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뇌전위

Search Result 11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뇌파(electroencephalogram:EEG)의 전기적 모형

  • 이배환;박형준;박용구;손진훈
    • 전기의세계
    • /
    • v.46 no.5
    • /
    • pp.3-10
    • /
    • 1997
  • 뇌파, 즉 뇌전도는 뇌에서 일어나는 전위의 변화를 기록하는 것이다. 이는 두개골의 두피에 전극을 부착하거나 뇌 표면 또는 뇌속에 전극을 삽입하여 기록할 수 있다. 종래에는 뇌파는 활동전위의 동기화와 통합의 결과로서, 어떤 피질 영역에서의 뉴론의 활동을 직접 반영하는 것이라고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EEG 활동에서 상당한 부분은 뉴론의 막전위에 기인하며, 특히 느린 시냅스 후 전위의 가중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활동전위가 EEG에 전혀 공헌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EEG는 그 파형에 따라 동기화 또는 비동기화로 나눌 수 있는데, 그 근간을 이루는 뇌 구조물은 상이하다. 그리고 피질의 활동에서 유래한 EEG는 피질하 구조물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EEG를 활용한 연구는 인간 정신 과정을 이해하는데 이바지하는 바가 클 것이다.

  • PDF

EP Augmenting / Reducing : Personality Correlates and Topographic Distribution (증감뇌유발전위와 성격의 상호 관계영상)

  • Lee, Sung-Hoon;Haier, Richard J.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v.2 no.2
    • /
    • pp.165-170
    • /
    • 1995
  • Augmenting-reducing evoked potentials(AREP) were studied in 38 college students to explore the topographic distribution between AR slope and personality. The Zuckerman Seeking Scale(SSS) and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EPQ) assessed personalit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R slope and Extraversion-Introversion(E) in the frontocentral area ; the right posterior area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 The Thrill and Adventure Seeking(TAS) subscal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lope in the right posterior temporal area. The average slope map of all subjects revealed a distribution showing more augmenting in frontocentral areas and more reducing in posterior areas.

  • PDF

Brain Computer Interaction Based on Steady-State Visually Evoked Potential Evoked by High Frequencies (고주파수 시유발지속전위를 이용한 뇌-컴퓨터 인터랙션)

  • Mun, Sungchul;Park, Min-Chul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5.10a
    • /
    • pp.1765-1768
    • /
    • 2015
  • 3D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3 차원 공간에서의 뇌-컴퓨터 인터랙션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3D 디스플레이 기술은 사용자에게 실재감과 몰입감을 부여하여 특정 태스크를 수행할 때 사용자 태스크 퍼포먼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3D 입체감이 주는 긍정적 효과에 대한 연구는 교육, 주의력 향상, 엔터테인먼트를 목적으로 하는 뇌-컴퓨터 인터랙션 분야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뇌-컴퓨터 인터랙션을 구성하는 뇌파성분에는 시각, 청각, 촉각 유발지속전위, 사건유발전위, 사건관련 동기/비동기화 성분, 느린 피질전위 등이 있다. 이 중 시유발 지속전위를 이용한 뇌-컴퓨터 인터랙션 기술은 오브젝트 콘트롤을 위한 사전훈련이 거의 요구되지 않으며 높은 정보전달율을 가지는 것을 특정으로 하기 때문에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저주파수 대역의 명멸자극이 유발하는 피로감으로 인해 사용시간이 제한적인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유발뇌파의 일종인 시유발지속전위를 이용한 뇌-컴퓨터 인터랙션 기술을 소개하고 3D 홀로그램 인터랙션 수행 시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 하고자 한다.

Chaotic dynamics in EEG signals responding to auditory stimulus wi th various triggered frequencies (단속 주파수를 변화시킨 청각 자극에 반응하는 뇌전위신호의 카오스 분석)

  • Choi, J.M.;Bae, B.H.;Kim, S.Y.
    • Proceedings of the KOSOMBE Conference
    • /
    • v.1994 no.05
    • /
    • pp.69-71
    • /
    • 1994
  • 1Hz에서 20Hz까지의 단속 주파수를 지닌 청각자극을 가해 얻은 EEG신호에서 자극에 따른 신호의 정성적이고 정량적인 특성을 카오스 분석방법을 통해 밝혔다. 먼저, 뇌전위 신호에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일반적인 카오스 특징(fractal mechanism, 1/f frequency spectrum, positive lyapunov exponent등등)이 확인되어졌다. 유발전위에 대해서는 자극의 주파수에 따른 주기 배증을 경유한 카오스로 가는 길(route to chaos)과 2차원 pseudo-phase portrait의 뿌앙까레 단면에서의 기하학적 모양(topological property)의 변화가 관찰되어졌고, 자발전위가 포함된 유발전위에 대해서는 적절한 bases를 지닌 3차원 phase space에서 기이한 끌개(chaotic attractor)가, 유발전위의 정보를 지닌채 보여졌다. 끝으로 자극 주파수(단속 주파수와 반송 주파수) 변화와 측정이 이루어진 머리표면에서의 공간적 위치에 따른, lyapunov exponent값 변화가 의미있게 해석되어졌다. 이 결과는 무질서하게 보이는 뇌전위신호에서 주어진 청각자극에 대한 정보를 얻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게 된다.

  • PDF

A Study on 2-Axis Machine Control System using Brain Waves (뇌파를 이용한 2축머신 제어시스템에 관한 연구)

  • Kim, Dong-Wan;Beack, Seung-Hwa;Moon, D.Y.;Joo, Koan-Si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993-1994
    • /
    • 2008
  • 뇌-기계 인터페이스(BMI : Brain Machine Interface)는 사람의 뇌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체동작 없이 기계나 컴퓨터를 동작시키는 새로운 인터페이스 기술이다. 이러한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은 자발전위 뇌파와 유발전위 뇌파를 이용한다. 자발전위 뇌파는 원하는 파형의 파워 값을 조절하여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것이고, 유발전위 뇌파는 자극을 받았을 때 발생하는 값을 이용하여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을 말한다. 이 중 자발전위는 사람이 스스로 뇌파의 방출량을 조절할 수 있어 집중력 향상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발전위를 이용하여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을 구현하였다.

  • PDF

Eyeblinks, EP Augmenting / Reducing and Personality (눈깜작임, 증감뇌유발전위와 성격의 상호관계)

  • Lee, Sung-Hoon;Haier, Richard J.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v.1 no.2
    • /
    • pp.156-162
    • /
    • 1994
  • Objectives: Eyeblinking varied depending on individual cognitive abilities or personality traits thought to related to brain mechanisms of sensory modulation. This study explored whether personality traits are related to the rate of eye blinks and how eyeblink and evoked potential augumenting-reducing(EPAR) interact Methods: Forty four students were studied with EPAR topography to explore how eyeblinks, personality and EPAR interact The Zuckerman Sensation Seeking Scale(SSS) and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EPQ) were used as personality measured by a stimulus response program during EP study. Results: Rate of blink increased as intensity of light increased. The General(GEN), Thrill and Adventure Seeking(TAS), Experience Seeking(ES) and Disinhibition(DS) subscales in SSS and Extraversion-Introversion(E) subscale in EPQ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number of eyeblinks in the hightest intensity of light, whereas Neuroticism(N) subscales in EPQ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Correlation between number of eyeblinks with the brightest light and EPAR slope varied topographically. The strongest positive correlation was noted in right posterior temporal area. Conclusion: High sensation seekers blinked significantly fewer times than lower sensation seeker did. Higher personality correlations with eyeblink than with EP may imply that the eyeblink works as a primary filter since it is more directly related to central mechanisms of sensory modulation than EP. The right posterior temporal area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modulation of visual stimuli.

  • PDF

A Research about Transient Response at a Lightning Strike of Steel-Beam Building (건축물 구조체의 낙뢰 전위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 Cho, D.H.;Lee, K.S.;Lee, K.G.;Ryu, C.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11d
    • /
    • pp.122-126
    • /
    • 2004
  • 직격뇌가 높은 건축물에 치거나 인접 건물로부터 뇌전류가 유입되었을 때 잘못된 피뢰설비로 인한 피해는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낙뢰가 치는 순간에 반도체와 같은 민감한 전자부품을 사용하는 전자 및 통신기기는 뇌전류로 인한 전자기장의 영향으로 오동작이 발생하거나 부품의 손상을 입기가 쉽다. 본 논문에서는 건축물 구조체에 직격뇌가 유입되었을 때 건축물 구조체 및 건물 주위에 나타나는 전위분포특성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 30m 높이 건축물의 상부 모서리와 중앙부 그리고 건축물 하부 모서리와 중앙부로 뇌전류가 유입된다고 가정하여 건축물의 전계분포특성을 시뮬레이션하였으며, 뇌전류는 2중 지수함수형태로 모의된 20kA 임펄스 서지 전류를 주입하였다. 뇌서지 전류의 주파수 특성은 Fast Fourier Transform(FFT)을 이용하여 얻었으며, 얻어진 주파수 값을 이용하여 건축물 구조체와 인접지역의 Scalar Potentials과 Electric Fields의 특성을 시뮬레이션하였다. 또한 철골 빔 건축물의 철골 빔에 직접 뇌전류가 유입되는 경우와 건물 하부의 접지전극에 뇌전류가 유입되는 경우로 분리 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뇌전류의 유입경로가 건축물의 모서리부분 보다는 중심부에 위치될 때 전위 및 전계 크기가 작았으며 건축 철골구조물보다 건축물 하부에 접지전극이 설치될 때 더 낮은 전계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EFFECTS OF LIDOCAINE ON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IN RAT VIBRISSA/BARREL CORTEX (리도카인이 흰쥐 피질의 체성감각 유발전위에 미치는 영향)

  • Choi, Byung-Ju;Lee, Hye-Sook;Kim, Young-Jin;Nam, Soon-Heoun;Kim, Hyun-Jung;Lee, Maan-Gee 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23 no.3
    • /
    • pp.582-592
    • /
    • 1996
  • 본 실험은 삼차신경 자극으로 발생되는 체성 감각 유발 전위에 대한 국소마취제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나트륨 통로차단을 통하여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리도카인를 뇌 피질에 국소 투여한 후 삼차신경의 체성 감각유발 전위의 강도및 지연시간을 측정하였다. 케타민으로 마취된 흰쥐의 대측성 구레나룻 자극후 뇌의 체성 감각영역으로부터 기록되는 유발전위를 분석한 결과, 리도카인을 뇌 피질에 국소 투여시 유발전위의 강도 및 지연시간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필드 전위의 형태는 이상성 (양극성 및 음극성) 혹은 삼상성 (양극성, 음극성 및 양극성) 의 파형으로 나타났다. 필드 전위의 발생 부위는 뇌 피질의 중대뇌동맥의 상행지 상방영역이었다. 본 실험에서 나타난 초기 전위변동은 피질판 상층에 존재하는 신경세포의 탈분극 과청에 의하여 생성되고 후기의 전위 변동은 동일 영역의 하층 신경세포에서 과분극 혹은 재분극이 발생한 결과라고 유추된다. 따라서 삼차신경계의 체성 감각 영역에서는 피질 상층및 하층의 과립성 피라미드 세포의 순차적인 활성화에 의하여 기본적인 신경 회로망이 형성되어 있으며 생리적 자극으로 유발되는 필드 전위는 이러한 신경망를 통하여 발생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mplitude and phase analysis of the brain Evoked Potential about performing a task related to visual stimulus using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경험적 모드 분해를 이용한 시각자극 관련 과제수행에 대한 뇌 유발전위 진폭과 위상 변화 분석)

  • Lee, ByuckJin;Yoo, Sun-Kook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8 no.1
    • /
    • pp.15-26
    • /
    • 2015
  • In this paper, amplitude and phase difference patterns for theta and alpha bands of the Evoked Potential(EP) in relation to perform a task at visual stimulus were analyzed using th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EMD). The EMD is applied to decompose EP signals with task-related sub-frequency band signals. Intrinsic mode function was implied in Hilbert transform and instantaneous amplitude and phase differences of theta and alpha were derived from Hilbert transformed EP. In a task status, large amplitude for both bands was observed at P2, N2, and P3 points as well as maximum phase difference was observed at N1 and P2. We confirmed that both bands are associated with a task at visual stimulus, and less associated with fixation. The proposed method enhances the time and frequency resolution in comparison with band-pass filter method which observed different phase results according to conditions.

The Significance of Electroencephalography in the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in Human (인체에서 저체온 완전 순환 정지 시 뇌파검사의 의의)

  • 전양빈;이창하;나찬영;강정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4 no.6
    • /
    • pp.465-471
    • /
    • 2001
  • Background: Hypothermia protects the brain by suppressing the cerebral metabolism and it is performed well enough before the total circulatory arrest(TCA) in the operation of aortic disease. Generally, TCA has been performed depending on the rectal or nasopharyngeal temperatures; however, there is no definite range of optimal temperature for TCA or an objective indicat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for safe TCA. In this study, we tried to determine the optimal range of temperature for safe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by using the intraoperative electroencephalogram(EEG), and studied the role of EEG as an indicator of optimal hypothermia. Material and Method: Between March, 1999 and August 31, 2000, 27 patients underwent graft replacement of the part of thoracic aorta using hypothermia and TCA with intraoperative EEG. The rectal and nasopharyngeal temperatures were monitored continuously from the time of anesthetic induction and the EEG was recorded with a ten-channel portable electroencephalography from the time of anesthetic induction to electrocerebral silence(ECS). Result: On ECS, the rectal and nasopharyngeal temperatures were not consistent but variable(rectal 11$^{\circ}C$ -$25^{\circ}C$, nasopharynx 7.7$^{\circ}C$ -23$^{\circ}C$). The correlation between two temperatures was not significant(p=0.171). The cooling time from the start of cardiopulmonary bypass to ECS was also variable(25-127min), but correlated with the body surface area(p=0.027). Conclusion: We have found that ECS appeared at various body temperatures, and thus, the use of rectal or nasopharyngeal temperature were not useful in identifying ECS. Conclusively, we can not fully assure cerebral protection during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in regards to the body temperatures, and therefore, the intraoperative EEG is one of the necessary methods for determining the range of optimal hypothermia for safe circulatory arrest. :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