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높이제한

Search Result 40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f the Thermal Analysis for the Crack Control of Underground Pier Footing (지하 교각 기초의 온도균열 제어를 위한 수화열 해석 연구)

  • Park, Weon-T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0 no.2
    • /
    • pp.91-101
    • /
    • 2006
  • Lately, massive concrete structures are increasingly built. In such massive structures, the heat of hydration of mass concrete causes thermal cracks. To avoid thermal crack, methods widely acceptable for practical use are pre-cooling, pipe cooling and control of placing height. Thermal stress analysis is performed to find the way of controlling the thermal crack of pier footing mat in this paper. The footing mat model for the analysis is $12m{\times}14m$area and 3m height. The analysis results are compared with method of control of lift height and method of pipe cooling.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rmal crack can be removed by method of placing control and pipe cooling at footing mat placed on the ground.

The Effects of Arm Restriction on Stabilization Step With Respect to Barrier Height (장애물 높이에 따른 상지 팔운동 제한이 스텝안정화(stabilization step)에 미치는 영향)

  • Kwon, Oh-Yun;Jang, Kyung-Wook;Kim, Tack-Hoon
    • Physical Therapy Korea
    • /
    • v.5 no.4
    • /
    • pp.1-8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물 높이에 따른 상지 팔운동 제한이 스텝안정화(stabilization step)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학생 남자 14명, 여자 16명으로 총 30명이였으며, 평균 연령은 21.5세이었다. 스텝 안정화는 FASTEX(functional activity System for testing and exercise, Cybex Division of Lumex, Inc.,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장애물의 조건은 1) 장애물이 없는 조건 2) 15 cm 장애물 3) 25 cm 장애물이었고, 팔 운동의 제한 조건은 1) 팔운동을 제한하지 않은 조건 2) 우세 팔의 운동 제한 3) 양쪽 팔을 모두 제한하는 3개의 조건에서 스텝 안정화 시간을 측정하였다. 장애물 요인과 팔운동 제한 요인간에 안정화 시간(stabilization time)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이 있는 2요인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남녀간에 안정화 시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장애물이 없는 조건에서 양팔의 운동을 제한하지 않고 측정한 안정화 시간의 평균은 0.89초이었고, 건측의 상지운동을 제한한 상태에서의 평균은 0.88초이었으며, 양쪽 팔의 운동을 모두 제한했을 때의 평균은 0.84초이었다. 15 cm의 장애물이 있는 조건에서 양팔의 운동을 제한하지 않고 측정한 안정화 시간은 평균 0.98초이었고, 건측의 상지운동을 제한한 상태에서의 펑균은 1.00초이었으며, 양쪽 팔의 운동을 모두 제한했을 때의 평균은 1.14초이었다. 25 cm의 장애물이 있는 조건에서 양팔의 운동을 제한하지 않고 측정한 안정화 시간은 평균 1.09초이었고, 건측의 상지운동을 제한한 상태에서의 평균은 1.28초이었으며, 양쪽 팔의 운동을 모두 제한했을 때의 평균은 1.57초이었다. 남녀간의 스텝 안정화 시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각각의 조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장애물과 팔운동 제한 조건에 따른 스텝 안정화 시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이 있는 2요인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장애물의 높이에 따라 스텝 안정화 시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15 cm, 25 cm 장애물 조건에서는 팔운동 제한 조건에 따른 스텝 안정화 시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p<0.05), 장애물이 없는 조건에서는 팔운동 제한에 따른 안정화 시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보행중 장애물을 넘고, 한발로 기립하여 안정성을 유지할 때 팔의 운동이 스텝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았고, 이러한 결과는 한팔 또는 두 팔을 사용할 수 없는 편마비환자나 상지 절단환자의 균형 평가나 치료시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다.

  • PDF

Comparisons of the Assessment of Ecological Landscape Design and the Apartment Skylines (생태학적 조경설계 평가와 아파트 스카이라인의 비교)

  • Kwon, Sang-Z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1 no.1
    • /
    • pp.90-100
    • /
    • 2003
  • 본 연구는 건축고도제한에 의해 생태학적 조경설계는 어떻게 통제되며, 또한 생태학적 조경 설계가 무엇인가를 구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두 가지 다른 단지를 비교하여 건축물 스카이라인이 주변경관과 조화로운 심미적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영향에 관하여 고찰할 수 있다. 이 비교를 통하여 스카이라인 통제가 아파트단지 계획과 설계에서 생태학적 조경설계에 영향을 주는가를 검증하게 될 것이며, 스카이라인이 통제된 아파트단지가 조경시설 설계에 있어서 전체적, 역동적, 반응적, 직관적 접근을 할 때 상대적으로 우선성을 표출할 수 있을 것이다. 아파트단지 계획·설계에 있어 건물고도제한이 적절하게 검토되어 스카이라인의 통제를 더 강하게 할수록 아파트단지에서 만들어진 조경환경의 특성이 강조되고 강화한 경관이 더 조화롭게 된다는 점에서 경관에 유용하고 편익이 있다. 생태학적 조경설계의 평가사항은 자기 지속적, 자연적·문화적 정체성, 개연적 외관, 생태학적 접근으로 이뤄진다는 전제 아래 세부사항 18개 항목을 표출하였다. 또한 스카이라인 통제는 자연적 경관을 보전하고 수목이 단지의 안팎으로 자연스럽게 펼쳐지는 녹지 네트워크와 야생 동물 코리도를 획득하기 위하여 독특한 경관을 설계하고 개성적인 것으로 도출하여 조화로운 심미성을 이룩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계량적으로 표출하였다. 아파트단지의 경관에서 의미 있는 것은 다양한 접근으로 설계되고 건물 스카이라인 통제방법을 강화함으로써 관리되는 스카이라인의 실루엣이 다양하고 개성적 형태를 표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스카이라인의 영향과 생태학적 조경설계가 계량적 요소에 의해 상대적으로 비교될 수 있으며, 생태학적 조경설계의 평가시설지표는 보다 세분화됨으로써 전체적인 설계요소의 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Recognition of Facial Expressions using Geometrical Features (기하학적인 특징 추출을 이용한 얼굴 표정인식)

  • 신영숙;이일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205-208
    • /
    • 1997
  • 본 연구는 기하학적인 특징 추출을 기반으로 얼굴 영상에서 얼굴표정을 인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얼굴표정은 3가지 그룹으로 제한한다(무표정, 기쁨, 놀람). 표정에 관련된 기본 특징들을 추출하기 위하여 얼굴표정정영상에서 눈높이, 눈폭, 입높이, 입폭을 추출하여 데이터를 분석한다. 분석결과로 눈높이, 입폭, 입높이가 표정을 분별하는 주요 특징으로 추출되었다. 각 표정별 눈높이, 입폭, 입높이가 표정을 분별하는 주요 특징으로 추출되었다. 각 표정별 눈높이, 입폭, 입높이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표정별 표준 템플릿을 작성하였다. 표정인식 방법은 최소 근접 분류기(nearest neighbor classifier)를 사용하였다. 새로운 얼굴표정 영상과 표준 템플릿간의 유클리드 거리를 계산하여 새로운 표정에 대하여 83%인식률을 얻었다.

  • PDF

Limiting Height Evaluation for Cold-Formed Steel Wall Panels (냉간성형강재 벽체 패널의 한계높이 산정)

  • Lee, Young ki;Miller, Thomas 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5 no.1
    • /
    • pp.17-24
    • /
    • 2003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experiment-based limiting heights for interior, nonload-bearing, cold-formed steelwall panels sheathed with gypsum board and subjected to uniformly distributed lateral loadings. Th e limiting heightswere evaluated by their strength (for flexure, shear, and web crippling) and deflection. Limiting heights for deflectionlimits of L/360, L/240, and L/120 (where L is the height of the wall) were developed over the range of typical designpressures.

인체측정자료와 3차원 컴퓨터 인체모형을 이용한 세탁기 외부규격 결정

  • 이구형;김대구;박민용;신원경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155-160
    • /
    • 1998
  • 본 연구는 대 용량화와 다 기능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복잡화되고 있는 세탁기 에 대한 사용편리성을 고려한 사용자 중심 제품개발의 일차적 접근으로, 인체측정 자료를 근거로 하여 세탁기의 외부 규격을 제안하였다. 결정 대상인 세탁기 외부규격은 높이, 폭 세탁조 바닥 높이, 컨트롤 패널의 위치 등이었으며, 이를 위하여 고려된 인체 자료는 신장, 어깨 높이, 눈 높이, 팔꿈치 높이, 팔 길이 등이 었다. 기존의 인체 자료들은 세탁기의 외부규격을 결정하는 데 많은 부족함이 나타났으며, 인체 자세의 단순화와 자료의 가정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제한은 3차원 컴퓨터 인체모형을 활용한 세탁동작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동작범위를 파악하므로서 보완하였다. 특정의 제품을 설계하는 과정에 서는 일반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인체측정자료에 비하여 보다 정밀하고 많은 항목의 자료가 요구도히었으여, 이러한 자료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는 3 차원 컴퓨터 인체모형을 이용한 시 뮬레이션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IoT and Cloud-based Real-time Bridge Height Measurement Service (사물인터넷과 클라우드 기반의 실시간 교량 높이 계측 서비스 연구)

  • Choi, Cha-Hwan;Cheon, Young-Man;Jeong, Seung-Hun;Tcha, Dek-Kie;Lee, Young-Jae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7 no.2
    • /
    • pp.145-157
    • /
    • 2017
  • Currently, the height of ships that can pass under Busan Harbor Bridge is limited to 60m or shorter, so that large-sized ships of 60m or taller cannot use Busan Harbor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Accordingly, this study has developed a service which measures continuously the change of bridge height by water level changes and provides such in real-time for safe bridge passage of large-sized ships of 60m or taller. The measurement system comprised of high-precision laser distance measurement device, GPS sensor, optical module, and damping structure is used to measure the bridge height change according to tide level changes, and the measured information is provided in real-time through cloud-based mobile app. Also, in order to secure objective bridge height data for changes to height limits and navigation supports, the observation data was analyzed and forecast model was drawn. As a result, it became an objective evidence to revise the passage height rules of the Busan Port Bridge from 60 meters to 63 meters.

손실제한을 위한 고층건물 설계

  • Davis, Richard J.
    • 방재와보험
    • /
    • s.131
    • /
    • pp.11-13
    • /
    • 2009
  • 초고층 건물은 그 높이에 비례하여 복잡성이 증가하므로 소방 측면에서도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게 된다. 초고층 건물은 건물 이용자의 인원 수, 재산가치, 사고 시 사회에 미칠 파장 등으로 인해 높은 수준의 화재안전대책이 요구된다.

  • PDF