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ificance of 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뇌졸중 환자에서 Dexamethasone 억제검사의 의의

  • Kim, Wook-Nyeon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Seong-Min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ee, Beung-Su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Park, Mee-Young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Hah, Jung-Sang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Byun, Yeung-Ju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김욱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김성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기병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박미영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하정상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변영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Published : 1994.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troke on hypothalamic-pituitary axis using 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 The effect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age, sex, type, size, and lesion site of stroke. These tests were performed in 62 patients with stroke(cerebral infarction, 42 cases : intracerebral hemorrage, 20 cases) and 21 disabled controlled patients without intracranial diseases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1992 to June 1993. The results summarized as follows. 1. Cerebral infarc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DST non-suppression in stroke patients than control(p<0.05). 2. Patients with left hemisphere stroke showed more frequent abnormal neuroendocrine test results(p<0.01) 3. Patients with large infarction revealed strongly non-suppressed DST results(p<0.01). 4. Sinificantly higher basal cortisol level in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was noted(p<0.01). 5. There a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DST results and sex, age, motor impairment, type of cerebral infarction.

뇌졸중이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1992년 6월 1일부터 1993년 6월 30일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신경과에 입원한 뇌경색 42례, 뇌출혈 20례 등 총 62례 환자대상군과 대조군 21례를 대상으로 뇌졸중의 각 유형, 병변부위, 병변크기, 운동장애정도, 연령 및 성별 등이 DST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뇌경색군에서 혈청 cortisol기저치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p<0.01), DST 비억제반응의 빈도는 뇌졸중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뇌졸중군 중에서 좌측 대뇌반구의 병변이 DST 비억제반응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1). 뇌졸중의 병변크기가 심할수록 DST 비억제반응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P<0.01) 뇌졸중의 각 유형, 운동장애 정도, 연령 및 성별등은 DST 비억제반응의 빈도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로 미루어 볼때 뇌졸중이 HPA축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고, 뇌졸중 유형중에는 뇌경색이 가장 많은 장애를 초래하며, 뇌졸중의 병변부위에 따라서는 좌측 대뇌반구가 가장 많은 장애를 야기하며, 병변이 클수록 더 많은 장애를 초래함을 알 수 있어 뇌졸중후 나타나는 우울증등의 시상하부와 연관된 환자에게는 항 우울제투여로 임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향후 뇌척수액의 신경전달물질 검사 및 뇨의 catecholamine대사산물 측정 등 지속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