의 저감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N의 경우, 2011년 조건에서 시나리오별로 평균 10.9%, 3.0%, 13.0%, 3.6%, 2012년 조건에서도 유사한 범위로 비점오염원 부하량 저감효과가 분석되었다. TP의 경우, 2011년 조건에서 시나리오별로 평균 13.7%, 3.8%, 16.5%, 4.6%, 2012년 조건에서는 13.7%, 3.8%, 16.4%, 4.6%로 분석되었다. 주암댐 유역의 중점 관리지역을 선정하여 누적유출고 24.5mm/d와 전체유역면적을 고려한 저류지를 설치할 경우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BOD 15.8%, TN 13.3%, TP 16.5%의 저감효과로 분석되었다.

  • PDF

The Long-Term Wage Effects of Job Displacement: Frequency or Cumulative Duration of Unemployment (실직이 임금에 미치는 장기적 효과 : 실직 횟수인가 누적실업기간인가?)

  • Shin, Donggyun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27 no.3
    • /
    • pp.75-111
    • /
    • 2004
  • On the basis of data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NLSY), this paper investigates wage consequences of cumulative experience of job displacement. Unlike previous studies, we consider two measures of cumulative unemployment experience simultaneously: the total frequency and the cumulative duration of unemployment induced by job displacement. When frequency and cumulative duration compete in a wage equation, only cumulative duration remains significant for men, while only frequency matters for women. For men, a one-month increase in the cumulative duration of displacement-initiated unemployment leads to a fall in wages by 0.4 percent. This finding is quite robust with respect to various sample restrictions and/or estimation methods. For women, approximately a 2.5 percent wage reduction is associated with an additional event of displacement.

  • PDF

국제통화기금(IMF)구제금융도입과 우리나라 금융기관 주가반응에 관한 실증적 연구

  • Lee, Myeong-Cheol;Gang, Jong-Man;Park, Ju-Cheol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7 no.1
    • /
    • pp.49-6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IMF 구제금융도입과 관련된 일련의 사건들이 우리나라 금융기관 주가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여 금융기관에 대한 시장전망의 추이를 알아보았다. IMF 구제금융도입은 궁극적으로 안정된 금융시스템을 추구한다는 (+)의 효과와 금융기관구조조정에 따른 규제와 이에 드는 비용으로 인한 (-)의 효과가 혼재되어 있다. IMF 구제금융도입과 이에 따른 제도정비에 금융기관 주가가 보인 반응을 살펴보기 위하여 IMF 긴급구제금융요청, 구제금융지원협상 타결, 금융개혁관련법안 국회통과, 외채협상타결, 기업구조조정 관련법안 국회통과 등 5개를 사건일1, 2, 3, 4, 5로 하여 사건연구방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건일 1, 2, 3, 4에서는 누적평균초과수익률이 유의한 (-)의 반응을 보여 금융기관의 기업가치에 관한 부정적 반응이 나타났다. 그러나 사건일5(기업구조조정 관련법안 국회통과)를 계기로 누적평균초과수익률이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의 반응으로 반전되고 있어 금융기관에 대한 시장전망이 나아짐을 보여주었다. 둘째, 누적평균초과수익률이 일반은행과 다른 업종(증권, 종금, 보험)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다른 업종(증권, 종금, 보험)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금융기관의 누적초과수익률이 자기자본비율과 유의한 (+)의 선형관계로 나타나지 않아 IMF 충격으로 시장효율성이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또한 사건일5(기업구조조정 관련법안 국회통과)를 계기로 강력한 구조조정과정을 겪고 있는 종합금융회사를 제외하고는 누적초과수익률이 자기자본비율과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의 반응이 보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IMF 충격으로 야기된 비효율적인 시장반응이 개선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 PDF

Evaluation of Reductive Effect of Exposure Dose by Using Air Gap Apron in Nuclear Medicine Related Work Environment (핵의학과 내 작업 환경에서 공기층 납치마의 피폭선량 감소 효과 평가)

  • Lee, Wang-Hui;Ahn, Su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2
    • /
    • pp.845-853
    • /
    • 2014
  •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dose reaching the OSLD dosimeter by using the regular lead apron, and air gap apron through 3 experiments, and researched the reductive effect of air gap apron on exposure dose based on the 140 keV gamma ray radiating from $^{99m}technetium$, which is the most commonly used in nuclear medicine. As a result, when the gap between the dosimeter and 0.2mm lead plate is 0 Cm, the average value of 10 dosimeters was 0.515 mSv, and when the gap between the dosimeter and lead plate is 20 Cm, the average value of 10 dosimeters was 0.138 mSv, which shows reductive effect of dose as much as 0.388 mSv. When the gap between the dosimeter and 0.5mm lead plate is 0 Cm, the average value of 10 dosimeters was 0.296 mSv, and when the gap between the dosimeter and lead plate is 20 Cm, the average value of 10 dosimeters was 0.075 mSv, which shows reductive effect of dose as much as 0.221 mSv. As we check the cumulative dosage for 3 days, the lead apron without air layer shows average 0.239 mSv, and the air gap apron shows 0.176 mSv, which is actually reduced by 0.062 mSv. As we check the cumulative dosage for a month, the lead apron without air layer shows 0.59 mSv, and the air gap apron shows 0.54 mSv, which is reduced by 0.05 mS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