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뇌파

Search Result 1,15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Comparison of occurrence rate of the epileptiform discharge between awake EEG and sleep EEG in childhood epilepsy (소아청소년 간질 환자에서 수면 뇌파와 각성 뇌파의 간질파 발현율의 비교)

  • Jung, Yu Jin;Kwon, Kyoung Ah;Nam, Sang Ook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51 no.8
    • /
    • pp.861-867
    • /
    • 2008
  • Purpose : We carried out this study to determine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occurrence rate of the epileptiform discharge between awake EEG and sleep EEG and if there are any factors influencing on the occurrence rate of EEG.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178 epileptic children who had visited neurology clinic of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2005 to July 2006. The medical and EEG records of these children who had had both awake EEG and sleep EEG were reviewed. We analysed the occurrence rate of the epileptiform discharge between awake EEG and sleep EEG. We investigated the related clinical factors which included sex, seizure types, underlying causes, age at first seizure, antiepileptic drug (AED) medication, age at recording, and background activity. Results : Among 178 epileptic children, 91 patients (51.1%) showed epileptiform discharge in awake or sleep states, 10 patients (11.0%) abnormal only in awake, 40 patients (44.0%) abnormal only in sleep, 41 patients (45.0%) abnormal in both awake EEG and sleep EEG. The occurrence rate of sleep EEG was 81 of 178 patients (45.5%) which was more than that of the awake EEG (28.7%) (P<0.001). The occurrence rate of sleep EEG is more than that of the awake EEG regardless of sex and underlying causes.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awake EEG and sleep EEG in finding the epileptiform discharge in the patient with generalized seizure, younger than 5 years old at first seizure, younger than 10 years old at recording, no antiepileptic medication, and abnormal background activity. Conclusion : The sleep EEG is thought to be more helpful in the diagnosis of childhood epilepsy.

뇌파를 이용하여 다수의 집중이 집중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Kim, Byun-gon;Kim, Myung-Soo;kwon, Oh-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825-826
    • /
    • 2016
  • 최근 뇌파에 대한 연구가 아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뇌파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뇌파센서를 이용하여 뇌파를 수집하고 뇌파의 주파수 분석 등을 이용하여 뇌파를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NeuroSky 사의 mindwave mobile 뇌파 센서를 이용하여 뇌파를 수집하여 집중도를 분석하였다. 사람 사이에 교류하고 소통하는 과정에서 뇌파의 공명 현상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고 한다. 또한 보통의 경우 어떤 일을 할 때, 많은 사람의 응원을 받으면 응원을 받지 않는 경우보다 잘 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여러 사람의 응원이 한 사람의 집중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지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한사람이 집중할 경우보다 여러 사람이 같이 집중할 때 집중도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무자각 사용자 인증을 위한 실용적 뇌파인증 기술 - EEG 기반 인증기술 동향 및 요구사항 분석 -

  • CHO, JIN-MAN;Ko, Han-Gyu;Choi, Daeseon
    • Review of KIISC
    • /
    • v.27 no.1
    • /
    • pp.39-4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생체인식 인증의 한 가지 방법인 뇌파 기반 사용자 인증기술의 최신 기술동향에 대해 고찰하고 해당기술의 실용화를 위해 해결해야 할 기술적 문제점과 요구사항에 대해 분석한다. 뇌파 기반 사용자 인증기술은 최근에 스마트폰,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생체인식 인증기술과 비교해볼 때 가변성, 유출 저항성 등의 장점이 있지만, 사용자들로부터 뇌파를 수집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의 경제성, 뇌파 수집 행위의 사용자 편의성, 현재까지 발표된 뇌파 기반 사용자 식별 기법들의 안정성 등이 개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관련하여 뇌파 측정 장비들의 발전 동향을 살펴보고 해당 장비들의 간소화와 인증정확도 간 트레이드오프(trade-off)와 최신 기계학습 및 인공지능 기술들을 활용한 뇌파 기반 사용자 식별 기법들의 안정성을 위해 해결되어야 할 뇌파의 시간차 문제 및 이에 따른 인증정확도 저하 문제를 규명하고 분석한다.

The Comparison of EEG Changes in Performing EEG Interface Game and Computer Game (뇌파 인터페이스 게임과 컴퓨터 게임의 수행에 따른 뇌파 변화 비교)

  • 민윤기;이강희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3 no.1
    • /
    • pp.17-24
    • /
    • 2000
  • 본 연구는 일반 컴퓨터 게임과 뇌파를 이용한 바이오피드백 게임의 수행에 따른 뇌파의 변화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뇌파는 게임을 수행하는 동안 변화된 slow alpha파와 fast beta파의 relative power change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였다. slow alpha파와 fast beta파만을 분석한 이유는 두 뇌파 유형이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게임 상황에서 수행자의 정신활동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고려되었기 때문이다. 두 가지 게임을 수행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누어 안정기와 비교하여 변화된 뇌파를 비교,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뇌파 게임은 수행 전반기에 비해 후반기에 slow alpha파가 증가하였고, 이와는 반대로 컴퓨터 게임은 전반기에 비해 후반기로 갈수록 fast beta파가 증가하였다. 특히 이러한 변화는 F3, Fp2, 그리고 T4 부위에서 두드러지게 관찰되었다. 이는 뇌파게임이 일반 컴퓨터 게임에 비해서 안정된 정서를 발달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EEG-Based Password System Fit for Lifecaretainment (라이프케어테인먼트에 적합한 뇌파 기반 패스워드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Yang, Gi-Chul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8
    • /
    • pp.525-530
    • /
    • 2019
  • Electroencephalography(EEG) studies that have been in clinical research since the discovery of brainwave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into brain-computer interface studies. Currently, research is underway to manipulate robot arms and drones by analyzing brainwave. However, resolution and reliability of EEG information is still limite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various technologies necessary for measuring and interpreting brainwave more accurately. Pioneering new applications with these technologies is also important. In this paper, we propose development of a personal authentication system fit for lifecaretainment based on EEG. The proposed system guarantees the resolution and reliability of EEG information by using the Electrooculogram and Electromyogram(EMG) together with EEG.

Research of electroencephalogram(EEG) program which influences on the learning improvement of the gifted (영재학습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뇌파 프로그램 연구)

  • Lee, Kil-Jae;Kwon, Hyung-Ky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1a
    • /
    • pp.365-372
    • /
    • 2007
  • 뇌파는 대뇌피질에 분포하는 신경세포의 활동을 객관적으로 명확하게 표현해주기 때문에 학습자의 두뇌기능을 과학적으로 평가해준다. 따라서 학습에 의한 직접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두뇌사고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두뇌기능 상태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또한 학습자의 학습과정에서의 활성뇌파를 분석 해봄으로써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뇌파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습 및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와 관련된 뇌파연구를 고찰함으로써 영재아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뇌파 분석 및 조절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Interface System for Inducing and Monitoring Brain-Wave Activity (뇌파 유도 및 모니터링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 및 효과성)

  • 이강희;민윤기;이방형;민병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91-96
    • /
    • 2000
  • 본 연구는 이러한 뇌파 바이오피드백 원리를 적용하여 뇌파를 유도하고 유도된 상태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뇌파 상태를 조절하도록 하는 장치로 개발된 Q0jump 시스템의 효과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에 있어서 뇌파 측정 장비와 Q-jump를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Q-jump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또한 뇌파유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그 효과성을 입증하려 했다. 그 결과 Q-jump 시스템과 뇌파 측정장비에서 얻어진 결과가 유의한 상관을 가짐을 보았다. 상대적 출현량에 있어서 뇌파 유도프로그램을 사용했을 때, 전두엽 부분에서 slow alpha 는 유의한 증가를, fast beta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후속 연구에 있어서는 통제집단을 이용한 보다 면밀한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

  • PDF

EEG Signals Measurement and Analysis Method for Brain-Computer Interface (뇌와 컴퓨터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파 측정 및 분석 방법)

  • Yeom, Heog-Gi;Jang, In-Hun;Sim, Kwee-B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8.04a
    • /
    • pp.147-150
    • /
    • 2008
  • 사람과 컴퓨터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보다 편리하고 몸이 불편한 사람들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사람의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Interface하기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생체신호에는 뇌파, 근전도, 심전도,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를 위해 사용자의 가장 많은 정보를 내포하고 있는 뇌파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세계 여러 나라에서 뇌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뇌파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정확한 뇌파분석을 위한 뇌파 유발 자극 방법 및 측정법을 제안하고 사람이 몸을 움직이고자 하는 상상을 할 때 ERS(Event-Related Synchronization), ERD(Event-Related Desynchronization)를 분석함으로써 사람의 의도를 뇌파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 PDF

과학창의적 과제 수행 중 과학영재와 일반아의 뇌파 비교분석

  • 하종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05a
    • /
    • pp.127-130
    • /
    • 2003
  • 본 연구는 과학영재교육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의 효과적인 성취를 가져오기 위해선 우선 영재 판별의 시도가 다양해져야 한다는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그 동안 영재 판별은 주로 인지수행의 결과적인 측면을 다루었다고 본다면, 본 연구는 인지수행의 과정적인 측면을 다루었다고 할 수 있다. 인지수행의 과정적인 측면은 뇌기능의 활동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따라서 뇌의 활동성에 대한 뇌파측정 방법을 통해 좌.우뇌 기능상에서의 뇌파특성을 파악해 보므로써 영재성 판별의 한 방법으로서 그 가능성의 단초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주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영재성 판별 및 뇌기능 연구방법과 뇌의 정보처리과정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중 과학영재아 11명, 일반아 10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PC용 뇌파측정기를 통해 이들의 뇌파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다음 표는 과학영재아 및 일반아의 아무런 과제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의 기본뇌파와 과학 창의적 과제를 수행중인 상태에서의 뇌파를 좌뇌와 우뇌의 뇌파 활성도별로 그 차이를 분석한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a High-Performance Bipolar EEG Amplifier for CSA System (CSA 시스템을 위한 양극 뇌파증폭기의 개발)

  • 유선국;김창현;김선호;김동준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0 no.2
    • /
    • pp.205-212
    • /
    • 1999
  • When we want to observe and record a patient's EEG in an operating room, the operation of electrosurgical unit(ESU) causes undesirable artifacts with high frequency and high voltage. These artifacts make the amplifiers of the conventional EEG system saturated and prevent the system from measuring the EEG signal. This paper describes a high-performance bipolar EEG amplifier for a CSA (compressed spectral array ) system with reduced ESU artifacts. The designed EEG amplifier uses a balanced filter to reduce the ESU artifacts, and isolates the power supply and the signal source of the preamplifier from the ground to cut off the current from the ESU to the amplifier ground. To cancel the common mode noise in high frequency, a high CMRR(common mode rejection ratio) diffferential amplifier is used. Since the developed bipolar EEG amplifier shows high gain, low noise, high CMRR, high input impedance, and low thermal drift, it is possible to observe and record more clean EEG signals in spite of ESU operation. Therefore the amplifier may be applicable to a high-fidelity CSA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