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mulative Effects of Trade Liberalization : The Case of Korean Manufacturing

무역자유화의 동태적 누적효과: 한국 제조업

  • Park, Soonchan (Department of Economics and International Trad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박순찬 (공주대학교 국제통상학과, 공주대학교 동북아통상연구소)
  • Received : 2011.07.20
  • Accepted : 2011.12.12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Since the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s of trade liberalization implicitly assume that trade liberalization affects economic performance only in any point in time, they inevitably are static. Static evaluations fail to account for cumulative dynamic effects of trade liberalization that affect continuously economic performance. This paper tries to fill this gap of the previous studies in this field, estimating cumulative effects of trade liberalization on economic performance by employing an dynamic version of empirical model. One of important empirical issue is controlling bias from endogeneity. To re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employes system GMM that uses lagged first-differences as instruments for level equations and lagged levels as instruments for first-differences equations. It improves upon cross-section estimators because it controls for the potential bias induced by the omission of industry-specific effects and the endogeneity of all regresso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rade liberalization in Korean manufacturing for the period from 1988 to 2005 and finds that cumulative dynamic effects of trade liberalization are present and bigger than static effects.

무역자유화의 파급효과를 분석한 선행 연구의 대부분은 어떤 시점에 이루어진 무역자 유화가 해당연도 또는 그 다음연도와 같은 특정시점의 경제성과(economic performance)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암묵적으로 가정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정태분석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다. 이러한 선행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는 무역자유화가 경제성과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동태적 실증분석모형을 설정하여 무역자유화의 누적효과(cumulative effects)를 분석한다. 또한 무역자유화의 파급효과에 대한 실증분석에서 제기되는 내생성(endogeneity)의 문제를 통제하기 위해 수준방정식과 차분방정식을 동시에 이용하는 동태적 패널 데이터 분석방법인 시스템 일반화적률법(system GMM)을 적용한다. 본 연구는 1988-2005년 기간의 한국 제조업을 대상으로 무역자유화의 정태 효과 및 동태적 누적효과를 추정하였는데, 무역자유화의 파급효과는 상당 기간 동안 지속되고, 동태적 누적효과는 정태효과에 비해 훨씬 더 크게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9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KRF-2009-327-B00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