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뇌신경계

Search Result 3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Case of Multiple Systemic Atrophy Treated with Korean Medical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Therapy (재활치료와 한방치료를 병행한 다발성 뇌신경계 위축증 1례)

  • Park, Jang-Kyung;Maeng, Yu-Sook;Lee, Seung-Bok;Kim, Dong-Il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 /
    • v.32 no.2
    • /
    • pp.118-125
    • /
    • 2011
  • Multiple system atrophy (MSA) is an idiopathic and progressive neurodegenerative disorder. Up to now, treatment of MSA patients had not been reported in Oriental medicine and only rarely reported in Western medicine. We experienced a 75-year-old female diagnosed with MSA and had quadriparesis with dysphagia. She was admitted to the hospital and received herbal medication, acupuncture, moxibustion and rehabilitation therapy. After 2 months, her motor power and swallowing function on video fluoroscopic swallowing test significantly improved. This report shows that Oriental medicine may play a role in the treatment of MSA, and further study is merited.

Convergence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NeuroRehabilitation Patients on Family Burden (뇌신경계 재활 환자 가족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 Yang, Young-Mi;Cho, Mi-Ock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9 no.5
    • /
    • pp.77-85
    • /
    • 2019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identify the burden of family burd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undergoing cranial nerve rehabilitation in hospitalized rehabilitation hospital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gration.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113 family members who were the primary care providers of rehabilitation in rehabilitation hospitals and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2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level of burden of the patient family was 3.16, the burden of the famil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age of the caregiver, the educational level,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caregiver. There was no difference. Finally, the factors influencing family burden were identified as predictors of carer's age, education, religion, and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lowers the burden of family rehabilitation.

Pediatric Neuro-MRI : Techniques and Methods

  • 윤혜경
    • Proceedings of the KSMRM Conference
    • /
    • 1999.04a
    • /
    • pp.81-86
    • /
    • 1999
  • MR은 높은 조직 대조도와 축상, 시상 및 관상면 등의 multiplanar capability의 커다란 장점을 갖고 있어 뇌 신경계질환 진단에 필수적이며, 특히 ionizing radiation이 아니고 요오드계 IV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이 CT에 비해 더욱 유리하다. 소아에서의 뇌신경계 질환은 선천성 기형이나 대사성 질환이 많은 등 성인과는 다른 질환분포를 보인다. 따라서 성인에서와 같은 protocol을 그대로 적용하였을 때 좋은 질의 영상을 얻기 힘든 경우가 있으며, 연령 또는 질환에 따라 촬영기법도 다양하게 하여야 하므로 routine protocol을 정하지 않고 매 환아 마다 적절한 기법을 선택하고 있다. 또한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하여 진정 (sedation)이 필요한 예가 대부분이며 적절한 잠재우기는 좋은 질의 영상을 얻기 위해 필수적이므로 이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 PDF

Comparison study of dermal cell toxicity and zebrafish brain toxicity by humidifier sterilizer chemicals (PHMG, PGH, CMIT/MIT) (가습기 살균제 성분(PHMG, PGH, CMIT/MIT)의 사람 피부세포 독성 및 제브라피쉬 뇌신경 독성 비교 연구)

  • Cho, Kyung-Hyun;Kim, Jae-Ryo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8 no.2
    • /
    • pp.271-277
    • /
    • 2020
  • Toxicities to many organs caused by humidifier disinfectants have been reported. Recently, humidifier disinfectants have been reported to cause cardiovascular, embryonic, and hepatic toxiciti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toxic mechanism of humidifier disinfectants and compare toxicity in a cellular model and a zebrafish animal model. Because brain toxicity and skin toxicity have been less studied than other organs, we evaluated toxicity in a human dermal cell line and zebrafish under various concentrations of humidifier disinfectants that included polyhexamethyleneguanidine phosphate (PHMG), oligo-[2-(2-ethoxy)-ethoxyethyl-guanidinium-chloride] (PGH) and methylchloroisothiazolinone/methylisothiazolinone (CMIT/MIT). A human dermal fibroblast cell line was treated with disinfectants (0, 2, 4, 6, 8, and 16 mg L-1) to compare their cytotoxicity. The fewest PHMG-treated cells survived (up to 33%), while 49% and 40% of the PGH- and CMIT/MIT-treated cells, respectively, survived. The quantification of oxidized species in the media revealed that the PHMG-treated cells had the highest MDA content of around 28 nM, while the PGH- and CMIT/MIT-treated cells had 13 and 21 nM MDA, respectively. As for brain toxicity, treatment of the zebrafish tank water with CMIT/MIT (final 40 mg L-1) for 30 min resulted in a 17-fold higher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an in the control. Treatment with PGH or PHMG (final 40 mg L-1) resulted in 15- and 11-fold higher production, respectively. The humidifier disinfectants (PHMG, PGH, and CMIT/MIT) showed severe dermal cell toxicity and brain toxicity. These toxicities may be relevant factors in understanding why some children have language disorders, motor delays, and developmental delays from exposure to humidifier disinfectants.

3 Tesla MR Clinical Application: Advanced Neuroimaging

  • 손철호
    • Proceedings of the KSMRM Conference
    • /
    • 2002.11a
    • /
    • pp.50-56
    • /
    • 2002
  • 최근 3-4년간 MR의 hardware와 software의 급격한 발전으로 마침내 작년 말에 3.0 Tesla whole body MR 장비가 미국 FDA의 공인을 받았다. 한국에서도 일찍부터 3T MR장비의 개발이 이루어 졌고 이미 설치되어 연구와 임상이 이용되고 있다. 여러 회사에서 개발 및 연구된 전신 3.0T MR 장비가 여러가지 가능성을 보이고 임상 도입 단계에 있지만 아직까지 실지 임상에서는 뇌신경계 분야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지금 뇌신경계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늘리 사용되고 있는 1.5T MR 장비는 모든 면에서 상당히 안정적으로 임상 및 연구에 이용되고 있다. 1-2년 전만 해도 3.0 T MR기기는 뇌신경계 영역에서도 임상적으로 늘리 사용되기에는 안정적인 면에서는 1.5T 기기에 비해서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었다. 그래서 주로 연구실 영역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지금 본원에 설치 완료되어 임상에 적용한지 6개월 정도 이용한 예에서 보면 (about 2300 cases/6months) hardware, software적인 면에서 아직 조금의 불편함이 있지만 많은 부분이 충분히 인지되고 개선이 가능한 부분으로 거의 불편함이 사라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고, 불편함을 넘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고 본다. 고자장 (>3.0 T) MRI의 매력은 자장에 비례적으로 SNR, spectral resolution이 높아지고, T1, BOLD등에 의한 대조도가 향상한다는 것이다. SNR의 증가는 temporal, spatial 분해능을 증가시키고, spectral resolution이 높아짐에 따라 MR spectroscopy상에서 주요 대사물질 이외 작은 대사물질에 관한 스펙트럼의 분석을 향상시킨다. 이처럼 고자장 MR은 근본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장점이 고자장 MR 시대로 가야 할 이유을 모두 설명하고 있다고 생각된다.세포질등이 있으며, 이들중에서 lysosomes, peroxisomes, 그리고 미토콘드리아가 특정한 유전성 백질질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질환들은 최소한 각 소기관에 의한 질환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SXR이 ER의 transactivation 효과를 약간 촉진한 반면 MDA-MB-231세포는 SXR을 제외한 CAR와 PPAR${\gamma}$에 의해 ER의 transactivation 효과가 약간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방암세포에서는 CAR, SXR, PPAR${\gamma}$과 같은 xenobiotic nuclear receptor에 의한 ER transactivation 효과가 간암세포와는 다르게 나타나며, 유방암의 종류에 따라서 endogenous CAR, SXR, PPAR${\gamma}$수용체가 다르게 발현됨으로써 이들에 대한 반응이 서로 상이한 특징을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estrogen receptor에 의해 매개되는 estrogn의 전사활성조절기전이 표적세포에 따라 다른 경로를 포함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서 흡착 능력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황화수소는 펄라이트, 왕겨, 소나무수피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합충전재는 암모니아의 경우 코코넛과 펄라이트의 비율이 7:3인 혼합 재료 3번과 소나무수피와 펄라이트의 비율이 7:3인 혼합 재료 6번에서 다른 혼합 재료에 비하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코코넛과 소나무수피의 경우 암모니아 가스에 대한 흡착 능력은 거의 비슷한 것으로 사료되며, 코코넛의 경우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내 조달이 용이하며, 구입 비용도 적게 소요되는 소나무수피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라고 사료된다. 5. 마지막으로 악취제거 미생물균주를 접종한 소나무수피 50%와 펄라이트

  • PDF

Usefulness of Bismuth Shielding in Cerebral Vascular Intervention (뇌혈관 중재적 시술 시 Bismuth 차폐체 설치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 Kim, Jae-seok;Son, Jin-hyun;Kim, Young-k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05a
    • /
    • pp.179-182
    • /
    • 2017
  • Cerebral nervous system intervention procedures have been reported frequently due to radiation exposure such as skin baldness, hair loss, and redness due to prolonged procedures. Therefore, the bismuth shield designed to reduce the radiation exposure of the target organ located in the anterior part of the human body sensitive to skin and radiation sensitivity during CT (computed tomography) scan is applied to the cerebral vascular system intervention by ergonomic design, To reduce the radiation dose of sensitive scalp, we propose a study.

  • PDF

특집 : 미세혈관 합병증 - 당뇨병과 눈 합병증 - 실명 부르는 막망병증부터 녹내장.백내장 등 다양하게 나타나

  • Gwon, O-Ung
    • The Monthly Diabetes
    • /
    • s.259
    • /
    • pp.26-28
    • /
    • 2011
  • 당뇨병은 주로 미세혈관계에 문제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전신 질환으로 눈에 영향을 끼치는 질환 중에서는 가장 중요한 질환이라 할 수 있다. 당뇨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눈의 합병증에는 대표적으로 당뇨망막병증이 있으며 백내장, 녹내장, 뇌신경 마비, 각막 질환 등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