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뇌 기능

Search Result 91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f cognitive load affected by cognitive ability (인지부하가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Yang, Yeong-Wook;Lim, Heui-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067-1070
    • /
    • 2011
  • 현재 뇌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분야 중에 하나이다. 뇌파나 뇌의 활동들을 분석할 수 있는 장비들이 개발되면서 더욱 활발하게 연구되어지고 있다. 기중 뇌의 기능에 대한 연구들도 화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 중에 하나이다. 뇌의 기능은 보고, 듣고, 말하고, 생각하는 등의 모든 행위들과 연관되어있다. 또한 그러한 기능들은 인지능력이라고 하기도 한다. 인지능력은 인지적, 정신적인 요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것을 인지부하라고 하고, 과도한 인지적, 정신적인 요구는 인지과부하라고 한다. 인지부하에 따라서 인지능력은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부하에 따라서 인지능력이 변화하는 정도를 실험하였다.

Statistical analysis issues for neuroimaging MEG data (뇌영상 MEG 데이터에 대한 통계적 분석 문제)

  • Kim, Jaehee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5 no.1
    • /
    • pp.161-175
    • /
    • 2022
  • Oscillatory magnetic fields produced in the brain due to neuronal activity can be measured by the sensor. Magnetoencephalography (MEG) is a non-invasive technique to record such neuronal activity due to excellent temporal and fair amount of spatial resolution, which gives information about the brain's functional activity. Potential utilization of high spatial resolution in MEG is likely to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in-depth brain functioning and underlying factors responsible for changes in neuronal waves in some diseases under resting state or task state. This review is a comprehensive report to introduce statistical models from MEG data including graphical network modelling. It is also meaningful to note that statisticians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brain science field.

A Study of Medicinal Plants for Applications in Functional Foods 1. Effects of Schizandrae fructus on the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and Blood Pressure in Rats (기능성 식품으로의 활용을 위한 한약자원에 관한 연구 1. 오미자 열수추출물이 흰쥐의 국소 뇌혈류량과 혈압에 미치는 영향)

  • 박성혜;한종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3 no.1
    • /
    • pp.34-4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changes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CBF) and blood pressure (BP) in rats, following the intravenous injection of Schizandrae fructus water extract. The measurement was continually monitored by laser-doppler flowmeter and pressure tranducer in anesthetized adult Sprague-Dawley rats for 2 hours to 2 hours and a half through the data acquisition system composed of MacLab and Macintosh computer.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was as followed. Schizandrae fructus increased the changes of rCBF in rats significantly. The rCBF of Schizandrae fructus did not change by pretreated propranolol, atropine, L-NNA and indomethacin. But the rCBF of Schizandrae fructus was increased by pretreated methylene blue. Schizandrae fructus decreased the changes of BP, significantly. The BP of Schizandrae fructus did not change by pretreated propranolol, atropine, L-NNA and indomethacin. But the BP of Schizandrae fructus was decreased by pretreated methylene blue. There results indicated that Schizandrae fructus can increase the rCBF and decrease the BP, that is related to guanylyl cyclase activity.

수학 교실에서 뇌-기반 학습에 대한 연구

  • Sin, In-Seon;Jang, Yeong-Il;Gwon, Jeom-Ry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177-195
    • /
    • 2001
  • 인간의 교수${\cdot}$학습은 본질적으로 뇌 기능과 많은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에 뇌-기반 학습에서는 우리의 뇌가 최적으로 학습하는 방식에 기초해 접근을 시도한다. 지난 30년간의 뇌에 대한 연구는 교수${\cdot}$학습에 대해서 이용할 만한 많은 정보를 제시하고 있다. 많은 교육연구가들은 뇌 연구를 기초로 뇌가 최적으로 학습하는 뇌-친화적 환경을 도입하였고, Politano & Paquin(2000)은 현행교실에 실제로 이용 가능한 뇌-기반 환경을 창조하기 위한 기초로서 10가지 요소를 제시하면서 뇌-기반 학습에서 학습자는 자신에게 익숙한 학습감각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을 통한 학습이 효과적임을 말하였다. 수학교육에서도 이와 같이 뇌-기반 학습을 배경으로 하는, 학습자의 학습감각을 고려한 교수${\cdot}$학습이 의미있다고 할 수있다. 본 연구에서는 뇌기반 학습의 의미를 고찰하고, 제 7차 교육과정이 실행되는 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1학년에 교실에 대한 학습감각을 조사하였으며, 수학 교실에서 학습자의 학습감각을 고려한 수업활동을 제시하였다.

  • PDF

Scientific Analysis of Brain-Information processing for Function Generation of Brain (두뇌 기능 구현을 위한 뇌 정보처리의 공학적 해석)

  • Lim Seong-Bin;Choi Woo-Kyung;Kim Seong-Joo;Ha Sang-Hyung;Jeon H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5.11a
    • /
    • pp.381-384
    • /
    • 2005
  • 현존하는 정보처리 시스템 중에서 가장 뛰어난 성능을 지니고 있는 것은 인간의 두뇌라고 할 수 있다. 두뇌의 정보처리 메커니즘을 보다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은 입력에 대한 정확한 인지 능력, 상황 판단 능력, 학습 및 추론 능력, 출력의 결정 능력 등의 성능 구현은 물론이며, 감정과 비교될 수 있는 시스템의 상태를 평가하여 판단 및 결정에 적용함으로써 매우 뛰어난 지능형 시스템이 쥘 수 있다. 이러한 뇌 정보처리 시스템의 구현에 앞서 본 논문에서는 생물학적인 대뇌 피질의 구조를 살피고 정보의 처리 영역을 고찰하고 정보의 흐름을 소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뇌 정보처리 메커니즘을 공학적인 측면에서 해석해 보았다. 특히, 뇌 영역의 기능 및 구조적인 특징, 정보의 처리과정 등을 공학적으로 해석하였으며 이는 뇌의 기능을 모방한 공학적인 모델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기초가 될 것이다.

  • PDF

The impact of functional brain change by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effects concerning circadian rhythm and chronotype (일주기 리듬과 일주기 유형이 경두개 직류전기자극에 의한 뇌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 탐색)

  • Jung, Dawoon;Yoo, Soomin;Lee, Hyunsoo;Han, Sanghoon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33 no.1
    • /
    • pp.51-75
    • /
    • 2022
  •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is a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that is able to alter neuronal activity in particular brain regions. Many studies have researched how tDCS modulates neuronal activity and reorganizes neural networks.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e effect of brain stimulation because the studies are heterogeneous with respect to the stimulation parameter as well as individual difference. It is not fully in agreement with the effects of brain stimulation. In particular few studies have researched the reason of variability of brain stimulation in response to time so far. The study investigated individual variability of brain stimulation based on circadian rhythm and chronotyp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morning type and evening typ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Zoom meeting which is video meeting programs. Participants were sent experiment tool which are Muse(EEG device), tdcs device, cell phone and cell phone holder after manuals for experimental equipment were explained.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make a phone in frount of a camera so that experimenter can monitor online EEG data. Two participants who was difficult to use experimental devices experimented in a laboratory setting where experimenter set up devices. For all participants the accuracy of 98% was achieved by SVM using leave one out cross validation in classification in the the effects of morning stimulation and the evening stimulation. For morning type, the accuracy of 92% and 96% was achieved in classification in the morning stimulation and the evening stimulation. For evening type, it was 94% accuracy in classification for the effect of brain stimulation in the morning and the evening. Feature importance was different both in classification in the morning stimulation and the evening stimulation for morning type and evening typ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brain stimulation can be explained with brain state and trait. Our study results noted that the tDCS protocol for target state is manipulated by individual differences as well as target state.

Usefulness of Functional MRI for the study of concentration sheet (Functional MRI를 이용한 학습집중력 향상 시트 개발)

  • Kim, Chang-Gyu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13-17
    • /
    • 2009
  • In this thesis, we made a sheet to improve the concentration of study. To demonstrate the improvement in the concentration of study, we obtaine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which has superior time resolution and measures brain noninvasively by using intrinsic contrast agent. As a result of Brainwave measurement, we could verify the blood flow's activate in the nearby frontal lobe related to memory process and noticeable ratio change in absolute alpha wave and beta wave after the analysis of Brainwave measurement. fMRI ascertains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the brain and is being used to prevent the trouble medically that can be caused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For the visibility of cranial nerve network, many researches will be carried out to develope the product which is related to brain like concentration of study.

  • PDF

인체의 신비와 건강ⅩⅢ- 뇌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32 no.1 s.350
    • /
    • pp.8-15
    • /
    • 2008
  • 뇌는 신경 세포가 모여 신경계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부분으로 척수와 함께 중추 신경계를 이루어 온몸의 신경을 지배하고 있다. 숨쉬기에서 눈을 깜박이는 것까지 여러 가지 운동능력은 말할 것도 없고, 기억하고 사고하고 판단하는 능력까지 조절하는데 뇌의 기능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신체의 외부와 내부에서 다양한 신호를 전달받은 뇌는 이에 대해 우리 몸을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명령을 내리는 것이다. 이번 호에서는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신경과 정재면 교수의 도움말로 인체의 신비 '뇌'에 대해서 알아본다.

  • PDF

Gender differences in age-related decline of regional cerebral glucose metabolism: implications for the gender differences in frontal function (연령 증가에 따른 전두엽 포도당대사 저하의 남녀 차이)

  • Lee, Eun-Ju;Cho, Sang-Soo;Yun, Eun-Jin;Kim, Yu-Kyeong;Lee, Won-Woo;Kim, Sa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5.05a
    • /
    • pp.212-215
    • /
    • 2005
  • 연령의 증가에 따른 신경원의 활성화도 변화는 기억 및 집행기능 등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어떠한 뇌 영역의 기능적 저하가 연령증가에 따라 남자와 여자에서 차별적으로 인지기능의 변화를 가져오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F-18 FDG PET을 이용하여 78명의 정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뇌 포도당 대사량을 조사하였다. 남녀가 공통적으로 연령증가에 따라 뇌 포도당 대사량의 저하를 보이는 영역은frontal lobe과 left insula, right anterior cingulate gyrus, bilateral caudate body, thalamus. right corpus callosum 이었다. 여성의 경우 남성과 달리 추가적으로 right caudate와 bilaterial thalamus에서 연령과 뇌 포도당대사량 간에 부적 상관을 보이고 있었다(P < 0.001 uncorrected). 남녀 모두에서 연령이 증가하면서 포도당 대사 저하를 보이는 right inferior frontal gyrus는 여자에게서만 포도당대사 감소비율이 유의하게 컸다. 남녀에서 보이는 이러한 노화 과정 동안의 뇌 포도당 대사의 저하율의 차이가 여성과 남성의 연령증가에 따른 인지적 기능의 차별적 저하에 대한 설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PDF

The Preliminary Study of Odorant Induced fMRI using an Apparatus of Smell Stimulation Controller (후취자극 제어장치를 이용한 후각 fMRI의 기초연구)

  • 강원석;백문영;이현용;신운재;정순철;민병찬;김재형;은충기;문치웅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2 no.2
    • /
    • pp.157-16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후취자극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후각자극에 대한 인간의 뇌의 활성화 영역을 뇌기능자기공명영상(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 fMRI)장치로 측정 또는 가시화하고 이의 임상적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우선 후각에 이상이 없고 코 수술 경험이 없는 오른손잡이 피험자 4명을 대상으로 5번에 걸쳐 Echo Plannar Imaging(EPI)에 의한 혈액산소농도의존(blood oxygen level dependent : BOLD)법을 이용하여 후각자극에 의한 뇌기능자기공명영상 실험을 수행하였다. 후각자극은 MRI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후취제어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제시된 향은 천연 향의 일종인 lavender-like fragrance를 사용하였다. 향의 제시는 후각의 피로도를 감안하여 3회의 휴식기관과 2회의 자극기간을 각 30초씩 번갈아 시행하였으며, 동시에 5초 간격으로 각 절편 당 30 영상을 연속적으로 획득하였다. Correlation법으로 0.4∼0.7의 문턱치(threshold)범위에서 통계 처리된 뇌의 활성화 영상은 EPI영상과 같은 부위의 T1 강조영상에 overlapping 시켰다. 호흡에 의한 artifact를 제거하기 위해 실험실에 만든 장치로 호흡을 측정하여 post-processing 할 때 반영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fMRI 영상의 신호변화를 관찰하여 활성 영역의 위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후각자극에 의해 뇌의 전두엽 피질(frontal cortex), 소뇌(cerebellum), 그리고 뇌교(pons)에서 활성화된 신호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측두엽(temporal lobe)과 뇌섬(insula)에서도 의미 있는 신호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일차 후각영역인 piriform cortex와 entorhinal cortex, amygdaloid complex, 그리고 이차후각영역인 orbitofrontal cotex에서는 그다지 많은 빈도로 신호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BOLD법을 이용한 fMRI에 의하여 후각자극에 대한 뇌의 활성화영역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후각자극에 대한 뇌의 기능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정량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