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뇌졸중 후 우울증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6초

좌반구 뇌졸중후 우울증 환자에서 우반구 뇌경색이 수반된 급속 순환형 이차성 양극성장애 1례 (A Case of Rapid Cycling Secondary Bipolar Disorder Following Rt. Hemisphere Cerebral Infarction in a Patient with Preceeded Left Hemisphere Poststroke Depression)

  • 장호균;이호택;백주희;이상연
    • 정신신체의학
    • /
    • 제6권1호
    • /
    • pp.79-84
    • /
    • 1998
  • 저자들은 뇌졸중후 우울증보다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뇌졸중후 양극성장애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하였다. 좌반구 기저핵 뇌경색이후 뇌졸중후 우울증을 앓아오던 환자에서 조증 에피소드가 발병하여 원인을 규명하는 과정에서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결과, 이차성 양극 성장애와 연관되는 것으로 보고되어온 우반구 기저핵의 새로운 뇌경색이 밝혀졌다. 한 환자에서 좌반구 뇌졸중이후 우울증, 우반구 뇌졸중이후 양극성장애의 발생이 시간적 연관성을 보였으며, 한편 뇌졸중후 우울증과 이차성 양극성장애 각각이 병변 위치와 특이한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문헌 고찰에 의하면, 이차성 조증이 주로 피질의 병변과 연관성을 보이는 반면, 양극성 장애는 피질하 병변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왔으며, 이차성 조종의 위험인자로는 정신장애의 가족력과 경한 피질하 위축이 제시되었다. 이 증례에서도 우반구 피질하 병변과 경한 피질하 위축이 관찰되었다. 뇌졸중 병변위치와 기분장애의 상관성 및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는, 일차성 기분장애의 신경생물학적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임상에서도 뇌졸중 환자의 정신증상 치료에서 조중 유발의 위험성을 인식하는데 도움이 될수 있을 것이다.

  • PDF

뇌졸중 후 우울증의 진단과 치료 (Diagnosis and Treatment of Poststroke Depression)

  • 김재민;신희영
    • 생물정신의학
    • /
    • 제12권2호
    • /
    • pp.89-97
    • /
    • 2005
  • Depression is a frequently developed psychiatric symptom after stroke. Poststroke depression(PSD) causes not only psychological distress related to depression but also other disturbances in many areas such as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Therefor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ccurate detection and appropriate treatment of depression is mandatory in patients with stroke. This review focused on the current knowledge of PSD.

  • PDF

뇌졸중 환자의 우울 및 사회인지 능력에 대한 인지자극순환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Cognitive Stimulation Circulative Program on the Depression and Social Cognitive Ability of Stroke Patients)

  • 도지혜;김은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439-446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후 발생가능한 정서적, 사회인지 문제의 중재를 위해 작업 치료에 기초한 인지자극순환프로그램(CSCP ; Cognitive Stimulation Circulative Program)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12명의 뇌졸중 환자가 참여하였고 CSCP는 인지과정을 촉진시키는 방법으로 조직화되었으며 총 16회기의 순환 프로그램으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우울증 척도와 관계 변화 척도, 삶의 질 평가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피험자의 우울증 척도와 역할의 물리적 및 사회적 인지 기능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관계 변화 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p<.05). 또한, 삶의 질 영역 중에서 신체적 역할, 사회적 기능의 항목에서 의미있는 향상이 있었다. CSCP가 뇌졸중 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사회인지 기능을 향상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율적인 중재 프로그램으로 사용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가상현실 게임이 노인 뇌졸중 환자의 우울, 대인관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Virtual Reality Game on Old Patient's Depression,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 신경은;오명화;정현애;김희동
    • 재활복지
    • /
    • 제21권4호
    • /
    • pp.101-118
    • /
    • 2017
  • 본 연구는 가상현실 게임이 노인 뇌졸중 환자의 우울, 대인관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65세 이상의 뇌졸중 노인 40명으로, 전통적 작업치료만 실시한 대조군과 전통적 작업치료와 2인이 함께 가상현실 게임을 수행한 실험군에 각각 20명씩 무선배치하여 총 12주간 실시하였다. 실험군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게임은 Nintendo Wii Sports Resort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대상자의 심리 사회적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우울증 척도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대인관계 변화 척도(Relationship change scale; RCS), 삶의 만족도(Life Satisfaction Index-Z; LSI-Z)를 이용하여 실험 전과 실험 후의 평가를 시행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심리 사회적(우울, 대인관계)변화를 살펴본 결과 우울은 두 군 모두, 대인관계는 실험군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났다(p<.001). 둘째, 삶의 만족도의 변화를 본 결과 대조군(p<.05), 실험군(p<.001)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우울, 대인관계 및 삶의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본 결과 우울증, 대인관계는 삶의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2인이 함께 수행하는 가상현실 게임이 뇌졸중 노인환자의 심리 사회적요인(우울, 대인관계)과,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이 알 수 있었다.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신경 및 정신 증상간 상호관계 (Correlations between Neurologic and Psychiatric Symptoms in Acute Stroke Patients)

  • 강희주;배경열;김성완;김재민;신일선;박만석;조기현;윤진상
    • 정신신체의학
    • /
    • 제20권2호
    • /
    • pp.98-104
    • /
    • 2012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급성기에 신경 및 정신 증상간의 연관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뇌졸중 환자 412명을 대상으로, 신경증상 중 뇌졸중의 심각성는 미국국립보건원 뇌졸중척도(NIHSS), 일상생활 수행장애는 바델지수(BI) 및 수정 랑킨척도(mRS), 인지기능은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K-MMSE), 그리고 근력은 표준화된 악력측정을 통해 평가하였다. 정신증상은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를 통해 9가지의 증상영역(신체화, 강박증, 대인예민성, 우울, 불안, 적대성, 공포불안, 편집증, 정신증)과 한가지의 부가적 항목을 조사하였다. 신경 및 정신 증상간 연관성은 입원 당시와 퇴원직전(뇌졸중 치료시작 전과 후)에 각각 분석하였다. 결 과 : 입원 당시 NIHSS 점수는 공포불안 및 부가항목과 연관이 있었고, BI와 mRS 점수는 우울, 공포불안, 그리고 부가항목과 연관성을 보였다. 퇴원 당시의 NIHSS 점수는 신체화, 우울, 공포불안, 부가 항목과 연관이 있었고, BI와 mRS 점수는 우울, 공포불안, 부가항목과 연관이 있었으며, MMSE 점수는 강박증, 우울, 공포불안, 부가 항목과 연관을 보였고, 악력은 신체화, 우울, 불안, 부가항목과 연관되었다. 결 론 : 뇌졸중의 급성기에는 신경 증상이 심할수록 우울, 공포불안, 수면 및 식욕 장애 등 정신 증상이 동반될 가능성이 높았다. 뇌졸중 후 신경증상이 심각한 환자에 대해 신경학적 치료와 함께 적극적인 정신과 치료가 필요하다.

  • PDF

뇌졸중후우울증의 유병율 및 예측인자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Post-Stroke Depression)

  • 강희주;배경열;김성완;김재민;신일선;김준태;박만석;조기현;윤진상
    • 우울조울병
    • /
    • 제9권2호
    • /
    • pp.57-63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epression within two weeks after stroke. Methods : A total of 362 stroke patients were recruited. Depression (major and minor depressive disorders) was diagnosed by applying DSM-IV criteria. Data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gender, education, marital state, living state, religion, occupation, income, life event, and social support), stroke severity (NIHSS), disability (BI), stroke hemisphere and location, vascular risk and disease, and previous history of stroke and depression were obtained. Results : Depression was present in 90 (24.9%) patients: major depression 29 (8%) and minor depression 61 (16.9%) patients. In the univariate analyses, depression was associated with older age, higher number of stressful life event, poorer social support, severe disability, anterior stroke location, previous history of stroke and depression. In the multivariate analyses, depression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higher number of stressful life events and poorer social support. Conclusion : Depression was common and was determined by premorbid levels of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stroke patients at acute stage. More intensive psychiatric care and intervention is needed for the high risk group.

뇌졸중 환자의 장애 회복이 뇌졸중 후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covery of disability on Post-stroke Depression)

  • 하미숙;박민철;구봉오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623-632
    • /
    • 201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recovery of disability on post-stroke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Methods : Fifty patients with strok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roke impact scale(SIS) was used to assess the recovery of disability according to stroke and 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SGDS) was used to assess the poststroke depression(PSD). Results : The suspicious for depression were exhibited in 38%(n=19) and patients with depression were 58% (n=26) of 50 patients with stroke. In correlation between recovery of disability and depression, emotion and recovery of stroke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p<.05). Conclusion : These results demonstrates that patients with stroke need to manage and treat emotion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SD.

뇌졸중 환자에서 Dexamethasone 억제검사의 의의 (Significance of 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 김욱년;김성민;기병수;박미영;하정상;변영주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63-71
    • /
    • 1994
  • 뇌졸중이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1992년 6월 1일부터 1993년 6월 30일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신경과에 입원한 뇌경색 42례, 뇌출혈 20례 등 총 62례 환자대상군과 대조군 21례를 대상으로 뇌졸중의 각 유형, 병변부위, 병변크기, 운동장애정도, 연령 및 성별 등이 DST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뇌경색군에서 혈청 cortisol기저치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p<0.01), DST 비억제반응의 빈도는 뇌졸중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뇌졸중군 중에서 좌측 대뇌반구의 병변이 DST 비억제반응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1). 뇌졸중의 병변크기가 심할수록 DST 비억제반응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P<0.01) 뇌졸중의 각 유형, 운동장애 정도, 연령 및 성별등은 DST 비억제반응의 빈도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로 미루어 볼때 뇌졸중이 HPA축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고, 뇌졸중 유형중에는 뇌경색이 가장 많은 장애를 초래하며, 뇌졸중의 병변부위에 따라서는 좌측 대뇌반구가 가장 많은 장애를 야기하며, 병변이 클수록 더 많은 장애를 초래함을 알 수 있어 뇌졸중후 나타나는 우울증등의 시상하부와 연관된 환자에게는 항 우울제투여로 임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향후 뇌척수액의 신경전달물질 검사 및 뇨의 catecholamine대사산물 측정 등 지속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뇌졸중후 우울증의 정도와 운동기능의 회복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The correlation between post-stroke depression and the recovery rate of motor functions)

  • 박세진;박상동;이정훈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1-106
    • /
    • 2002
  • Objectives : The degree of post-stroke depression was observed and then correlated to the recovery rate of the motor functions of the above treated stroke patients. Methods : The BDI SCALE(Beck Depression Inventory Scale) and motor grades of 50 diagnosed stroke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in Dong-Seo Oriental Hospital between the period of May 2002 to September 2002 were measured. After a 1 month recovery period the BDI SCALE and motor grade of the above mentioned patients were again measured and a correlation was observed. Results : A lower BDI SCALE was observed in patients with a higher motor grade recovery rate. Conclusion : The treatment of post-stroke depression is imperative for positive effects on the motor functions of stroke patients.

  • PDF

뇌졸중 후 우울증에 대한 황련해독탕 약침의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를 위한 임상 시험 (The Clinical pilot study of Hwangryunhaedok-tang Pharmacopunctue therapy on Post-stroke depression)

  • 제준태;이상관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7-73
    • /
    • 2010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icacy and safely of Hwangryunhaedok-tang Pharmacopuncture (HHT-PA) therapy on post-stroke depression (PSD) in stroke patients. Methods : Fifteen PSD patients has been recruited and evaluated with liver function test (LFT) and renal function lest (RFT) and depression scales, Beck Depress ion Inventory (BDI) and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AM-D) before and after HHT-PA treatment. Results : HAM-D sco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HHT-PA treatment regard less of improving of motor function. But BDI score did not decrease significantly. All results of LFT and RFT were in normal range before and after HHT-PA treatment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ed that HHT-PA decrease PSD symptoms and has safety on stroke patients, although has no effect on improving of motor impair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